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소비쿠폰 지급 임박, 유통업계는 편의점만 웃는다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임박한 가운데 유통업계에선 희비가 갈리고 있다. 1차 지급 당시 소비쿠폰은 매출 증대 효과로 이어졌지만 백화점·대형마트·SSM(기업형 슈퍼마켓) 등 대부분 유통 채널이 사용처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2차 지급 이후에도 비슷한 흐름이 예상되는 가운데 유일한 수혜처로 꼽히는 편의점 업계는 대대적인 행사에 돌입했다. 정부는 이달 22일부터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에게 1인당 약 10만원씩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한다. 지급된 쿠폰은 오는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미사용 금액은 소멸한다. 지난 1차 소비쿠폰 지급 당시 유통업계는 뚜렷한 소비 진작 효과를 봤다. 한국신용데이터에 따르면, 1차 지급 후 4주간 전국 소상공인 신용카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44% 늘었다. 이 중 유통업은 16.47% 증가하며 전체 업종 중 가장 높은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대다수 유통업계 채널은 수혜대상에서 벗어났다.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취지하에 백화점, 대형마트, SSM, 면세점 등이 사용처에서 원천 배제됐기 때문이다. 특히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가맹형 SSM은 1차 당시 소상공인 점포임에도 배제돼 형평성 논란이 일었지만, 2차 지급에서도 사용 대상에 포함되지 못했다. SSM 중 47%가 가맹점으로 운영되며, 월 평균 매출액이 3억원 대에 불과하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많은 SSM이 개인사업자인 가맹점주에 의해 운영되는데도 소상공인으로 분류되지 못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브랜드 이름 기준이 아닌, 개별 점포의 매출액 기준으로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규제 속에서 유일하게 이익을 얻는 곳은 편의점이다. 1차 지급 당시에도 편의점은 소비쿠폰 특수를 톡톡히 누렸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편의점 앱인 GS25의 '우리동네GS'와 CU의 '포켓CU' 월간 활성이용자 수(MAU)는 각각 481만 명과 266만 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7월 소비쿠폰 특수로 편의점 월간 매출은 4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품목별로 보면 CU에서는 즉석밥(37%), 라면(32.6%), 주류(19%) 등 생필품 및 식료품 매출이 급증했으며, GS25 역시 국산우육(176.8%), 계란(48.6%) 등 신선식품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 이러한 1차 학습효과를 바탕으로 편의점 4사는 2차 지급에 맞춰 대규모 할인전에 돌입한다. GS25는 PB '리얼프라이스' 상품군을 중심으로 최대 25% 할인 행사를, CU는 생필품 번들 상품을 최대 69% 할인 판매한다. 세븐일레븐은 '민생회복 초특가전 2탄'을 열고 2200여 개 상품을 대상으로, 이마트24는 3021종에 달하는 상품을 대상으로 '1+1', '2+1' 행사를 진행한다.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된 대형마트도 추석에 맞춰 자체 할인 행사로 맞불을 놓는다. 롯데마트는 이달 18일부터 24일까지 '초절약 쇼핑대전'을 진행한다. 이마트는 긴 연휴 김장 수요에 대비해 이달 18일부터 22일까지 절임배추 특별 사전예약 행사를 진행한다. 홈플러스는 이달 18일부터 24일까지 홈플러스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상품을 할인하는 '홈플 히트상품 위크' 2주차 행사를 전개한다. 1차 지급 당시에도 대형마트들은 자체 행사를 통해 고객 발길을 붙잡는 전략을 펼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추석을 앞두고 고객들이 고물가 속 합리적인 가격에 명절 준비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손종욱기자 handbell@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