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입시학원에 문제 판 교사들…감사원 “249명이 5년간 213억 챙겨”

현직 교사들이 학원가에 문제를 팔아 돈벌이를 해온 사실이 적발됐다. 5년 동안 이들 사이 오간 금액만 무려 213억원에 달했요. 공교육의 공정성이 무너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감사원에 따르면, '교원 등의 사교육시장 참여 관련 복무 실태 점검' 결과 사교육 업체에 모의고사 등 문제를 제공하고 뒷돈을 받은 현직 교사 249명이 적발됐다. 감사원이 산정한 교사들의 수취 규모는 총 212억 9000만원이다. 교사가 사교육 업체에 문항을 제작·판매하는 영리 행위를 하는 것은 국가공무원법, 사립학교법, 청탁금지법 위반에 해당한다. 거래는 사교육 업체가 수능 연계 EBS 교재 집필진이나 인맥 등을 동원해 교사와 접촉해 계약을 맺는 식으로 이뤄졌다. 고교 교사 A씨는 학원 강사 B씨에게 2015년부터 모의고사 문제를 판매했다. A씨가 8개 해당 업체로부터 5년 동안 받은 금액은 6억1000만원에 달한다. A씨는 사교육업체가 모의고사 문항 제작 팀장직을 제안하자 전국연합학력평가 출제 당시 알게 된 교사들을 끌어들이기도 했다. 교사 C씨는 2019년 문제 2000여개를 강사에게 판매해 3억2000만원을 벌어들였다. 여기에 다른 교사 6명도 끌어들였다. C씨는 3억2000만원 가운데 2억4000만원은 배우자 계좌를 이용해 문항 제작 및 검토·수정 명목으로 입금받았다. 고교 과학교사 D씨는 교사 35명으로 문항 제작진을 꾸려 문항을 사교육 업체에 팔았다, 그 과정에서 배우자가 설립한 '문제팔이'용 출판업체를 설립하고 제작진의 문제를 구입한 뒤 사교육 업체에 넘기는 방식을 쓰기도 했다. D씨 배우자가 설립한 해당 업체는 이 같은 방식으로 2019년부터 4년간 매출 18억9000만원을 올렸다. 감사원은 조직적으로 활동하는 등 비위 정도가 큰 교사 29명에 대해서는 징계요구(8명) 혹은 비위통보(21명) 하고, 나머지 220명은 교육부가 시·도교육청과 협의해 적정한 조치를 하라고 통보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부는 제도 개선 사항에 대해 적극 추진하고, 관련자 조치는 관계 기관과 협의해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2-19 08:48:56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당정 "국가AI컴퓨팅센터에 1.5조 정책금융 지원…인프라 조기 확충·고급 인재 확보 추진"

당정이 인공지능(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 역량 강화를 위해 AI 컴퓨팅 인프라 조기 확충, AI 모델 개발을 위한 고급 인재 확보, 스타트업 육성책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8일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당정협의회에서 "미국 주도 AI 기술은 천문학적 자금을 투자해서 만들었는데, 중국의 딥시크는 저비용 고성능 AI 기술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며 AI 기술 패러다임의 전환을 확인했다"며 "우리에게 아직 기회가 남아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우리 AI 정책 방향이 어떠하냐에 따라 우리 삶과 미래가 결정되는 중대한 분기점에 서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당정협의회엔 권영세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김상훈 정책위의장, 안철수 AI 3대강국 도약 특위 위원장,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지적하듯이 AI 시대엔 타국에 종속되지 않는 AI 주권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독자적 AI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경제뿐만 아니라 사회, 안보 측면에서도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우리 모두 AI 경쟁에서 밀린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는 생즉사사즉생 정신으로 임해야 한다"며 "당정뿐 아니라 민관이 한 마음으로 협력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수립해 전광석화의 속도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회의 후 결과 브리핑에서 "민관 협력을 통해 국내 고성능 GPU(그래픽 처리장치) 1만장을 확보해 국가 AI 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조기에 개시하도록 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기존 2000장이던 최첨단 GPU 보유량을 2만장으로 10배 확충해 기업과 연구계가 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는 정부의 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게 당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통해 구축된 GPU와 멀티모달 기능(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받아들여 통합 처리)을 지원하는 다양한 학습 데이터를 연구계와 산업계에 지원해 우리나라의 자체 AI 기본 모델이 챗GPT 등 세계적 수준에 버금가는 AI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겠다"고 했다. 또, AI, 반도체, 2차 전지, 바이오 등 국가 첨단 전략 기술을 연구하는 학생들에게 획기적인 장학 제도를 도입하고 중장기적으로 무상 교육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부와 협의해 국가 장학금 제도를 손보겠다고도 했다. 송상훈 과기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국가 AI 컴퓨팅 센터는 민관 합작의 특수목적법인(SPC)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며 "정부와 민간이 각각 2000억원씩 출자해서 총 4000억원으로 출발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법인에 총 1조5000억원 규모의 정책 금융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우리나라에 필요한 AI 컴퓨팅 자원을 지원하도록 추진하고 있고 당정협의회에서 제시한 것처럼 당초 2030년까지 구축할 계획이었지만, 이것을 조금 더 당겨서 조속한 시일 내에 구축하고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형두 여당 과방위 간사는 정부 추경안 편성시 총 2조원의 GPU AI 확충에 대한 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고 전했다.

2025-02-18 16:32:03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자급제폰·알뜰폰 확산에…'단통법' 폐지해도 보조금 출혈경쟁 없을 전망

오는 7월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대한 법률)이 폐지되지만, 통신사 간 보조금 경쟁은 전처럼 치열하지 않을 전망이다. 비싼 통신사 요금제와 의무 약정기간을 피해 자급제 휴대폰을 구입하고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하는 비율이 급격히 늘어난 탓이다. 통신업계도 변화한 통신지형과 각사의 중점 사업을 고려해 마케팅 비용 지출에 신중을 기하고 기존 회원 이탈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을 우선시 할 전망이다. 18일 <메트로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오는 7월 22일부터 단통법이 폐지된다. 그러나 단통법 시행 이전에 만연했던 출혈 보조금 경쟁은 없을 전망이다. 통신사의 비싼 요금제를 피한 자급제·알뜰폰 요금제 조합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비용 투입 대비 신규 고객 유치효과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장기화한 경기침체로 경영 효율화를 위한 마케팅 비용 또한 통신사의 난관이다. 자급제 단말기 이용률은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국내 자급제 단말기 이용률은 28%로 10명 중 3명은 자급제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6월 18.9%를 기록한 데 이어, 약 2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성장했다. 자급제 단말기는 이동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이용자가 직접 기기를 구입해 원하는 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를 뜻한다. 통신사를 통해 산 휴대폰과 달리 기본으로 깔려 있는 앱(APP)이 없고 통신사 간 이동이 유리해 가계 통신비를 아끼기 위한 방법으로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자급제 단말기의 통신사 이용 비중은 이통 3사가 17.2%에 불과한 반면, 알뜰폰은 91.9%에 달한다. 2023년 10월 기준 휴대폰 알뜰폰 가입자 수(회선 수 기준)는 860만명으로, 2022년 대비 130만 명 이상 증가한 수치다. 통신사의 회원 수도 줄었다. 유진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SK텔레콤은 2014년부터, KT는 2020년부터 가입자 수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LG유플러스는 2014년 이후 가입자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알뜰폰 시장의 성장가도를 따라잡진 못하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공시지원금이나 보조금 혜택 등 가입자 확보를 위한 마케팅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급제는 통신사에서도 환영할 일"이라면서도 "대부분의 소비자가 알뜰폰 시장으로 넘어가는 것은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통신사들은 이동통신 사업에서의 지형 변화를 받아들이며 더불어 과도한 마케팅 비용 지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미 보조금 경쟁을 했던 시기에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경험이 있는 탓이다. 지난 2008년에서 2010년 사이 보조금 경쟁이 전면 허용됐던 때, 통신3사의 마케팅 비용은 급증한 반면 수익성의 핵심지표인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급락했다. 반면 목표한 시장 점유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진 않았다. 통신사들은 과거와 달리 기존 회원에 대한 혜택을 늘려 이탈을 막는 록인(Lock-In) 전략을 취하는 모습이다. 보조금 중심의 가격 경쟁 대신 결합상품, 장기가입혜택, 부가혜택 등 다양한 형태의 인센티브를 지급해 이동을 막는다는 방침이다. 유진투자증권 이찬영 연구원은 "통신업 자체에서 창출할 수 있는 부가가치가 계속 축소되며 영업 성과 중요도가 다소 하락했다"며 "과거 매출 성장을 전적으로 견인하던 이동통신 사업과 달리, 현재는 통신업 외에도 매출을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 영역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 정성용 마케팅전략팀장은 "현재 (통신) 시장 상황은 과거 단통법 도입시기와 많이 다르다. 단말기 출고가가 지속 상승하고 고객의 단말기 교체주기도 길어지면서 전체적인 시장 상황이 안정되고 시장 규모도 작아졌다"고 말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2-18 16:26:59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Busy Busy' Business Leaders Are Focusing All Efforts on Securing Future Growth Opportunities"

As Korea's economy is expected to face a "perfect storm" (a complex crisis) this year, business leaders are accelerating efforts to secure future growth opportunities. The increasing uncertainty in the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the inauguration of Donald Trump's second term in the U.S. and a prolonged gap in diplomatic and trade leadership, is prompting them to mobilize private sector capabilities to ensure stable growth in core businesses and secure leadership in global markets. According to the business community on the 18th, Hyundai Motor Group Chairman Chung Eui-sun recently traveled to the U.S. Despite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the U.S. remains the most strategic region for Hyundai Motor Group, which achieved impressive results. Hyundai and Kia sold over 1.7 million vehicles in the U.S. market, accounting for more than 25% of global sales, marking their highest performance. Chairman Chung, who has elevated Hyundai's technological prowess over the past 20 years, began his trip with on-site management at the 'Mohave Test Track' and later had a golf meeting with Donald Trump Jr., who is considered a key figure in the U.S. This is seen as a move to respond to President Trump's announcement on April 2 regarding reciprocal tariffs and automobile taxes. There are predictions that if the U.S. imposes a 10% tariff on automobiles, Hyundai Motor Group's profit could decline by over 4 trillion KRW. The industry is closely watching whether Chairman Chung can foster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continue to achieve positive outcomes. SK Group Chairman and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KCCI) Chairman Chey Tae-won is scheduled to visit the U.S. to attend the Trans-Pacific Dialogue (TPD) in Washington, D.C. on February 21-22. This will be his first visit to the U.S. since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Donald Trump, and according to the disclosed schedule, he will be the first of the top four chaebols' leaders to visit Washington, D.C. The TPD is an event hosted by the CJ Chey Foundation, which Chairman Chey leads, and has been held since 2021. While the event is usually held in December, this year's timing was adjusted to February due to U.S. and Japan political schedules. Given that the event has previously seen prominent opinion leaders from Korea, the U.S., and Japan, influential figures from politics and business are expected to attend this year's event as well. Within the business community, there are expectations that Chairman Chey will present new collaboration strategies with the U.S. and Japan, which he has previously discussed. Discussions are also anticipated on various sectors that are becoming key pillars of the global economy in the AI era, such as semiconductors, infrastructure, and energy industries. Recently, Samsung Electronics Chairman Lee Jae-yong, who has resolved his legal risks, is highly likely to visit the Middle East for his first overseas business trip. Industry insiders expect him to visit Abu Dhabi, UAE, this month. The UAE is not only the first destination Lee visited after becoming chairman in October 2022 but also the place he visited the day after being acquitted in his first trial. During his visit, Lee is expected to focus on cooperation in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like 6G, IT new businesses, and semiconductor-related collaborations. Kim Dong-kwan, the eldest son of Hanwha Group Chairman Kim Seung-yeon, is focusing on expanding the group's competitiveness in the defense sector, which is one of its core areas. Kim Dong-kwan, who recently visited the UAE, met with Faisal Al Bannai, CEO of EDGE Group, on the 17th to discuss ways to build strategic partnerships in the defense industry, as well as in space, shipbuilding, and maritime sectors. Additionally, Kim explored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in unmanned air defense systems, space and satellite industries, and potential cooperation between Hanwha Ocean and EDGE Shipyard in the shipbuilding and maritime sectors. Hanwha and EDGE plan to continue discussions to establish concrete collaboration strategies and expand their strategic cooperation in the defense and related industries. An industry insider commented, "Given the challenging current situation in our country, companies are proactively preparing countermeasures to respond to the tariff bomb from the Trump administration. However, there are limits to what businesses can solve on their own, so there is also hope for diplomatic support from the government."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18 16:24:5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근무제' 여전히 이견… 국정협의회서 합의될까

여야가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반도체특별법(반도체법)에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규정 포함 여부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산업계의 눈은 오는 20일 열리는 여야정 국정협의회에 쏠리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와 관련해 이견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진정성을 갖고 소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18일 국회에 따르면 여야는 전날(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기업벤처위원회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산업소위)를 열고 반도체법을 논의했다. 여야 모두 반도체 산업에 대한 보조금 지원에는 합의를 이뤘지만, 연구개발(R&D) 연구직 등 전문직에 대한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적용(화이트칼라 이그젬션)에 대해서는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여야는 이날 산업소위에서 화이트 이그젬션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을 두고 서로 책임을 물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주52시간 예외 조항' 없이 어떤 것도 합의할 수 없다는 무책임한 몽니"라며 "반도체 산업이 망가지더라도 민주당이 하자는 것은 기어코 발목 잡아야겠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합의 가능한 부분부터 변화의 물꼬를 터보자"고 제의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여러분의 보좌진은 국감이나 지역구 선거처럼 일이 몰리고 바쁜 시기에 주 52시간을 준수하느냐"며 "민주당이 주52시간 예외 조항을 반대하는 건, 자신도 못 지키는 법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위선이자 폭력"이라고 꼬집었다. 여야 의원들이 발의한 반도체법은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반도체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전세계적으로 반도체 산업이 급변하는 가운데, 반도체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것은 여야 모두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화이트 이그젬션에서 여야가 의견이 갈린다. 국민의힘은 반도체 R&D 인력이 주 52시간 근로제에 묶여 있어 국내 반도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반도체법에 예외 조항을 한시 도입 시한을 '최장 10년'으로 명시하자고 했다. 반면 민주당 등 야당은 일단 정부의 세제 지원 등 합의된 내용만 우선 통과시키고, 화이트 이그젬션은 넣지 말자는 입장이다. 반도체 산업에 예외를 적용하면 다른 전략 산업 분야도 같은 요구를 할 수 있고, 이럴 경우 '주 52시간' 제도가 사실상 형해화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결국 오는 20일 열릴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추가경정예산안·연금개혁 등과 함께 반도체법이 논의될 예정인데, 이 자리에서도 합의가 쉽게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빈손 회동'이라는 결과를 피하기 위해 여야 설득에 나섰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장시간 노동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는 진정성을 갖고 소통하면 충분히 해소될 수 있다"며 "정치의 목적은 '민생'이고, 정치의 방법은 '소통'"이라며 여야합의를 촉구했다. 한편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는 반도체 기업에 대한 세액 공제율을 5%포인트(p) 씩 상향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일명 'K칩스법') 등 7개 세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조특법 개정안의 골자는 반도체 기업의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기존 대기업 15%, 중소기업 25%에서 각각 5%p 올린 20%, 30%가 적용되는 내용이다. 또 국가전략기술, 신성장·원천기술 관련 연구개발(R&D)시설 투자에도 기존 사업화시설 투자에 대한 공제율(통합투자세액공제)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국가전략기술은 대·중견기업 15%, 중소기업 25%이고 신성장·원천기술은 대기업 3%, 중견기업 6%, 중소기업 12%다. 당해 연도 투자액이 직전 3년 평균 투자액보다 크면 10%가 추가 공제된다. 국가전략기술 및 신성장·원천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 세액공제 적용 기한을 2029년 말까지 2년 추가연장하고, 반도체 R&D 세액공제는 2031년 말까지 4년 연장한다.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임시투자세액공제 적용기한도 올해까지 1년 더 추가로 연장된다. 국가전략기술에 인공지능(AI)과 미래형 운송수단 및 이동수단을 추가하는 조특법도 기재위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노후차 교체 시 개별소비세를 6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감면해주고, 통합고용세액공제가 적용되는 경력단절자 범위에 남성도 포함된다. 상속·증여세법에서는 증여재산 공제가 적용되는 친족 범위가 기존 6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에서 4촌 이내 혈족, 3촌 이내 인척으로 조정된다. 한편, 산업계에서는 세액 공제 수준의 지원만으로는 경쟁이 어렵다며, 경쟁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2025-02-18 16:03:11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그록3' 공개..xAI, "오픈AI·딥시크보다 성능 우수"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18일 새 AI 모델 '그록(Grok)3'를 공개했다. xAI는 그록3가 수학, 과학, 코딩 벤치마크에서 오픈AI 'GPT-4o', 앤트로픽 '클로드 3.5 소네트', 딥시크 'V3' 등 경쟁사의 생성형 AI 모델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작년 미국 수학경시대회 문제로 거대언어모델(LLM)들을 평가한 결과 딥시크 V3는 39%, 클로드 3.5 소네트는 26%, 그록3는 52%의 정답률을 기록했다고 xAI는 설명했다. 또 xAI는 과학 관련 벤치마크 'GPQA'에서 V3는 59%, 클로드 3.5 소네트는 65%, GPT-4o는 50% 정답률을 나타낸 반면, 그록3의 정답률은 75%였다고 강조했다. 그록3는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H100 10만개를 탑재한 콜로서스(Colossus) 슈퍼컴퓨터에서 2억 시간 동안 훈련됐다. 이날 xAI는 그록3 기반의 새 에이전트 '딥서치(DeepSearch)'도 공개했다. 오픈AI의 지능형 검색 엔진 '딥 리서치'와 비슷한 도구로 웹 페이지나 엑스(옛 트위터) 등에서 오랜 시간 검색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질문을 받으면 이해하는 과정과 함께 답변을 어떻게 계획하는지 표현해주는 기능을 갖췄다. 그록3 서비스는 엑스 유료 멤버십 '프리미엄 플러스'(월 2만9000원, 연 30만원) 구독자에게 우선 제공된다. xAI는 추가 추론, 무제한 이미지 생성 등을 지원하는 '슈퍼그록'도 출시한다. 월 구독료 30달러(약 4만3000원) 또는 연 구독료 300달러(약 43만원)로 이용 가능하다.

2025-02-18 16:01:40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딥시크 개인정보 이전, AI 외교 문제로 비화 조짐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가 국내 사용자 정보를 중국 소셜미디어(SNS) '틱톡'의 운영사인 바이트댄스에 넘겨 한국 내 서비스가 중단된 가운데, 중국 정부가 한국에 기술 문제를 안보화하지 않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내놓아, AI 기술이 양국 간 외교 문제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앞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는 지난 17일 "딥시크 사용자 정보가 바이트댄스로 넘어간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딥시크의 인터넷 접속 기록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국내 사용자 정보가 바이트댄스에 유출된 사실을 파악했다. 개인정보위는 "프록시 서버로 통신 기록을 분석해보니, 딥시크 접속시 사용자 정보가 바이트댄스로 전달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무슨 정보가 얼마만큼, 어떤 이유에서 흘러들어 갔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국내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르면, 개인정보 처리자는 동의를 받은 경우에만 제3자에게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의를 얻었다 하더라도,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개인정보 이용 목적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과 동의 거부에 따른 불이익에 관한 사항 등을 정보 주체에게 알려야 한다. 그러나 딥시크는 이 같은 법규를 지키지 않았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딥시크 사에 서비스를 잠정 중단하고 개선·보완할 것을 권고했고, 딥시크가 이를 수용해 지난 15일 오후 6시부터 국내 앱 마켓에서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앱을 새로 다운받는 것만 불가능할 뿐 이전에 내려받은 딥시크 앱을 사용하거나 딥시크 홈페이지로 접속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건 막히지 않아서 국내 개인정보 보호법을 위반한 데 따른 조치가 제대로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에 따른 처벌도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약한 편이라 딥시크가 이번 한국 정부의 서비스 중단 권고 조치로 큰 타격을 입진 않을 전망이다. 그럼에도 중국 정부는 딥시크 앱 서비스 중단 사실이 발표된 날 한국을 향해 쓴소리를 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7일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에 현지 법규를 엄격히 준수할 것을 요구해왔다"며 "관련 국가(한국)가 경제와 무역·과학·기술 문제를 안보화·정치화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2025-02-18 15:55:02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돈 없으면 AI도 못쓴다"…AI 유료구독이 벌린 '디지털 격차'

주요 생성형 인공지능(AI) 툴의 유료 구독료가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심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이 없어 문제로 지적된다. 18일 <메트로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현재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대화형 AI(챗GPT, 퍼플렉시티, 라마, 제미나이)의 개인용 평균 구독료는 월 20달러(약 2만9000원) 수준이며, 전문가용 구독제 요금은 평균 80달러(약 11만5000원)로 조사됐다. 특히 가장 높은 요금제는 챗GPT 프로로, 월 200달러(약 29만원)에 이른다. 1년을 사용할 경우 350만원 가까이 필요하다. 그림 생성형 AI(미드저니, 레오나르도, 노벨AI, 드림바이움보)와 음악 생성형 AI(SUNO, Udio)에도 월평균 20달러의 요금이 부과된다. AI 요금제가 디지털 격차를 심화시키는 이유는 유료 서비스의 비용 부담이 AI 접근성을 낮추고 활용 능력의 차이를 더욱 벌릴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AI들은 대부분 무료 구독에 대해 제한을 두거나 아예 이용을 금지하고 있어 AI 역량을 키우기 위한 활용마저 어렵게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드저니는 무료 이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SUNO AI는 2개 미만의 결과물만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챗GPT 또한 GPT-3.5 버전을 제공하는 등 유료구독자와 큰 차이를 두고 있다. 문제는 최근 기업들이 AI를 능숙하게 다루는 인재들에게 더 높은 임금을 지불하고 있어 AI 숙련도가 곧 노동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AI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전문 기업 AIPRM에 따르면, 2024년 미국 AI 관련 직군의 구인 공고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의 AI 직군 평균 연봉 중앙값은 16만5060달러(약 2억4000만원)였으며, 중견기업은 15만8560달러(약 2억3000만원), 중소기업은 12만5060달러(약 1억8000만원)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 사무직의 경우, 가장 높은 임금을 지급하는 캘리포니아 곤잘레스 지역을 기준으로 해도 평균 연봉이 4만8000달러(약 7000만원)에 불과했다. 이처럼 AI 인재에 대한 높은 보상은 한국에서도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맥킨지가 발간한 국가 경제 보고서 '한국의 다음 상승곡선(Korea's Next S-Curve)'에 따르면, 한국의 AI 인력 부족률은 17%에 달한다. 국내 기업의 약 80%가 AI 역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AI 사업 운영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꼽았다. AI가 개인의 경쟁력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활용도 역시 양극화되고 있다. 구글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Ipsos)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 응답자의 55%는 생성형 AI를 경험한 반면, 나머지 45%는 한 번도 사용해 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AI 경험자들의 유료 구독 건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KB국민카드가 지난해 10개 유형의 구독 서비스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4년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 건수는 전년 대비 29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활용도 차이는 기업 내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가트너의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9%는 주요 AI 도구를 업무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반면, 26%는 설문조사 시점까지 업무에 AI를 한 번도 사용해 본 적이 없었다. 가트너는 "기업들이 비즈니스 전략의 일환으로 AI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디지털 업무 환경에 AI를 통합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변화에 대한 저항과 AI 리터러시 부족으로 인해 대규모 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직원들의 AI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가 없다면, 기업은 AI를 활용해 목표한 가치를 실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IT 관계자는 "정부의 AI 활용 능력 강화를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등을 마련하고 특히 저소득층 등 디지털 격차가 큰 집단에 대해서는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2-18 15:46:52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尹탄핵심판 10차 변론 20일 예정대로 진행…"3월경, 선고 전망"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제10차 변론기일이 예정대로 20일 오후 2시에 열린다. 이르면 3월 초중순에 헌법재판소의 최종 선고가 나올 것이란 관측도 있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은 이날 윤 대통령 탄핵심판 제9차 변론기일에서 "공판 준비기일(형사재판)이 오전 10시고 오후 2시에 탄핵심판을 잡으면 시간 간격이 있다"며 "재판부가 주 4일 재판을 하고 있고 증인 조지호(경찰청장)에 대한 구인영장 집행을 촉탁하는 점, 10차 변론기일에 피청구인(윤 대통령) 측이 신청한 증인 3명을 신문하는 점을 종합해 20일 오후 2시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윤 대통령 측은 지난 14일 제10차 변론기일의 일정을 변경해 달라고 신청했다. 당일 오전 윤 대통령의 형사재판이 동시에 진행돼 방어권 보장 차원에서 일정을 변경해 달라는 취지였다. 이후, 국회 측은 지난 15일 윤 대통령 측이 '지연 전술'이라는 취지의 신청서를 헌재에 제출했다. 오는 20일 열리는 제10차 변론기일에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조지호 경찰청장 등 3명에 대한 증인 신문이 차례로 진행될 예정이다. 헌재가 윤 대통령 측의 기일 변경 신청 요구를 거부하면서 탄핵심판 심리도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법조계에서는 헌재가 오는 20일 변론을 끝으로 증인 신문을 끝내고 1~2차례의 최후 변론을 듣는 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통상 2주 간의 평의를 거쳐 3월 초중순에 선고가 나올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2025-02-18 15:20:02 원승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