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대정부질문, 與 "반도체 특별법 처리 시급"·野 "추경 시급"

국회가 13일 본회의를 열고 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을 연 가운데, 여당은 반도체 연구개발(R&D) 인력의 '주52시간제' 제외 조항이 담긴 반도체 특별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고, 야당은 민생·경제를 살릴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 정부가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출신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 첫번째 주자로 나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반도체 특별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고 의원이 반도체 연구개발 인력의 주52시간 적용 제외 조항에 대한 입장을 묻자 안 장관은 "우리를 턱밑까지 쫓아와 있는 중국과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이고 기술 경쟁에서 첨예하게 경쟁하는 미국, 일본, 대만의 상황을 생각해볼 때, 반도체 특별법은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면서 "주52시간 적용 예외에 대해서도 융통성 있는 제도를 만드는 것이 굉장히 절박한 상황"이라고 답했다. 고 의원은 현재 법령상 주52시간의 예외를 둔 선택근로제, 탄력근로제, 재량근로제, 특별연장근로제가 현실적으로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안 장관은 "반도체 산업계는 융통성 있는 근로시간을 확보하는 데 충분치 못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이번에 반도체 특별법을 통과시켜주길 절실하게 요청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 의원은 "개발자가 충분한 연구개발을 할 수 있도록 자율적으로 근로시간을 조정하자는 취지고, 전체 근로자도 아니고 반도체 연구개발 인력 중에서 상위 5~10% 고속득자에게 건강 보호 조치와 추가 근무 시간에 대한 충분한 보상을 전제로 근로자와 합의하에 52시간 적용을 예외로 하자는 것"이라며 "이러한 반도체 특별법을 민주당이 반대하는 것을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에서 백기 들고 투항하자는 뜻으로 해석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민주당에선 최고령 의원인 박지원 의원이 나서서 추경 편성을 추궁했다. 박 의원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최 권한대행이 학교 다닐 때 그렇게 공부를 잘해서 오산고등학교 천재라고 하는데, 약관 22세에 행정고시를 합격해서 지금까지 잘 나가고 있다"며 "최 권한대행의 학교 때 별명이 짱구였다. 천재 짱구가 대한민국을 위해서 짱구 노릇을 해야지 내란 수괴 윤석열을 위해서 짱구 노릇을 해서 되겠나"라고 비판했다. 최 권한대행은 "국민과 민생 안정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박 의원이 "민주당이 35조원의 추경 예산안을 발표했다. 이에 다 찬성하는데, 대통령실만 반대하고 있다.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묻자 최 권한대행은 "국정협의회가 예정이 돼 있기 때문에 추경의 기본 원칙을 논의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도 그 부분에 대해서 논의를 하자는 입장"이라며 "민생이 어렵고 글로벌 교역의 불확실성이 있으니, (추경안 편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2025-02-13 15:45:49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외부 LLM 활용' 네이버는 보조로, 카카오는 함께

올해 네이버와 카카오가 서로 다른 인공지능(AI) 전략으로 맞붙는다. 네이버가 거대언어모델(LLM)을 중점에 두고 외부 AI로 부족한 점을 보강하는 전략을 세운 데 비해, 카카오는 미국 오픈AI와 적극적인 협업을 통한 소프트웨어(SW) 기술 중심의 AI사업을 펼친다는 청사진을 내걸었다. 13일 네이버와 카카오가 각기 2024년 실적을 발표하고 올해 전략을 공개한 가운데 상반 된 전략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네이버는 IT 플랫폼 기업 사상 처음으로 '10조 클럽'에 들며 역량을 떨쳤다. 네이버는 지난해 연결기준 전년 대비 매출은 11% 늘어난 10조7377억 원, 영업이익은 32.9% 증가한 1조9793억 원을 기록했다. 반면 카카오는 사법 리스크 등으로 어수선한 내부 체질 개선을 도모하며 AI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준비로 다소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를 내놓았다. 카카오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7조8738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2%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6.6% 증가한 4915억원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특히 AI 사업의 영업손실이 영업이익 증가세를 꺾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2025년 전혀 다른 AI 전략을 세우고 기업 성장을 도모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자체 LLM에 외부 LLM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카카오는 외부 LLM을 적극 받아들이고 협업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자체 LLM이자 자사 서비스에 최적화 한 '하이퍼클로바X'의 고도화를 통해 이용자의 서비스 경험을 끌어올릴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기존 자체 LLM만을 활용하려던 전략을 수정, 외부 LLM 도입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내고자 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경쟁사들이 무제한적으로 AI 성능을 확장하는 반면, 하이퍼클로바X는 네이버 서비스에 최적화된 모델 능력과 속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면서도 "글로벌 빅테크 LLM 등 외부 다양한 LLM과 협업 가능성을 열어뒀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올해를 서비스 전반에 AI를 적용하는 '온서비스(On-service) AI 전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주요 매출처인 검색 광고 사업은 AI 엔진을 통해 광고 효율을 극대화 하는 한 편 외부 매체를 확대할 계획이다. 커머스 분야는 상반기 중 개인 맞춤형 쇼핑 서비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별도 앱으로 출시해 커머스 부문 이용자의 록인(Lock-In) 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네이버와 달리 적극적으로 외부 LLM을 도입하고 AI 소프트웨어 파워에 집중한다. 지난해 카카오는 외부 LLM을 활용하는 'AI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세우고 글로벌 빅테크의 LLM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AI 오케스트레이션 조직을 별도로 조직했다. 이번 달에는 샘 올트먼 오픈AI 대표와 함께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사의 AI 에이전트(비서) '카나나'에 오픈AI의 챗GPT를 이식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와 오픈AI는 카카오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AI 에이전트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연내에는 여러분이 서비스를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카나나 등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에 오픈AI의 최신 AI기술 API를 활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AI 네이티브 컴퍼니(AI native company)'로의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챗GPT 엔터프라이즈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면서 올해 안에 대화형 AI 서비스 '카나나'를 카카오톡과 별도 앱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카나나는 이용자와 일대일 대화하는 것을 넘어 그룹 채팅에서 다대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이 차별점이다. 정 대표는 "올해 상반기 퍼블릭 CBT(일반 이용자 대상의 비공개 베타테스트)를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2-13 15:35:43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Korea GM plays a pivotal role in the domestic industry, securing jobs through export expansion and enhancing customer experience through an expanded lineup.

Korea GM is focusing all efforts on capturing both domestic and export markets with its strategic models. The company is particularly concentrating on the export of vehicles developed and produced in Korea while also importing competitive models from General Motors (GM) headquarters for domestic sales, implementing a "two-track" strategy.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13th, Korea GM exported 418,782 units to the U.S. last year, solidifying its position as a major contributor to Korea's export industry. This figure represents 83.8% of its total production volume (499,559 units). The key export models are the Chevrolet Trailblazer and the Trax crossover. The Trax crossover, developed by GM Technical Center Korea in Korea, played a crucial role in turning Korea GM from a deficit to profitability. The Trailblazer, which was launched in Korea in January 2020, recorded about 18,000 units in exports in October 2022, making it the top-selling domestic car for exports. The Trax crossover, a small SUV that Korea GM began producing at its Changwon plant in February 2023, has maintained steady popularity in the North American market and became the top export model for the domestic car industry last year, with over 295,000 units exported. Through the expanded exports of its key models, Korea GM is making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both the Korean economy and the automotive industry. Korea GM plans to further increase its production to 500,000 units this year, focusing on strategic models. In the domestic market, Korea GM is expanding its product lineup under GM's brands, offering consumers a wider range of choices. Korea GM has secured a unique lineup with models such as the Chevrolet Colorado pickup truck, the GMC Sierra full-size pickup, and full-size SUVs like the Chevrolet Tahoe and Cadillac Escalade. This year, the company plans to focus on expanding its lineup with the launch of various new models from its premium brand, Cadillac. New electric vehicle models and GM's strong RV models are expected to be the focus. Additionally, Korea GM is preparing to introduce the OnStar service in Korea. OnStar provides a new digital experience by offering remote vehicle control through a smartphone app, as well as vehicle status information, diagnostics, and more. In addition, Korea GM is preparing to introduc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t the "Cadillac EV Day" event held in Gangnam, Seoul, in November, it was announced that the domestic introduction of GM's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Super Cruise, is progressing smoothly. Chae Myung-shin, Head of Digital Business at Korea GM, stated, "We are preparing solutions that will meet the expectations of domestic customer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high-precision maps, navigation systems for this purpose, and addressing regulatory aspects, to launch Super Cruise in Korea." While Korea GM is focusing on both the domestic and export markets, rumors of a potential withdrawal continue to circulate. After receiving 8.1 trillion won in support from the Korea Development Bank in 2018, the company promised to continue its operations in Korea and produce two new car models through 2028. While Korea GM has kept its promises by producing the Chevrolet Trailblazer and the Trax crossover, it has not disclosed a clear future vision regarding additional investments. In response to these concerns, Korea GM emphasizes its commitment to securing stable jobs, enhancing future competitiveness, and focusing on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anagement. A Korea GM representative stated, "We are driving sustainable growth through enhanced production efficiency, a multi-brand strategy, and customer-centric management," adding, "We are also continuously investing in the latest facilities, such as converting R&D corporate interns into full-time employees and opening a new service center in Seoul in July last year."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13 15:33:3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혼다·닛산, 합병 협의 중단 결정…통합 협의 2개월만 무산

일본 자동차 업체 혼다와 닛산이 13일 합병 협의를 중단하기로 정식 결정했다. 현지 공영 NHK,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이날 양사는 각각 이사회를 열어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뉴시스가 전했다.양사는 이날 오후 개별적으로 기자회견을 열어 경영통합 무산 경위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혼다와 닛산은 공동 지주회사를 설립해 양사가 산하로 들어가는 형식으로 합병을 추진하기로 했다. 2025년 6월 최종 합의를 목표로 했다.혼다는 합병 전제로 닛산의 경영재건책을 요구했다. 경영난에 빠진 닛산의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했기 때문이다.결국 혼다는 닛산의 경영 재건 방침이 불충분하다고 판단해 닛산의 자회사화를 타진했다. 자회사화 후 혼다가 주도권을 잡고 닛산을 재건하려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닛산이 크게 반발하면서 지난 6일 닛산의 우치다 마코토(?田誠) 사장은 도쿄(東京) 혼다 본사를 방문해 혼다의 미베 도시히로(三部敏宏) 사장에게 경영통합 협의를 중단하겠다는 의향을 전달했다.양사는 조만간 각각 이사회를 열어 합병에 대한 기본합의(MOU)서 철회를 논의할 전망이다. 지난해 혼다의 세계 자동차 판매대수는 398만 대다. 닛산은 337만대 였다. 양사 합병이 성사되면 세계 3위인 거대 자동차 그룹이 탄생하게 되기 때문에 기대를 모았으나, 결국 백지화됐다.

2025-02-13 15:26:08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급물살 타는 우크라 종전... 사실상 푸틴 요구 다 들어준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 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즉시 개시를 합의한 가운데 사실상 러시아 측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한 듯한 기류가 읽혀 주목된다고 뉴시스가 전했다. 2022년 2월24일 발발해 만 3년을 앞둔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시계는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이지만, 전쟁이 길어졌던 것이 무색하게 협상안은 개전 초기 때와 비교해 크게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푸틴과 '협상' 합의…조만간 사우디서 첫 대면 예상 외신들과 양국 정부 발표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푸틴 대통령과 1시간30분 동안 통화하고 평화 협상을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푸틴 대통령은 "함께 일할 때가 왔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협력 제안을 환영했다. 푸틴 대통령은 또 트럼프 대통령을 모스크바로 초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을 상호 방문할 가능성을 열어 놓으면서도 우선은 전화로 논의를 진행한 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첫 대면 회담을 개최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사우디 회동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참여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날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 두 번째 임기 시작 후 '공식적인' 첫 통화였다. 두 정상의 마지막 통화는 2020년 7월23일이었다. 이번에 대면 회담이 성사되면 2019년 6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계기 양자회담 후 처음이다. ◆'나토 가입·영토 회복·평화유지군'…사실상 러시아 손 들어줘 주목되는 것은 이날 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방위연락그룹(UDCG)'에서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이 한 발언이다. 헤그세스 장관은 먼저 우크라이나의 오랜 열망이었던 나토 가입은 고려 대상이 아니라며 아예 가능성을 배제했다. 또 우크라이나가 2014년 국경을 회복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분명히 말했다. 2014년은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한 해다. 2022년 강제 합병한 4개 주(루한스크, 도네츠크, 자포리자, 헤르손)는 물론 크림반도까지 영토 회복이 사실상 현실적이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젤렌스키 대통령은 최근 우크라이나군이 일부 점령 중인 러시아 쿠르스크 영토를 러시아에 빼앗긴 영토와 맞교환하자고 제안할 것이라고 했는데, 이에 대해 러시아는 "편집증적 망상"이라며 "들을 필요도 없다"고 논평하기도 했다. 아울러 헤그세스 장관은 종전 후 우크라이나 주둔 평화유지군에 미군이 파견하지 않을 것이란 입장을 재확인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최근에도 "미국이 없는 안보보장은 진정한 안보보장이 아니다"며 미군이 참여해야 한다고 요청했는데 이를 일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우크라엔 '비싼 청구서'…美 없는 안보보장? 아울러 미국은 향후 우크라이나의 안보보장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의사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의 안보는 유럽이 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더 나아가 조 바이든 전 정부가 이제까지 쏟아부은 무기 및 지원 자금에 대해 '비싼 청구서'까지 내미는 모양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미국이 지원한 자금을 돌려받길 원한다는 뜻을 공공연하게 밝혀왔다. 특히 희토류 등 풍부한 광물 자원 개발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마침 광물 개발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지난해 9월 미국 뉴욕을 방문해 트럼프 당시 미 대통령 당선인을 만났을 때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2기 행정부 고위 당국자 중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이 우크라이나를 가장 먼저 방문한 것도 상징적으로 여겨진다. 베센트는 12일 키이우를 방문해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나 광물 개발과 관련한 파트너십 초안을 건넸다. ◆더 급해진 우크라…젤렌스키, 美와 연쇄 회동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푸틴 대통령과 통화 후 젤렌스키 대통령과도 1시간여 통화했다. 양측은 모두 종전의 필요성에는 공감했지만, 미묘한 입장차가 느껴진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긴 대화를 나눴다. 평화를 달성할 가능성과 협력 의지 등에 대해 논의했다"면서 "우크라이나는 누구보다 평화를 원한다. 우리는 러시아의 침략을 막고 신뢰할 수 있고 영구적인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미국과 공동 조치를 정의하고(defining)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언론들도 벌써부터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키이우인디펜던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접근 방식은 현재 진행 중인 전쟁에 대한 해결책을 중재하려는 새로운 움직임을 보여준다"며 특히 "이번 발표는 미국과 러시아의 외교 관계에 중대한 변화를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미러 회담 시기나 의제에 대한 내용은 자세히 공개되지 않았고 우크라이나가 회담에 어느 정도 참여할 지는 아직 불분명하다"면서도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직접 개입 없이 협상을 진행하기로 한 결정은 우크라이나가 자국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젤렌스키 대통령은 14일 독일 뮌헨안보회의에서 JD 밴스 미 부통령 및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회동한다. 20일께엔 키스 켈로그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가 우크라이나를 방문할 예정이다.

2025-02-13 15:25:35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中, 황당한 '가짜 눈 내리는 마을' 알고 봤더니 솜?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설경을 즐길 수 있다고 홍보한 한 관광지가 솜뭉치와 비눗물로 '눈 마을'을 조성해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8일(현지 시각) 광명왕에 따르면 이번 논란이 된 관광지는 청두 충라이 남보산 관광단지 내에 있는 눈 마을이다. 해당 관광지는 "동북 지역의 눈 마을을 못 가는 게 아니라, '청두 눈 마을'이 더 가성비가 좋아서"라는 문구로 홍보해 많은 관광객을 끌어모았다.그러나 관광객들은 기대했던 설경이 아닌, 솜으로 만들어진 '가짜 눈'과 비눗물로 연출된 '눈 내리는 효과'만을 경험할 수 있었다. 춘절 연휴 동안 이곳을 방문한 관광객 저우씨는 "눈을 보기 위해 왔는데, 눈은커녕 솜과 조화뿐이었다"며 "온라인에서 본 사진과 실제는 완전히 달랐다. 이런 곳을 '눈 마을'이라고 부를 수 있나"라고 말했다.또한 한 여행 블로거가 직접 촬영해 올린 영상에서도 관광지의 나뭇가지와 장식 대부분이 솜으로 뒤덮여 있는 게 그대로 보여졌다. 그는 "온라인 홍보 사진을 보면 마치 중국 동북 지역의 설경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100% 조작"이라고 지적했다. 논란이 커지자, 관광지 측은 공식 입장을 밝혔다.관계자는 "홍보에 사용된 일부 사진은 우리가 올린 것이 아니라 블로거들이 입장권 판매나 홍보 수익을 위해 사용한 것"이라며 책임을 떠넘겼다.그러면서 "마침 오늘(8일) 실제 눈이 내렸다. 지금 오면 진짜 눈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내일은 다시 녹을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뉴시스가 보도했다. 방문자들이 남긴 온라인 후기 47개 중 41개가 부정적인 평가다. 누리꾼들은 "인공 눈도 아닌 솜뭉치를 뿌려놓고 '눈 마을'이라고 광고하는 건 소비자 기만" "비눗물은 진짜 너무했다" "허위, 과장 광고하는 이런 관광지는 사라져야 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2025-02-13 15:24:59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브랜드 빌더 아임웹, 앱스토어 전면 개편...자사몰 운영 지원 강화

브랜드 빌더 아임웹은 사업자들의 자사몰 운영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자사 앱스토어를 전면 개편했다고 13일 밝혔다. '아임웹 앱스토어'는 사업자들이 자사몰 운영에 필요한 외부 비즈니스 솔루션을 간편하게 연동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개편된 앱스토어는 사업자들이 필요한 앱을 쉽게 찾고 연동할 수 있도록 맞춤 추천을 고도화하고 큐레이션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우선 회원가입, 고객 상담, 리뷰 관리 등 자사몰 운영에 꼭 필요한 대표적인 앱들을 선별해 추천함으로써 브랜드를 처음 시작하는 사업자가 앱 탐색에 들이는 노고를 줄였다. 큐레이션도 다채로워졌다. '첫 주문을 만드는 지름길', '재구매를 유도하는 앱' 등 테마별 구성을 통해 브랜드의 각 성장 단계에 필요한 앱을 손쉽게 찾을 수 있게 했다. 결제·배송·마케팅·판매 채널 등 사업자들이 자주 찾는 서비스를 카테고리로 체계화해 자사몰 운영에 필요한 솔루션을 영역별로 비교·선택할 수 있도록 앱스토어를 개선했다고 아임웹은 강조했다. 이수모 아임웹 대표는 "이번 앱스토어 개편을 통해 아임웹으로 자사몰을 운영하는 브랜드 고객들이 비즈니스와 매출 성장에 필요한 여러 솔루션을 한 곳에서 쉽게 찾고 연동할 수 있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이커머스 업계의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적극 협력하며 더 풍성한 자사몰 솔루션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2-13 15:23:25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온코닉테라퓨틱스, 표적항암제 '네수파립' 비임상결과 확보..."신규 적응증 기대"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오는 4월 미국 일리노이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5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항암 신약 후보물질 네수파립에 대한 비임상결과를 발표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온코닉테라퓨틱스는 네수파립이 새로운 적응증에서 갖춘 항종양 효력, 이중 기전 메커니즘 등을 공개해 다양한 암종을 표적하는 치료제의 가능성을 입증한다. 네수파립은 파프·탄키라제 이중저해 표적항암제로, 기존 파프 저해제 치료에서 내성 문제를 겪는 환자와 기존에는 치료하지 못했던 암종에서 쓰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네수파립 연구개발로는 전이성 췌장암 1차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임상 1b/2상, 자중내막암을 적응증으로 한 키트루다 병용 요법에 대한 임상 2상 등이 진행되고 있다. 이번 발표를 바탕으로 췌장암을 비롯해 자궁내막암, 난소암 등에서 유방암, 위암 등으로 신규 임상이 확대될 전망이다. 온코닉테라퓨틱스 차현주 상무는 "AACR 2025에 선정된 비임상연구는 기존 파프 저해제가 진입하지 못한 또 하나의 신규 분야에서의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로 네수파립의 우수한 효능을 확인할 수 있다"며 "향후 네수파립의 임상 적응증을 확대해 차세대 이중 저해 표적항암제의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 경쟁력을 증명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02-13 15:20:18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원광디지털대, 명경문화재단과 ‘요가명상·선명상 발전’ 협약 체결

원광디지털대학교교학(총장 김윤철)는 12일 재단법인 명경문화재단(이사장 주석 스님)과 단체협약을 체결하고 요가명상과 선명상 분야의 학술 연구 및 교육 교류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명경문화재단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원광디지털대의 김윤철 총장, 최은지 입학협력처장, 박승태 요가명상학과 교수가 참석했다. 명경문화재단에서는 주석 스님(이사장), 최기운 대표, 강승용 과장이 자리를 함께했다. 명경문화재단은 2013년 복합문화공간 쿠무다(KUmuda) 개원을 시작으로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해 행사 지원, 장학 사업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요가 및 선명상 분야의 특강과 연수를 공동 기획·개최하는 등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네트워크 및 인적자원 공유를 위한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협약으로 명경문화재단 소속(쿠무다) 임직원 및 직계가족은 원광디지털대 학부 및 대학원 입학 시 장학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대상 학과는 전체 학과로, 학부 과정에서는 수업료의 30%, 대학원 과정에서는 20%가 정규 수업 연한 동안 지원된다. 명경문화재단 이사장 주석 스님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요가와 명상의 가치를 더 널리 공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양 기관의 협력을 통해 요가명상과 선명상 교육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협약을 기념하여 지난 9일 부산 송정 쿠무다 콘서트홀에서 '요가 경전 열린 특강 - 요가의 원류를 찾아'라는 주제로 특강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주석 스님의 '세계 명상의 현황' 기조강연을 비롯해 박다영 원광디지털대 요가명상학과 교수의 강연이 진행됐다. 김윤철 총장은 "명경문화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요가명상과 선명상 분야의 교육을 더욱 발전시키고, 학생들에게 확장된 교육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원광디지털대는 명경문화재단에서 추진하는 국제 문화 페스티벌에 참여하고, 명경문화재단은 요가명상학과 학생들의 학업 지원을 위한 쿠무다 장학금을 추진하는 등 문화예술 및 명상 분야에서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2-13 15:17:12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