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드디어 만난 여야정 4자 대표… 공개발언부터 인식 차 드러내

여야정 대표 4인이 참석한 국정협의회가 20일 드디어 열렸다. 비상계엄 사태 및 탄핵 정국을 맞아 민생경제의 위기가 닥친 상황에서 마련된 자리지만, 정부와 여야 대표들은 공개발언부터 인식 차이를 드러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사랑재에서 '국정 안정을 위한 국회-정부 국정협의회' 첫 회의를 열었다. 최 권한대행은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과감한 개혁과 투자로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며 "통상·민생 3대 대책을 간곡히 제안한다"고 밝혔다. 우선 최 권한대행은 반도체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최 권한대행은 "미국·일본 등 주요 경제국들의 반도체 첨단 인력들은 근로 시간 제약 없이 신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며 "설상가상으로 미국은 반도체에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어 더 지체할 시간 없다"고 언급했다. 이어 "현재 근로시간 제도로는 집중근무가 어려워 연구 단절이 발생하고 수요기업 발주에도 즉시 대응이 어렵다"며 "근로 시간 특례 조항은 꼭 필요한 시기에, 꼭 필요한 일을 집중해서 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근로자 건강권 보호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합리적인 해결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것이 포함되지 않는다면 '반도체 특별법'이 아니라 '반도체 보통법'에 불과하다"며 "국회도 필요성을 공감한 만큼 전향적인 논의를 다시 한번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또 인공지능(AI) 등 첨단전략산업과 글로벌 일자리 등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으며,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논의도 강조했다. 아울러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영세 소상공인 점포에도 사용가능한 신용카드 사용분에 대한 소득공제 확대 ▲상반기 추가 소비분 소득공제 확대 ▲재건축·재개발 촉진법 등을 민생회복 지원 법안으로 언급하며 국회의 협조를 당부했다. 아울러 학생 안전을 위한 '하늘이법'의 조속한 입법도 촉구했다. 최 권한대행의 발언 후 권영세 비대위원장이 발언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1당의 이재명 대표님이 먼저"라고 안내하자, 이 대표는 "집권당부터 하십시오"라며 권 비대위원장에게 발언 순서를 양보했다. 그러자 권 비대위원장은 그러자 권 비대위원장은 "우리가 양보받아야 할 건 이런 게 아닌데"라며 뼈 있는 농담을 건넸다. 권 비대위원장은 협치의 필요성과 야당의 '감액예산안' 처리를 언급했다 그는 "예산편성 권한은 헌법상 엄연히 국회에 있는데도 감액만 해서 처리하는 것은 분명히 잘못"이라며 "국회를 지켜보고 계신 우리 국민들께서 견제와 균형이 아니라 간섭이 아니냐고 우려하시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또 권 비대위원장은 이재명 대표를 겨냥해 날선 발언도 덧붙였다. 권 비대위원장은 "저는 우리 이재명 대표께서 1극 체제로 제일 실세인 줄 알았는데 정책 관련해서 보니까 진성준 정책위의장이 가장 실세인 것 같더라"며 "진성준 의장님 특별히 잘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 대표가 '우클릭'으로 보이는 발언을 하지만, 정작 진성준 정책위의장이 주도해 마련된 민주당의 정책은 이 대표의 뜻과 다르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권 비대위원장 다음 순서로 발언한 이재명 대표는 앞서 최 권한대행이 한 '반도체 보통법' 발언을 문제삼았다. 이 대표는 최 권한대행이 언급한 3가지 방안을 모두 동의한다면서도 "'이게 없으면 의미가 없다'는 취지의 말씀을 하시는데, 이건 좀 저희가 동의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이어 "제가 (반도체 특별법) 토론회를 주재하면서 (노사) 쌍방의 얘기를 들어봤는데 합의된 것들은 '총 노동시간을 늘리지 않는다, 시간을 변형 하는 데 따른 수당은 예외 없이 다 지급한다' 등에 서로 동의한다는 것이다. 관련 업체, 산업계에서 고용노동부의 승인 조건을 완화해주면 충분하다는 제안을 했다고 한다"며 "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을 (반발) 때문에 안 할 이유는 없다. 꼭 패키지는 아니지 않나. 반도체 업계가 필요한 지원을 하고 더 필요한 것들은 추가로 해나가는 유연한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민생 경제를 회복하기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경제가 어렵기 때문에 국민들께서 더 고통받지 않도록 최소한의 삶의 조건을 만들어드려야 한다"며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추경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수단이란 생각이 든다. 작은 차이를 넘어 가능한 합의를 이끌어냈으면 좋겠다"고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발언한 우원식 의장은 "여당에서도 미래, 민생 추경을 말했고 야당도 규모와 항목 고수하지 않겠단 뜻 밝히기도 했다"며 "쟁점도 있지만 문제의식이 맞닿은 부분이 있어 합의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민생이 한계에 이르렀다. 경제 전반에 적신호 켜지고 골목 들어가면 문 닫은 가게가 너무 많다"며 "추경 합의는 국민이 가장 기다리는 소식일 것이다. 그 자체가 국정안정 신호이고 경제심리 회복의 출발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정협의회는 오늘 한 번으로 끝나는 게 아니다"며 "합의 가능한 건 가능한 대로 더 논의할 건 더 논의하자"고 했다.

2025-02-20 18:50:31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동아에스티, '세노바메이트' 국내 품목허가 추진..."한·중·일 임상 근거"

동아에스티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20일 밝혔다. 동아에스티는 지난해 1월 SK바이오팜과 '세노바메이트' 라이선스 인 계약을 체결한 후 국내외 30개 국에 세노바메이트를 공급하고 있다. 이번 품목허가 신청을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세노바메이트 발매가 속도감 있게 추진될 전망이다. 동아에스티 측은 "글로벌 시장에서 효과와 안전성을 인정받은 세노바메이트의 신속한 허가 및 급여 등재를 위해 보건 당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국내 환자들이 세노바메이트의 혁신적인 치료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세노바메이트는 SK바이오팜이 자체 개발한 뇌전증 치료제다. 뇌에서 흥분성 신호를 전달하는 나트륨 통로를 차단하는 기전을 갖췄다. 다국가 임상으로 진행한 '품목허가를 위한 임상'에서 세노바메이트를 투여받은 환자들은 발작 빈도 감소율 55%, 완전발작소실률 28%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공개된 한국·중국·일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에서도 발작 빈도 감소율과 완전발작소실률의 유의미한 개선이 나타나 해당 약물의 유효성이 입증됐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 적응증으로 전신 발작을 추가하고, 투약 연령을 소아 및 청소년으로 확대하기 위한 후속 임상에 역량을 쏟는다. 앞서 지난 2019년 11월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세노바메이트 품목허가를 받아, 2020년 5월부터 세계 최대 규모인 미국 의약품 시장에서 엑스코프리라는 제품명으로 판매하고 있다.

2025-02-20 17:43:08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워크데이, 국내 기업 약 80% 인사 관리에 AI·머신러닝 기술 활용

국내 기업 10곳 중 약 8곳은 인사 관리(HR) 업무에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 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인사 및 재무 관리 지원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 워크데이는 20일 일본 등 아시아 지역 대기업에 종사하는 1515명(한국 150명 포함)의 비즈니스 리더와 HR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근 벌인 설문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도출됐다고 발표했다. 조사 결과 한국 기업의 80%가량이 HR 업무 수행과 인재 관리 프로세스 단순화를 위해 AI와 ML 기술을 도입했다. 이는 아세안 국가(88%)보다 낮지만 북아시아(72%), 호주/뉴질랜드(70%), 일본(48%) 대비 높은 수준이다. 또 한국 기업의 약 47%는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애자일(agile·민첩) 경영에 집중할 계획이며, HR 전문가의 78%는 글로벌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현재 데이터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한국 기업의 경우 분석 및 보고(54%), 인력 관리(47%), 직원 기록 관리(47%)에 AI와 ML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워크데이 관계자는 "한국 기업의 HR 리더들이 관련 인사이트를 얻고 업무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기 위해 AI를 활용, 데이터 기반의 전략을 수립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치열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이 같은 변화는 사람을 조직의 전략과 의사 결정의 중심에 두고, 효율적인 인재 관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2025-02-20 17:19:02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AI 국가 정예팀'에 정부, AI 인프라 파격 지원해 '소버린 AI' 만든다

정부가 세계 3대 인공지능(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자원과 역량을 총동원 한다. '한국형 챗GPT' 개발을 추진해 AI분야의 국가주권(소버린)을 확보하는 한편, 2조원을 투입해 '국가 AI컴퓨팅센터'를 조속히 구축하는 한편, 'AI 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해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을 개발할 계획이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위원회에는 정부에서 최 권한대행을 비롯해 관계부처 장관 등 10여 명, 민간에서 염재호 태재대 총장과 네이버 최수연 대표 등 AI 분야 전문가 30명이 참여했다. 이번에 발표한 내용은 치열한 세계 AI패권 경쟁 속 중국 스타트업의 '딥시크'가 전환한 새로운 국면에서 발견한 AI 역량 강화 방안을 십분 반영했다. 딥시크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기존 빅테크 기업들의 AI 모델 대비 1/10 비용만으로 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했다. 이는 개발 기술 혁신도 있었으나 중국 정부의 AI 기술 성장을 위한 강력한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정부의 AI역량 강화 방안은 크게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한 국가 AI역량 강화방안 ▲AI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AI 활용 확산 방안 ▲AI데이터 확충 및 개방확대 방안 등 세가지 범주로 나뉜다.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방안은 즉시·단기·중장기 3단계에 걸친 마스터플랜으로 이행된다. 정부는 즉각 국내 공공·민간(광주 AI데이터센터, 민간클라우드 등) 데이터센터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자원 활용 확대를 통해 당장 시급한 AI컴퓨팅 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다. 단기적으로는 2026년 상반기까지 단 GPU 1.8만장 분 AI컴퓨팅 인프라를 확충해 국내 AI 기업과 연구계 경쟁력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올해 중 연내 최신 GPU 1만장을 확보해 국가 AI컴퓨팅 센터 조기 가동에 나설 방침이다. GPU 1만 장(엔비디아 H100) 확보에 드는 비용은 80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중장기적으론 국가 AI컴퓨팅센터 본격 가동에 들어가는 한편 AI컴퓨팅센터의 AI 반도체 비중을 2030년까지 50% 이상 국산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AI 반도체에 대한 지원도 놓치지 않겠다는 계획이다. 차세대 AI 모델 개발은 국가 AI 컴퓨팅 센터 등 인프라를 통해 '소버린 AI(Sovereign AI, 국가나 기업이 자체 데이터와 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AI)'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를 추진해 'AI 국가대표 정예팀'을 뽑고 AI 최고 인재가 겨루는 글로벌 AI 챌린지를 개최해 인재를 발굴할 예정이다. 또 글로벌 AI프론티어랩을 확대 추진하고, 기업과 대학 협력형 AX 대학원을 추진해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대학·기업의 AI 해외 석학 유치시 연구비 지원 확대를 검토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약 1조원 규모의 R&D 프로젝트도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추진할 예정이다. 이경우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지원단장은 "파운데이션 모델(광범위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데이터로 훈련된 딥러닝 모델)인 월드 베스트 LLM이 연내 나와줘야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예를 들어 10팀을 뽑아 한 팀이 GPU가 1000개 이상 필요하다면 그걸 1년 동안 마음껏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AI전환(AX) 가속화를 위해서는 AI컴퓨팅 인프라와 인재들이 개발한 AI모델을 활용한 AX 선도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교육 분야에서는 AI 디지털교과서의 확산, 재난·안전 분야에서는 AI CCTV 활용성 제고 및 국산 AI반도체 확산 등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기업 간 협력을 통한 AI 모델 공동 개발을 지원하고 제조 AI 전문 기업 100개의 인력, 자금 판로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며 "2027년까지 3조원 규모의 AI 스타트업 집중형 펀드를 조성하고 대기업 수요 연계를 통한 스케일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2-20 16:55:49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野, 이재명이 쏘아올린 '중도보수' 논쟁 가열… 李, 조기대선 앞둔 '실용주의·외연확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민주당은 중도보수 정당"이라고 발언하면서, 당 정체성을 두고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이 대표는 당내 반발에도 이같은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데, 실용주의를 강조한 현실적인 접근이란 분석이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대표는 전날(19일)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국민들께서 민주당은 분배, 보수 정권은 성장에 방점을 찍었다고 생각하시는데 잘못 알고 있는 것"이라며 "유럽 국가 기준으로 민주당을 소위 좌파 진보라고 할 수 있겠냐. 저는 거기에 못 미친다고 본다"고 말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18일 한 유튜브 방송에서 "민주당이 중도 보수 정권으로, 오른쪽을 맡아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해당 발언 이후 당내에서는 "몰역사적" "월권" 등 비판하는 목소리가 쇄도했다. 그러나 이 대표는 굽히지 않고 자신의 발언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 대표의 발언이 평소 생각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이 대표가 보수·진보적 가치를 추구하기 보다는 '실용주의'를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 대표는 '100분 토론'에서도 "민주당이 가야 할 길은 실용"이라면서 "진보라는 기본적인 가치를 버리지 않고, 중점을 실용주의에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지난달 신년 기자회견을 두고 "이 대표가 우클릭을 본격화했다"는 반응이 있었지만, 다른 쪽에서는 "이 대표가 평소에 하던 발언과 다를 바 없다"고 일축하기도 했다. 그동안 이 대표는 상속세 인하, 종부세 폐지 등 그간 민주당의 방향성과는 다르다고 평가받는 정책을 제안했다. 지난해에는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도 이끌어냈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한 정치권 인사는 "민주당이 '유훈 정치'를 벗어나는 것 같다"고 호평한 바 있다. 이 대표가 중도층, 보수층에서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전 민주당 정부의 정책을 과감히 버렸다는 것이다. 진보 진영에서 민주당의 정체성은 해묵은 논쟁에 가깝다. 민주당보다 더 왼쪽에 있다고 평가받는 정당에서는 "민주당은 진보 정당이 아니다"라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다수 나오기도 했다. 이 대표가 언급한대로 '유럽 기준'으로 민주당이 중도보수 정당이라는 의미다. 또 이 대표는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등 민주당 출신 전직 대통령을 언급하며 "중도보수를 표방했다"고 말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경우 1997년 대선후보 당시 한 토론회에서 "우리당은 중도 우파 정당이다. 자유시장경제를 지지하기 때문에 우파이고, 서민의 이익을 대변하기 때문에 중도"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정체성 규정의 가장 큰 목표는 대선을 앞둔 외연 확장으로 풀이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국민의힘은 극우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국민의힘이 중도와 멀어지면서, 민주당이 조금 더 오른쪽으로 이동해 중도보수를 표방하면 확장성을 키울 수 있는 기회라는 분석이다. 또 다른 정치권 관계자는 "국민의힘이 중도보수에서 입지를 잃어버린 틈에 영토를 확장한다는 의미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2-20 16:40:04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일동제약그룹, '임상' 중심 역량 강화..."임상시험수탁기관 '디티앤씨알오'와 맞손"

일동제약그룹의 신약개발전략 회사인 애임스바이오사이언스가 디티앤씨알오와 신약연구개발 및 임상시험 분야 제휴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디티앤씨알오는 임상시험수탁기관(CRO)으로 비임상시험, 임상 1~3상, 시판 후 조사, 관찰 연구, 약물감시 등을 종합적으로 수행한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신약 개발 초기 전략 및 임상 시험 설계 최적화 ▲임상 시험 운영 및 데이터 관리 효율화 ▲분산형 임상 시험(DCT) 기반의 혁신 모델 개발 ▲글로벌 임상 시험 규제 대응 및 신약 허가 전략 수립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한다. 또 양사는 이미 협업을 진행해 온 다수의 임상 1상 과제, 글로벌 제약사의 한국 내 가교 시험, 식품의약품안전처를 비롯한 관계 기관 대응 등과 같은 업무도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박채규 디티앤씨알오 대표는 "임상 운영·관리 분야에서 자제척으로 역량을 갖췄으며, 모회사인 디티앤씨바이오그룹의 임상 분석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 관련 계열사와 연계한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며 "애임스바이오사이언스와 함께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신약 R&D 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02-20 16:28:52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與 어디로 가야 하나 "탄핵 인용 후 플랜 필요, 마음 울리는 정책으로 다가가라"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야당 때리기 이외에 특색 있는 행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공당으로서 중도층 잡기에 집중하고 시민의 마음을 울릴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20일 나왔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당 전략기획특위가 준비한 '국민의힘, 어디로 가야 하는가' 세미나를 열고 전문가와 당협위원장 등의 당 발전을 위한 의견을 들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탄핵 기각과 인용에 대비한 계획을 세워놓고 국민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탄핵 기각이 됐을 경우, 온 국민이 환영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놀란 국민들에게 내란죄 재판을 계속 받는 대통령이 복귀하는 것이 탄핵 기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은 불안하고 겁내는 사람들이 있을 것인데, 이들을 과연 국민의힘이 어떻게 해야 하나"라며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것 아니냐는 걱정들이 있을 것이고, 그런 이미지를 갖는 대통령이 복귀했을 때 윤 대통령은 국민적 신뢰를 가질 수 있을까"라고 반문했다. 신 교수는 "공당으로서 구체적인 것들을 이야기해줘야 한다"며 "개인적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문제는 논란이 재현될 소지는 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탄핵 인용과 두달 뒤 있을 조기 대선에 대비해서 중도층을 잡는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이번엔 진영 대결이라서 뭉치면 된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그런데 동아시아연구원에서 나온 웹조사를 보면 침묵하는 중도층이 굉장히 많다. 그들을 무시하고 가면 어떻게 될까"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표가 요새 우클릭한다하고 중도보수 정당이라고 이야기한다"라며 "주목 끌기 위해 그렇다고 말하지만 다른 측면도 있다. 중도층을 잡아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신 교수는 여러 여론조사를 언급하며 "강성 지지층은 세상이 쪼개져도 국민의힘을 찍는다"며 "플랜 비(B)를 생각했을 때 어떤 방법을 통해서 중도층의 호응을 받을 수 있을지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은식 광주 동남을 당협위원장은 대한민국 정치사의 한 장면들을 꺼내들면서 국민의힘이 약자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정권교체를 이뤄내기 위한 박근혜 비대위의 천막당사를 기억할 것"이라며 "좋은 당사에서 활동할 수 있지만 정책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 풍찬노숙 고생한다는 걸 대중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면서 정권을 가져오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 정권에서 김성태 전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드루킹 특검 때 단식을 해 미래 잠재적 대권 주자(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날라가게 됐고 파렴치한 댓글 공작을 밝혀냈다"며 "윤희숙 전 국민의힘 의원도 대단한 일을 했다. 국회에서 '저는 임차인입니다'라는 발언으로 민주당 주택 정책을 비판하면서 떠오르는 스타가 됐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장은 "중요한 이슈, 예를 들어 최근 반도체 특별법 연구개발 인력의 주52시간 근로제 예외를 두고 대부분 하는 일이 토론회 개최해서 기자가 오고 끝난다"며 "그걸 할 것이 아니라 좀 더 희생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자기를 내려놓고 '아프다, 힘들다, 제발 이거 들어주십쇼'하면서 뒤집어야 한다. 국민의힘은 아젠다가 분명히 있는데 스피커 부재가 아쉽다"라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대중은 우파 정치 엘리트 집단의 피나는 희생을 원하고 대중은 더 자극적인 것을 원한다"며 "이게 좋치 않냐는 정책보다 맘을 움직일 수 있는 방식을 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저번에 총선에서 이조심판(이재명·조국 심판)론을 했는데, 왜 야당을 심판하나, 우리가 무엇을 하겠다고 이야기 해야 한다"며 "이 대표 말고 김부겸 전 총리, 김경수 전 지사 나오면 대통령하라고 할 것인가"라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나라를 부강하게 만들 수 있으니까 뽑아달라고 해야 한다"며 "(MB 정부의) 뉴타운 정책은 강북을 목표로 했다. 당시 총선에서 강북을 우리가 석권했다"며 "우리는 25만원 나눠준다는 것에 맞서서 적자 공공 병원 통폐합, 부실 대학 정리 등 비용을 줄이는 아젠다를 내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2025-02-20 16:03:02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Hanwha Philile Shipyard Emerges as a Key Hub for U.S.-Korea Shipbuilding Cooperation… U.S. Legislators Visit Shipyard for Inspection

Hanwha Group's U.S. shipyard, Philile Shipyard, which was acquired in June of last year, is gaining attention as a key hub for shipbuilding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shipbuilding industry on the 20th, Mark Kelly, the U.S. Senator from Arizona who introduced the so-called "Shipbuilding Act" aimed at strengthening the U.S. shipbuilding industry, visited Hanwha Philile Shipyard on the 18th (local time) to discuss future strategic collaboration plans. Senator Kelly is the key figure behind the introduction of the "Shipbuilding and Port Infrastructure Act for America's Prosperity and Security" in the 118th U.S. Congress. The bill highlights the fact that only 2% of goods imported into the U.S. are transported on U.S.-flagged vessels and aims to expand the strategic merchant fleet to 250 ships within the next decade. It emphasizes the need for cooperation with allied nations, including South Korea, to achieve this goal. Philile Shipyard was fully acquired by Hanwha Ocean and Hanwha Systems in 2022, with a $100 million investment (approximately 1.38 trillion KRW at the time). The acquisition is intended to serve as a foothold for entry into the U.S. merchant ship and defense industry markets. Since 1997, the shipyard has been responsible for building half of the large container ships constructed in the U.S. Its docks are the largest in the U.S., with two 330-meter (length) by 45-meter (width) docks. The shipyard has primarily built medium-sized (MR) tankers, small container ships, and other mid-to-small-sized merchant vessels. To create synergy with Hanwha Ocean's Geoje plant, which focuses on large vessel orders, Philile Shipyard is expected to expand its portfolio by focusing on medium-sized tankers and container ships. There is also a potential for expanding into the U.S. Navy's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 business, which is valued at 20 trillion KRW annually,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shipbuilding in this sector. Hanwha Ocean has recently started preparations for its long-term strategy to obtain the Facility Certification License (FCL) for Philile Shipyard, which is necessary to qualify for U.S. Navy vessel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 contracts, as well as shipbuilding. Obtaining the FCL is essential for securing Navy MRO contracts. After reviewing the shipyard's production processes and listening to feedback from the field, Senator Kelly commented, "Currently, the U.S. has only half the shipbuilding capacity needed to meet demand." He added, "Korean shipbuilding has global competitiveness in terms of technology and productivity, making it the strongest partner for the U.S." Senator Kelly emphasized, "The direction the U.S. shipbuilding industry should take is not merely recovery, but a leap toward becoming a globally competitive, sustainable industry," and added, "We will support Philile Shipyard in playing a key role at the center of this transformation." David Kim, CEO of Philile Shipyard, stated, "The U.S. shipbuilding industry faces structural challenges such as supply chain instability and a shortage of skilled labor," and further emphasized, "We will do our best to resolve these issu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growing the U.S. shipbuilding industry in a sustainable direction." Currently, Hanwha Philile Shipyard operates a three-year apprenticeship program, supporting participants in entering the shipbuilding industry without the burden of technical training cost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20 15:54:07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