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헌재, 방통위원장 탄핵 기각…이진숙 "2인으로 최소한 업무 수행 판단"

헌법재판소가 23일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의 탄핵을 기각했다. 헌재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이진숙 방통위원장의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열고, 재판관 4대 4로 기각결정을 내렸다. 헌재가 탄핵 결정을 내릴 경우 재판관 6인 이상의 찬성이 필요한데, 인용 4명 의견을 내면서 정족수에 이르지 못해 탄핵소추안이 기각됐다. 김형두, 정형식, 김복형, 조한창 재판관은 기각 의견, 문형배, 이미선, 정정미, 정계선 재판관은 인용 의견을 냈다. 탄핵 심판의 쟁점은 이 위원장이 방통위 5인 중 2인의 방통위원만 임명된 상황에서 공영방송 이사 선임안을 의결한 행위가 방통위법 위반인지 여부였다. 기각 의견을 낸 재판관들은 "방통위 5인 위원이 모두 심의·의결에 참여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기는 하나, 2인 간에도 서로 다른 의견 교환이 가능하다"며 "재적위원 2인으로만 개최되는 회의에서는 다수결의 원리가 작동되지 않는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인용 의견을 낸 재판관들은 "2인의 위원만이 재적한 상태에서는 방통위가 독임제 기관처럼 운영될 위험이 있다"며 "이는 방통위를 합의제 기관으로 설치한 입법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 적법한 의결을 위해선 3인 이상의 위원이 재적한 상태에서 재적위원 과반수의 찬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탄핵 기각 후 곧바로 방송통신위원회로 출근해 간부 회의를 소집하는 등 업무에 복귀했다. 이 위원장은 기각 결정 후 기자들과 만나 "국회에서 방통위원 3인을 추천하지 않더라도 2인으로도 최소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판단을 내려준 의미있는 결과"라며 "복귀해서도 기각 결정을 내려주신 국민을 생각하면서 규제든 정책이든 (이를) 명심하고 직무를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2025-01-23 16:52:06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설 명절 앞두고 '스미싱' 주의보…LG유플러스 "예방수칙 공유하세요"

설 명절 연휴를 앞두고 선물 택배 등으로 속이는 스미싱 범죄 시도가 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23일 스미싱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가족 간 예방 수칙 공유와 스팸 차단 애플리케이션 설치 등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스미싱은 발신자가 불분명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URL을 통해 악성코드를 설치하거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범죄다. LG유플러스는 스미싱 예방을 위해 발신자가 불분명한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를 무조건 의심할 것을 권고하며 부모님 휴대전화에 스팸 차단 애플리케이션(앱) 설치와 명의도용 방지 기능 설정을 권장했다. LG유플러스는 스팸 메시지를 자동 차단하는 'U+스팸차단' 앱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특정 번호나 문구를 설정해 차단·허용할 수도 있다. 가령, 국제 발신 번호인 '0077'을 차단하면서 구글 관련 문자는 허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통신 3사가 제공하는 'PASS' 앱을 활용하면 본인 명의로 개통된 휴대전화 목록을 확인하거나 가입 제한 설정을 통해 타인의 명의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스미싱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스마트폰 백신 앱으로 악성코드를 검사하고 악성 앱이 발견되면 휴대전화를 비행기 모드로 전환 후 초기화해야 한다. 동시에 112에 금융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에 등록해 추가 피해를 방지해야 한다. 아울러 LG유플러스는 설 연휴 기간 '당신의 U+' 앱과 공식 홈페이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채널 등에 '스미싱 예방 가이드라인'을 게시해 고객들이 쉽게 예방 수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혜민기자 hyem@metroseoul.co.kr

2025-01-23 16:41:50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Hyundai Motor Achieves Record-High Revenue and Sales…Hybrid and Electric Vehicle Growth Lead the Way

Hyundai Motor recorded its highest-ever performance in both revenue and sales last year. Hyundai Motor announced on the 23rd that its revenue for the previous year reached an all-time high of 175.2312 trillion KRW, marking a 7.7%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is is the highest revenue on record. The increase in revenue was primarily driven by the expanded sales of high-value models, a rise in average selling price (ASP), and favorable exchange rate effects. However, operating profit for the year was 14.2396 trillion KRW, down 5.9% from 2023. The operating profit margin also decreased from 9.3% in 2023 to 8.1%. Net profit stood at 13.2299 trillion KRW. Hyundai Motor's total sales for the previous year reached 4.141959 million units. The eco-friendly vehicle segment, driven by increased sales of hybrids and electric vehicles, grew by 8.9%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reaching 757,191 units and leading the overall growth. In the domestic market, sales decreased due to the impact of economic slowdown and weakened consumer sentiment. However, in the North American market, sales increased by 4.4%, maintaining a strong growth trajectory. Hyundai Motor's revenue for the fourth quarter of last year was 46.6237 trillion KRW, an 11.9%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the previous year. Operating profit was 2.8222 trillion KRW, a 17.2% decrease. Global wholesale sales in the fourth quarter totaled 1,066,239 units, a 2.2% de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While the hybrid and electric vehicle segments continued to show growth, the slowdown in China and emerging markets is believed to have impacted the overall performance. A Hyundai Motor official stated, "Despite increased profit and loss volatility due to the rapid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we continue to grow as sales in the North American region expand and the share of hybrids continues to increase." Hyundai Motor has set its management goals for this year with a global sales target of 4.17 million units, a revenue growth rate of 3-4%, and an operating profit margin of 7-8%. Last year, Hyundai sold a total of 4.142 million units, and in 2023, it recorded sales of 4.217 million units. To achieve these goals, Hyundai plans to fully activate its local electric vehicle production system in North America, expand the sales of hybrids and electric vehicles, and focus on defending profitability. Hyundai Motor has outlined its commitment to continue investing for the future, even in the face of global crises such as increased macroeconomic volatility and growing uncertainties. The company plans to invest a total of 16.9 trillion KRW this year, focusing on responding to the transition to SDVs (Software-Defined Vehicles), building a U.S. electric vehicle supply chain, and securing continuous advancements in future technologies. A Hyundai Motor official stated, "Amid ongoing global economic uncertainties, we aim to establish a sustainable growth foundation through flexible management strategies centered around North America and the expansion of eco-friendly vehicles." Meanwhile, reflecting its strong performance, Hyundai Motor set the year-end dividend at 6,000 KRW per share. The total annual dividend for last year amounted to 12,000 KRW per share, marking a 5.3%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Hyundai Motor plans to maintain a dividend payout ratio of over 25% to enhance shareholder valu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23 16:41:32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용현, 최상목 받은 '쪽지'에 "직접 작성해 실무자 통해서 줬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2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전달받았다는 '국가비상 입법기구' 관련 예산을 마련하라는 내용이 담긴 쪽지는 본인이 직접 작성해서 실무자를 통해 줬다고 주장했다. 김용현 전 장관은 이날 윤 대통령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4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의 대리인단의 주신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해당 쪽지에는 ▲예비비 조속 편성 ▲국회 관련 각종 운용자금 완전 차단 ▲국가비상입법기구 예산 편성이 주요 내용으로 담겨있었다. '국가비상입법기구' 관련 내용은 윤 대통령의 구속영장 발부와 탄핵심판에서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국가비상입법기구 설치 시도 자체가 헌법 기관인 국회의 입법 기능을 무력화해 국헌을 문란하게 하려한 목적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서울서부지법의 차은경 부장판사도 지난 18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영장실질심사에서 윤 대통령에게 국가비상입법기구 관련 내용을 물었고, 헌재도 지난 21일 3차 변론 기일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국가비상입법기구 관련한 예산을 편성하라는 쪽지를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준 적이 있는가"라고 물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달 본회의 현안질의에 출석해 비상계엄 선포 후 한장짜리 자료를 받았는데, 윤 대통령이 본인을 보고 '참고하라'고 했다고 한다. 반면, 윤 대통령은 자신은 준 적도 없고 쪽지에 관한 내용은 추후 보도를 통해 알게 됐다고 주장했다. 김 전 장관은 이날 "비상계엄이 발령되면 예상치 못한 예산 소요가 나올 수 있다고 판단해 예비비 확보를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것"이라며 "국회 보조금·지원금 차단은 정치적 목적으로 지급되는 각종 보조금·지원금을 차단하라는 취지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재부 내 긴급재정 입법권을 수행하기 위한 조직을 구성하면 예산이 추가로 들어가기 때문에 비상입법기구 관련 예산을 편성하라고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전 장관은 "(비상계엄 당시) 대통령이 (국회)의원이 아니라 요원을 빼내라고 했다"고 말했다.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이 윤 대통령이 본인에게 직접 전화해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했다고 증언한 것과 정면 배치되는 발언이다. 김 전 장관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 측 대리인이 "곽종근 사령관에게 '국회의원 150명 안 되도록 막아라. 빨리 의사당 문 열고 들어가 의원들 데리고 나와라'라는 말을 한 사실이 있느냐"고 질문하자 "없다"고 답했다. 김 전 장관은 국회 봉쇄 의도에 대해서도 부정했다. 김 전 장관은 "(국회 투입 병력은) 국회의 질서유지를 위한 것이지 봉쇄할 생각은 없었다"고 했다. 이어 "국회를 봉쇄할 생각이 있었다면 최소 7000명에서 8000명이 있어야 가능하지만, 병력 투입은 그에 한참 못 미쳤다"고 주장했다.

2025-01-23 16:34:17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VOD 구매 때마다 할인"…SKB, '설날 정福' 이벤트 진행

SK브로드밴드가 다가오는 설 연휴를 맞아 가족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설 연휴 동안 신작 주문형비디오(VOD) 구매 고객에게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설날 영화 정福(복)' 이벤트가 오는 24일부터 내달 2일까지 열린다. '위키드', '소방관', '대가족', '아마존 활명수' 등 총 17편의 인기 영화 VOD로 구성했다. 대상작 한 편 구매 시 1100원, 두 편 구매 시 2200원, 세 편 구매 시 3300원의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최대 6600원까지 중복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네 편 이상 구매하면 최대 3만원 상당의 신세계 상품권도 증정한다. 또한 B tv+, 지상파, CJ ENM, JTBC, SPOTV, 캐치온 등 월정액 6종을 12개월 약정으로 가입하면 상품 하나당 신세계 상품권 3만원(최대 18만원)을 제공한다. 아이들을 위한 '2025 B tv ZEM(잼) 행운 꾸러미' 이벤트는 내달 2일까지 진행된다. '뽀로로 시즌 5~8 전편 소장 패키지'와 '뽀로로 극장판 5종 소장 패키지'를 최대 50%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한다. 향후 인기 동화와 프리미엄 영어 콘텐츠로 구성된 '동화 꾸러미'와 '영어 꾸러미' 전집은 무료로 편성될 예정이다. 한편 SK브로드밴드는 전통시장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생 노력의 일환으로 30일까지 'B tv 우리동네광고'를 통해 서울 수유전통시장, 대구서문시장, 부평종합시장 등 전국 총 59곳의 전통시장 광고를 인근 지역에 무료로 송출한다. B tv 우리동네광고는 골목상권, 소상공인 등 지역 사업자들이 B tv에 TV광고를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만든 플랫폼이다. SK브로드밴드의 김혁 미디어사업본부장은 "설 연휴 기간 동안 B tv가 준비한 다양한 설날 이벤트를 통해 B tv 고객분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시길 바란다"며 "또 'B tv 우리동네광고'를 통해 명절 기간 전통시장이 활기를 찾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이혜민기자 hyem@metroseoul.co.kr

2025-01-23 16:30:15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상고하저 극복 못했다…LG전자, 영업이익 3분기 比 4분기 82% 폭락

LG전자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연간 매출 87조원을 돌파하고, 사업본부별로 고른 매출 상승을 기록했다. 다만, 매년 하반기 수익이 떨어지는 '상고하저'를 극복하진 못했다. 특히 4분기 실적에서 여러 어려움들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LG전자는 연결기준으로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82조2627억원) 대비 6.6% 증가한 87조7282억 원,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4% 감소한 3조4197억원을 기록했다고 23일 공시했다. 4분기만 떼서 실적을 살펴보면 여러모로 심각한 수준이다. 이번 2024년 4분기 매출은 22조7615억 원, 영업이익 1354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4분기 대비 매출은 0.1%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56.7% 감소했다. 직전분기인 2024년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2조1764억원, 영업이익 7519억원 대비해서는 81.99% 폭락했다. 연결 자회사인 LG이노텍의 실적(2479억원)을 제외하면, LG전자의 4분기 영업손실은 1139억원이다. 이번 LG전자의 4분기 실적은 TV를 제외한 생활가전, 전장, BS 등 모든 사업부의 적자로 인한 것이다. 사업본부별로 보면 생활가전 담당인 H&A 사업본부가 4분기 매출액 7조4153억원, 영업손실 117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동기 대비 11% 늘었으나 비용 증가로 인한 적자가 이어졌다. 전장사업 담당인 VS사업본부는 4분기 매출액 2조6554억원, 영업손실 200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연간으로는 건실한 실적을 냈다. H&A 사업본부는 33조2033억원의 매출에 영업이익 2조446억원을 달성했다. LG전자 측은 "하반기 들어 급등한 물류비 및 마케팅비 증가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줄었다"면서 "수주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개발 비용과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가 늘어난 것 또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B2B 솔루션 담당 BS사업본부는 4분기 매출 1조2483억원, 영업손실 1231억원이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줄었고 적자 폭도 확대됐다. HE사업본부는 사업부 중 유일하게 4분기 373억의 흑자를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3% 늘어난 4조3716억원으로 집계됐고,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701억원) 대비 흑자전환했다. LG전자는 이번 실적에서 보이는 매출 대비 낮은 영업이익과 상반기 높은 영업이익을 하반기에서 이어가지 못하는 상고하저 상황을 두고 ▲하반기 해상물류비 상성 ▲사업 포트폴리오 혁신을 위한 비용 지출 등으로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해상 물류비 상승폭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1월부터 계속 상승해 12월 첫째주는 전주 대비 44.83P 상승한 2505.17P를 기록했다. LG전자는 앞서 2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하반기 해상운임 비딩 결과 컨테이너당 평균 해상운임이 전년 동기 대비 약 58% 상승하고, 광고비 등 마케팅 경쟁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LG전자는 "연간 전사 경영실적으로 보면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에 따른 질적 성장이 이어지고 있어 긍정적"이라며 "올해 LG전자는 사업 포트폴리오 혁신에 기반해 질적 성장에 더욱 속도를 내고 품질, 원가 등 사업의 근원적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면서 고정비를 효율화해 건전한 수익구조를 확보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1-23 15:57:50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서울시교육청, 25일 ‘제3회 다축제’ 개최…'청소년 주도' 성과 공유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오는 25일 구로구 오류중학교에 위치한 '다가치학교-남부'에서 청소년 주도 프로젝트 성과를 공유하는 '다축제'를 개최한다. '다축제'는 '다가치학교-남부'만의 청소년 주도 프로젝트의 성과와 의미를 나누는 축제로, 올해로 3회를 맞이했따. '다가치학교-남부'는 지난해 5월 기획워크숍을 시작으로 8개월간 청소년 주도 프로젝트 활동을 했으며, 이번 '다축제'를 통해 프로젝트를 마무리한다. 올해는 총 195명의 청소년이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했다. 청소년이 직접 기획한 출판 북콘서트, 관객이 참여자가 돼 소통하는 연극 공연(마술피리) 등 18개 프로젝트(초등과정 2개, 청소년 과정 16개)가 준비됐다. 축제에서는 공연, 체험 부스, 먹거리, 참여형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올해는 '박물관은 살아있다'라는 콘셉트로 청소년의 다양한 목소리와 관심사, 프로젝트 활동 경험을 나눌 예정이다. 지역주민 및 청소년 등 다가치학교에 관심이 많은 사람은 누구나 참가할수 있으며, 25일 오후 2시 구로구 오류중학교 내'다가치학교-남부'로 오면 된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다축제를 통해 청소년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프로젝트 활동과 다가치학교의 의미를 알리고 청소년과 마을, 학교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서울형 청소년 자치배움터가 잘 운영되고 확산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01-23 15:55:53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주말은 책과 함께] 남자는 왜 친구가 없을까 外

◆남자는 왜 친구가 없을까 맥스 디킨스 지음/이경태 옮김/창비 모벰버 재단의 2018년 조사에 의하면, 영국 남성 3명 중 1명은 "가까운 친구가 없다"고 응답했다. 또 '자신의 문제를 진지하게 의논할 친구가 있느냐'는 질문에 절반 가까이가 "아무도 떠오르지 않는다"고 답했다. 대인관계가 박살 난 남성들은 어디로 향했을까. 젊은 남자들은 온라인상에 반페미니스트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그들만의 동굴에 숨어 여성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며 피해망상을 키워갔다. 중년남은 우울의 늪을 허덕이다 떠밀리듯 생을 등졌다. 영국 내 자살자 넷 중 셋은 남성이라는 통계가 보고됐으며, 노년 남성들은 사회적 관계망의 부재 속에서 고독사를 맞았다. 과시와 경쟁, 조롱과 모멸로 시작해 압도적 자살률과 고독사로 마무리되는 비뚤어진 남성 문화를 고발한 책. 456쪽. 2만4000원.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지젤 사피로 지음/원은영 옮김/이음 누군가 '좋아하는 문학 작품이 뭐냐'고 물었을 때 쉽게 답을 못하고 우물쭈물 거린 적이 있다. 작가의 행적이 체면 깎이게 후져서 그 제목을 입 밖으로 꺼내면 질문한 사람이 답한 이의 인성 수준을 의심할까 봐 염려됐기 때문. 결국 필자는 그 소설을 '최애(최고로 애정하는) 목록'에서 뺐다. 작품과 작가의 도덕성을 둘러싼 문제는 예술계에서 자주 격렬한 논쟁거리가 되곤 한다. 저자는 문제가 되는 작품을 삭제하고 없었던 것으로 만드는 일은 위험한 행동이라고 이야기한다. 폭력의 흔적마저 지워 버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빠르고 명쾌한 결정이나 해답보다는 '알고자 하는 바를 얻기 위해 묻는 태도'와 '좋은 질문'이 필요하다고 책은 강조한다. 228쪽. 1만8000원. ◆생존자들 이준호 지음/유월서가 책은 20세기를 비탄에 빠뜨렸던 2차 세계대전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을 조명한다. 지옥을 알리기 위해 아우슈비츠로 걸어 들어간 폴란드 군인, 미국 정보원과 대통령 보좌관을 지낸 '리옹의 인간 백정', 전쟁의 폐허 속에서도 지성과 창조성을 빛낸 예술가들의 이야기는 연대와 생명력이 전쟁 속에서 얼마나 뜨겁게 불타오르는지를 역설한다. 2차 세계대전이라는 지옥의 불구덩이에서 생존한 이들은 '인간의 존엄'을 잃지 않았기 때문에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전쟁의 한복판에서 살아 돌아온 인간의 역사를 다룬 책. 292쪽. 1만6800원,

2025-01-23 15:39:31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