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등록포기, 지방권 전년 比 142.9%↑, "증원 영향"…서울권은 줄어
올해 대입 정시전형에서 합격하고도 등록을 포기한 수험생 비율이 서울권 소재 의과대학은 줄어든 반면, 지방권 소재 의대는 전년 대비 올해 140%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의대 정원이 증원되면서, 최상위권 학생들이 주로 지원하는 의대 등 메디컬 관련학과 추가합격 규모가 지방권을 중심으로 크게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16일 종로학원이 전국 39개 의대 중 정시 추가합격 상황을 발표한 서울대, 연세대 등 7개 대학의 2025학년도 정시 합격자 등록 여부를 분석한 결과, 서울권 가톨릭대,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 4개 의대의 정시 최초합격자 중 24명이 등록을 포기해 전년(28명)보다 포기자가 1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대 의대는 최근 5년간 정시 합격자 중 등록포기자가 없었지만, 올해는 한 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이어 ▲연세대 의대 12명(전년 11명) ▲가톨릭대 5명(전년 13명) ▲이화여대 6명(전년 4명) 등이다. 지방권에선 부산대, 연세대 미래캠퍼스, 제주대 등 3개 의대에서 정시 최초합격자 17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전년엔 세 대학에서 7명 등록을 포기했지만, 올해는 이보다 142.9% 증가했다. 부산대가 13명(전년 5명)으로 가장 많은 인원이 등록을 포기했고, 연세대 미래캠퍼스에서 4명(전년 2명)이 등록하지 않았다. 제주대는 지난해와 올해 모두 포기자가 없다. 의대뿐만 아니라 약대와 치대, 한의대 등 이른바 '메디컬 학과'에서도 등록 포기자가 상당수 발생했는데, 이같은 현상은 지방에서 두드러졌다. 서울권 약대를 보면,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동국대, 삼육대, 동덕여대, 덕성여대 등 7개 약대 정시 최초합격자 등록포기자는 38명으로, 전년(44명)보다 13.6% 감소했다. 치대의 경우에도 연세대 치대 정시 최초합격자 중 등록포기자는 14명으로 전년(19명)보다 줄었다. 단, 서울대 치대는 올해 5명의 최초등록자가 등록하지 않아 전년(1명)보다 늘었다. 경인권 약대 최초합격 등록포기자는 차의과대 2명(전년 3명), 가톨릭대 1명(전년 4명) 등이다. 반면, 지방권은 의대뿐 아니라 메디컬 학과에서도 최초합격자가 등록을 하지 않은 사례가 늘었다. 약대를 살펴보면, 고려대 세종캠퍼스 9명(전년 4명), 부산대 10명(전년 7명), 제주대 9명(전년 8명)으로 3개대에서 28명의 정시 최초합격자가 등록을 포기하면서 전년(19명)보다 47.4% 증가했다. 한의대도 부산대의 경우 올해 최초합격자 4명이 등록을 포기해 지난해보다 1명 늘었다. 지난해 정시에서도 학생을 선발하지 못한 인원에 대한 추가모집이 의약학계열 18개 대학에서 22명 발생한 가운데, 18개 대학 중 덕성여대와 숙명여대 약대 등 2곳을 제외한 나머지 16곳은 모두 지방권 소재 대학이었다. 특히 올해 의대 정원이 증원된 가운데, 서울권 의대는 증원되지 않은 반면, 지방권 소재 대학에 집중적으로 모집정원이 확대돼 중복합격으로 인한 정시 합격자들의 이동이 지방권 소재 대학에서 크게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분석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의대 증원과 더불어, 지방권 의대 27곳 중 전국단위 선발을 병행하는 대학이 20곳, 지역인재전형 선발을 정시에서 하지 않는 대학이 7곳으로 사실상 지방권 소재 의대는 전국단위로 선발하는 구도가 형성되며 서울·경인권 학생도 지방권 의대에 집중지원하면서 최초합격자 등록포기 규모 또한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라며 "지방권 소재 대학은 의대 뿐만아니라 약대, 치대, 한의대 등 메디컬 관련학과 전 부분에서 중복합격으로 인한 추가 합격 규모가 대단히 크게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lhj@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