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성과 가속…실적·지분가치 모두 ‘상승 곡선’
미래에셋그룹이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며 실적 개선과 지분 가치 상승세를 동시에 이어가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세전이익 5202억원, 당기순이익 4059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전분기 대비 각각 50%, 57% 증가한 수치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세전이익 8663억원, 당기순이익 6641억원, 영업이익 8466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해외법인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해외법인 세전이익은 1061억원으로 2분기 연속 1000억원대를 돌파했으며, 상반기 누계는 2242억원으로 전체 세전이익의 26%를 차지했다. 지난해 인도 현지 증권사 '미래에셋쉐어칸'을 인수하며 현지 자산관리·투자은행 기반을 확보했고, 미국에서는 국내 증권사 중 유일하게 현지 클리어링(Clearing) 라이선스를 보유해 안정적인 미국 주식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글로벌IB로서 인정받은 결과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역시 글로벌 ETF 운용사로서 존재감을 강화했다. 올 상반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은 3517억원으로, 이 중 해외법인 실적이 약 1700억원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실적의 절반가량이자, 지난해 해외법인 비중(35%)보다 크게 늘어난 수준이다. 국내 운용사 가운데 해외에서 이처럼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는 곳은 미래에셋이 유일하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03년 국내 운용사 최초로 해외 시장에 진출한 이래, 미국 'Global X', 캐나다 'Horizons ETFs', 호주 'Stockspot' 등과의 M&A를 통해 글로벌 ETF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했다. 특히 글로벌 ETF 시장에서 'SHLD(Global X Defense Tech)' 등 '킬러 프로덕트(Killer Product)'를 선보이며 '글로벌 TOP Tier ETF Provider'로 성장했다. 현재 운용 중인 ETF 총 규모는 232조원에 달하며, 이는 국내 전체 ETF 시장보다 크고 글로벌 순위 12위다. 이 같은 성과에 힘입어 7월말 기준 미래에셋그룹의 총 운용자산(AUM)은 1000조원을 돌파했다. 이 가운데 해외 자산은 약 272조원 규모로, 계열사 별로는 미래에셋증권 78조원, 미래에셋자산운용 194조원을 해외에서 굴리고 있다. 그룹 성장과 함께 대주주인 미래에셋그룹 글로벌전략가(GSO) 박현주 회장의 지분 가치도 높아졌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박 회장은 미래에셋캐피탈 871만2036주(지분율 34.32%), 미래에셋자산운용 816만9592주(60.19%), 미래에셋컨설팅 37만6644주(48.49%)를 보유하고 있다. 이를 주당 순자산장부금액(BPS)으로 환산하면 총 4조8000억원(USD 3.4bn) 규모다. 미래에셋캐피탈은 보유 상장주식 시가를 반영한 별도 자기자본 평가치다. 전문가들은 해외법인 성과 확대와 글로벌 ETF 사업 성장세에 힘입어 미래에셋그룹의 성장세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올 초 증권주 강세장에서 미래에셋증권의 주가 상승세가 두드러졌던 점을 감안하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금융그룹으로서의 성장세가 더욱 기대된다는 평가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미래에셋은 앞으로도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에 선제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며 "단기 시장 변동보다 장기적인 가치를 중시하고 언제나 '고객 중심'의 원칙을 바탕으로 행보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