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말 외환보유액 4113억원 …외평채 신규발행·운용수익 증가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이 두 달 연속 증가했다. 미국 달러화 강세에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줄었지만,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을 신규 발행하고, 운용 수익이 늘어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13억 3000만 달러로 전월 말 4102억 달러 대비 11억 3000만 달러 증가했다.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달러로 환산해 계산한 기타통화 외화 자산액은 상대적으로 줄었다. 다만 지난 6월26일 발행된 14억 유로 규모 외평채 발행 대금이 7월 중 납입된 데다 운용수익도 늘면서 증가세를 이어갔다. 7월 중 미 달러화지수(DXY)는 약 2.5% 상승했다.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은 2021년 하반기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2021년 10월 말 4692억달러를 기록, 4700억달러를 바라보던 외화보유액은 2022년부터 본격화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금리 인상 등에 영향을 받으며 규모가 줄었다. 또 지난해 10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을 전후로 통상정책 불확실성이 고조된 데다 연말 비상계엄 사태 등 국내 정치 리스크가 더해지며 강달러가 지속, 환율 방어를 위해 달러 매도가 이어지며 감소세를 보였다. 소폭의 등락은 있었으나 올해 들어 2~5월엔 4100억달러 선을 밑돌기도 했다. 7월 외환보유액 구성항목 중 국채와 회사채, 정부기관채 등이 포함된 유가증권은 전월 말 대비 65억 6000만 달러 늘어 3650억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유가증권 비중은 전체 외화보유액의 88.8%다. 예치금은 212억 5000만 달러(5.2%)로 52억 9000만 달러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특별인출권(SDR)은 157억1000만달러(3.8%), 금은 47억9000만달러(1.2%), IMF 포지션은 45억2000만달러(1.1%)였다. 한편 지난 6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화보유액 규모는 세계 10위를 기록했다. 10위권 내에서 외화보유액이 감소한 국가는 7위 사우디아라비아, 8위 독일로, 각각 13억달러, 1억달러 줄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