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조4000억 잠자는 돈"…금융소비자 환급률 약 29% 그쳐
숨은 금융자산이 여전히 18조원을 웃돌고 있지만, 소비자가 실제로 찾아간 비중은 3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2일 이 같은 '숨은 금융자산 현황'을 공개하며 환급률 제고 방안을 내놨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말 기준 숨은 금융자산은 18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15조9000억원, 2022년 16조3000억원, 2023년 18조원에 이어 지난해 말과 같은 수준이다. 세부적으로는 장기 미거래 예적금 14조1000억원, 소멸시효가 지난 휴면예금 1조4000억원, 미사용 카드포인트 2조9000억원 등이다. 최근 3년간 금융권 평균 환급률은 28.9%에 머물렀다. 업권별로는 카드사(78.7%)가 가장 높았고 손해보험사(44.1%), 생명보험사(39.4%)가 뒤를 이었다. 반면 증권사(20.9%), 은행(8.1%), 저축은행(4.3%)은 낮은 수준에 그쳤다. 은행권의 경우 광주은행(26.2%), 카카오뱅크(15.4%), 국민은행(15.1%) 등이 상대적으로 환급률이 높았지만, 한국SC은행(0.31%), 신한은행(1.77%), 경남은행(2.17%)은 저조했다. 카드사에서는 신한카드(84.4%), KB국민카드(83.9%), 우리카드(82.4%) 등이 높은 환급률을 기록했다. 금융소비자가 숨은 자산을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금감원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 금융결제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어카운트인포' 앱 등을 통해 본인 계좌와 포인트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2019년부터 시행된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을 통해서는 지금까지 약 4조9000억원이 소비자에게 돌아갔다. 금감원은 이달 중 금융위원회와 금융권이 공동으로 캠페인을 다시 시작해 대국민 홍보를 강화할 방침이다. 환급 실적을 공개해 금융회사의 참여를 독려하고, 미흡한 기관에는 관리체계 개선을 요구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숨은 금융자산이 더 많이 소비자에게 환급될 수 있도록 업계와 협력하겠다"며 "우수 사례를 공유해 금융회사의 관리 노력이 확산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