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이재명 "국민의힘·윤석열, 내란 '한 여름밤의 꿈' 정도로 만들려고 하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국민의힘이나 윤석열 내란 피고인이나 관련자들이 내란 사태를, 즉 군사 친위 쿠데타 사건을 희화화하고 장난으로 만드려는 것 같다"며 "호수 위 달그림자를 쫓는 느낌이라고 하고 아무 일도 없었다느니, 한 여름밤의 꿈 정도로 만들려고 하는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말미에 추가 발언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4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출석해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이번 사건을 보면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지시했니, 지시받았니, 이런 얘기들이 마치 호수 위에 빠진 달그림자 같은 걸 쫓아가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 대표는 "분명한 것은 이들은 명확한 의도를 갖고 이 나라 민주주의를 완벽하게 파괴하고 군정에 의한 영구집권을 획책했다"며 "그 과정에서 국민 인권은 파괴되고 경제는 폭망했을 것이고 이 나라는 군인들이 통치하는 후진국으로 전락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상원이라는 자가 실제 작전 명령에서 HID 요원들을 폭사시키라고 지시했다는 것 아닌가. 그 사람이 군사 쿠데타 계획에 의하면 수사 책임자로 돼 있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이 자가 준비했던 것이 무엇인가. 야구 방망이로 누굴 때리려고 한 것인가. 총에 맞거나 칼에 찔려 죽는 것은 두렵지 않은데, 야구방망이는 두렵다"며 "펜치, 니퍼로 무엇을 뽑으려고 한 것인가. 수제 절단기로 무엇을 자르려고 한 것인가. 노태악 선관위원장을 잡아다 직접 취조할 때 순순히 말로 물어보려고 했나"라고 반문했다. 이 대표는 "이 나라의 국민들과 내란 다음 세대들은 어떤 세상에 살게 될 것인가"라며 "김건희, 윤석열 부부가 영구 집권하면서 영화를 누리고 거기에 빌붙어 옹호하는 국민의힘은 권력은 누리겠지만 오천만 국민은 참혹한 삶을 살게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이게 장난인가. 실실 웃으면서 아무 일도 없었다고 말할 사안인가. 민주당 때문이라고 핑계를 대면서 정당한 사안이라고 주장할 사안인가"라며 "민주당이 권한을 어떻게 행사했든 그것이 이 나라 민주공화정을 완전히 파괴하고 군정으로 되돌아갈 합리적인 이유가 되나"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나라가 완전히 망할 뻔 했다. 온 국민이 절망하고 나라가 완전히 후진국으로 전락할 뻔 했다"라며 "다행히, 내란을 획책한 그들이 너무나 부실해서 다행이었다. 현명하지 않아서 다행이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의힘은 정말로 정치를 그렇게 하면 안 된다. 대체 무엇 때문에 정치를 하나"라며 "온 국민이 고통에 절망하고 나라의 미래가 완전히 사라져서 세상이 암흑이 돼도 당신들만 권력을 유지하면 되나. 정신 차리길 바란다"고 말하면서 회의를 마쳤다.

2025-02-05 10:59:02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트럼프, 대중국 관세 발효 후 시진핑과 통화 무산…"서두르지 않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통화가 무산됐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미국이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이 발효되자 양국 정상 간 어떤 대화가 오갈지 관심이 주목됐다. 4일(현지시간) AFP, CNBC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벌오피스에서 시 주석과의 통화와 관련 기자들에게 "적절한 시기에 할 것이고, 나는 서두르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미국 당국자를 인용, "양국 모두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후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오늘 통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다만 5일께 통화가 이뤄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함께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후, 멕시코, 캐나다와는 막판 협상 후 관세 시행을 유예했지만, 대중국 관세는 4일 예정대로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시 주석과 24시간 이내에 통화하겠다고 했지만 무산됐다. 중국도 이날 미국의 관세 부과에 10~15%의 보복 관세로 맞대응하겠다고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조만간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통화해 관세 유예 등 협상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2025-02-05 09:44:23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경제 2월 5일자 한줄뉴스

<자본시장> ▲금융감독원은 우리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에서 총 3875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부당대출을 적발했다고 발표했다. 금융사고 금액이 지난해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에 금감원은 우리금융지주를 비롯한 금융권의 불법 대출 및 내부통제 부실 문제를 정조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잠시 유예했지만 LG전자, 기아 등 제조업 관련주의 반등세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내수 관련주와 '트럼프 수혜주' 등이 주목되는 모습이다. ▲중국의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오픈AI의 챗GPT에 맞먹는 모델을 선보이면서 관련주들이 조정을 받고 있지만, 서학개미들은 관련 주식과 상장지수펀드(ETF)를 여전히 매수하고 있다. 주가 하락이 단기간에 그칠 것이라는 기대감에 반등을 노리고 저가 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정책사회> ▲고용노동부는 직업능력심사평가원과 함께 디지털 전환 등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고 직업훈련의 성과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중앙행정기관에서 제·개정한 1833개 법령을 대상으로 부패영향평가를 실시한 결과, '재량권 남용 방지'와 관련된 개선 권고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으나, 증가 폭은 역대 가장 작은 수준까지 내려왔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올해 벼 재배면적 8만 헥타르(ha) 감축을 목표로 지자체별 자율 조정제를 추진한다. ▲산업단지를 디지털·저탄소 산단으로 전환하는 사업에 3~4년간 740억원을 투자한다. ▲지난해 자유무역지역(FTZ)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K-그리드 수출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한 우리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이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2025년도 제1회 초졸·중졸·고졸 검정고시' 원서를 오는 17일부터 21일까지 교부 및 접수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서울시는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을 위해 난방비 386억원을 지원한다고 4일 밝혔다. ▲서울시가 그동안 동주민센터별로 달랐던 하숙집·셰어하우스 등 공유 형태 주거 공간 전입 신고 제출 서류를 일원화한다. <유통 라이프> ▲국내 뷰티 유통 기업들이 미국을 전진기지로 삼고 K뷰티 플랫폼을 고도화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편의점이 불경기 속에서도 홀로 성장을 이어가며 유통업계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견 제약사 보령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간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LG생활건강의 2024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5.7% 줄어든 459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0% 이상 줄어든 영향이 컸다. <산업> ▲한국을 방문 중인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4일 삼성전자·SK하이닉스·카카오 등 IT 기업 최고경영진을 연이어 만나며 릴레이 회동을 가지고 있다. 오픈 AI가 국내 기업과 동맹을 적극 추진하는 이유는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딥시크를 대응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딥시크는 저비용으로도 고성능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AI 생태계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한화그룹이 글로벌 가스터빈 제조사 베이커휴즈와 손잡고 조선업계 친환경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국제해사기구(IMO)·유럽연합(EU)의 '2050년 탄소 중립' 선언에 따라 글로벌 조선업계의 탈탄소 움직임이 확대되는 가운데 기술력 확보를 통해 글로벌 조선 시장을 선도해 나갈 방침이다. <정치> ▲글로벌 반도체 경쟁 심화와 중국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AI 모델이 던진 충격으로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 육성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가는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일 좌장을 맡아 반도체 R&D(연구·개발) 인력에 대한 '주52시간제' 제외 조항의 반도체 특별법 삽입 여부를 놓고 팽팽한 찬반 토론을 벌였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3일 서울 구치소에 '내란 수괴' 혐의로 구속 수감된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 옥중 메시지를 전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미국 트럼프 신(新) 행정부의 멕시코·캐나다·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조치와 관련해 "우리 경제·기업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헌법재판소는 3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상대로 낸 권한쟁의심판 사건에 대한 변론을 오는 10일 다시 열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이날로 예정됐던 선고 일정이 미뤄지면서, 헌재 '9인체제' 완성 여부도 추후 결정될 전망이다. ▲대통령실이 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對) 멕시코·캐나다·중국 관세 조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일 국민의힘을 향해 "즉시 국정협의체를 가동해 추경 논의를 시작하자"고 촉구했다. ▲반도체 업계의 숙원과도 같은 '반도체특별법'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반도체특별법은 그동안 연구인력에 대한 주 52시간 노동 시간 제한을 예외 허용하자는 내용을 포함하면서 정치권과 노동계의 갈등을 빚었다. 그러나 최근 국가적 AI 역량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인프라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돼 반도체특별법이 덩달아 힘을 얻고 있다. ▲오픈AI가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전략' 전환 가능성을 공식 시사하면서, 그동안 폐쇄형 AI 모델 개발을 고수해 온 AI 업계에 지각변동이 예고된다. ▲알트먼 오픈AI CEO가 4일 하루 방한한다. 지난해 1월 방한 후 1년만이다. 이번 방한에서 알트먼이 카카오 기자 간담회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IT업계는 오픈AI의 카카오와의 협업과 한국지사 설립 가능성을 조심스레 점치고 있다. <금융·부동산> ▲금융감독원이 우리금융지주 정기검사를 통해 손태승 전 우리금융회장 친인척 불법 대출과 관련해 추가로 380억원을 적발했다. ▲도널트 드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선언하면서 가상자산 가격이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전문가들은 관세 공포가 해소 된다 해도 가상자산 시장의 상승재료가 부족해 변동성이 클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 성남 '은행주공아파트' 재건축 수주 경쟁이 치열하다. 오는 16일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포스코이앤씨와 두산건설이 맞붙었다. 올해 첫 '로또청약'으로 꼽히는 '래미안 원페를라'의 특별공급 청약에 1만8000명 가까이 몰렸다. ▲삼성생명은 2025년 생활금융 전반을 리드하는 회사로의 도약을 다짐하고 있다. 헬스케어, 신탁, 시니어 비즈니스 등 신사업에 도전해 고객의 생애 전반에서 나아가 사후까지도 연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포석이다. ▲올해 손해보험사들이 '상생금융'에 동참하기 위해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키로 결정함에 따라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손해율 상승 등으로 차보험손익이 적자를 향해 가고 있어서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의 연임이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3년 임기가 2주 앞으로 다가 왔지만 수면 위로 떠오른 차기 회장 도전자가 없기 때문이다.

2025-02-05 06:00:23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중앙대, 김형석 작곡가와 우수인재 양성 손잡았다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와 노느니특공대엔터테인먼트(이하 노느니특공대)가 음악 문화의 향상과 발전을 도모하고, K-POP 산업을 이끌 우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중앙대는 3일 노느니특공대 산하 음악 IP(지식재산권) 전문플랫폼 뮤펌과의 상호협력을 골자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김형석 노느니특공대 대표와 박상규 총장을 비롯한 중앙대 총장단과 예술대학 학장, 대외협력처장 등 중앙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형석 대표와 오랜 시간 호흡을 맞춰온 베이시스트로, 현재 중앙대 예술대학 글로벌예술학부 실용음악전공 교수를 맡고 있는 오대원 교수도 자리에 함께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중앙대와 노느니특공대는 K-POP을 필두로 한 음악 활동의 실질적인 협력 연구, 인재 양성, 인력 활용 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AI를 활용한 음원 제작 ▲창작 프로그램 활용 특강 ▲기술·정보 교류 ▲뮤펌 주최 오디션 프로그램 참여 ▲K-POP 관련 프로그램 공유·개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중앙대와 협약을 맺은 노느니특공대는 유명 작곡가 겸 프로듀서인 김형석씨가 2021년 설립한 종합 콘텐츠 기업이다. 음악, 아트, 패션 등 다양한 분야의 IP 사업을 전개하며 대중 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음악 IP 전문 플랫폼 뮤펌을 바탕으로 차세대 아티스트들이 창의적인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이다. 김형석 대표는 "교육 분야의 재능을 나누는 것만큼 가치 있는 일은 없다"라며 "중앙대 학생들과 같이 교류하며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주게 된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 향후 다양한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하며 협력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박상규 총장은 "이번 협약이 중앙대와 노느니특공대 모두가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라며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노느니특공대가 추구하는 방향에 힘을 보태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2-04 17:52:0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OpenAI accelerates South Korea alliances… Relay meetings with domestic corporate leaders including Lee Jae-yong.

Sam Altman, CEO of OpenAI, who is visiting South Korea, held a series of meetings on the 4th with the CEOs of major IT companie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SK hynix, and Kakao. The active pursuit of alliances with domestic companies by OpenAI is seen as a response to the Chinese AI startup DeepSeek. Recently, DeepSeek has suggested that high-performance models can be implemented at a low cost, shaking up the AI ecosystem. According to business sources on the 4th, Sam Altman began a "trilateral meeting" in the afternoon at Samsung Electronics' Seocho headquarters in Gangnam, Seoul, with Lee Jae-yong, Chairman of Samsung Electronics, and Masayoshi Son, Chairman of SoftBank Group. It is reported that the discussions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large-scal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frastructure project, 'Stargate.' Chairman Son arrived in the afternoon at 2:40 PM, after entering the country earlier in the morning. Prior to Son's arrival, CEO Altman was reportedly already at the Seocho headquarters. Also present at the meeting were executives responsible for semiconductors, including Jeon Young-hyun, Vice Chairman and Head of Samsung Electronics' Device Solutions (DS) division. Chairman Son, speaking with the press, stated that the "trilateral meeting with Samsung Electronics and OpenAI" would focus on updates regarding the Stargate project and potential collaborations with the Samsung Group. Stargate is a large-scal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frastructure expansion project in the U.S., involving an investment of $500 billion (approximately 731 trillion won), with partners such as NVIDIA and Microsoft. Earlier, it was reported that CEO Altman and Chairman Son had collaborated on establishing a joint venture, 'Stargate,' for AI infrastructure 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Samsung Electronics will also participate in this project. This trilateral meeting is particularly significant as it marks Lee Jae-yong's first public engagement since his acquittal in the appeals trial, and discussions likely covered not only large-scale investments but also potential future growth drivers to help Samsung Electronics overcome its recent performance slump. There are forecasts that cooperation between OpenAI and ARM, a subsidiary of SoftBank, in AI semiconductor development will gain momentum. Earlier in the day, CEO Altman also met with Chey Tae-won, Chairman of SK Group, to discuss potential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companies and attended Kakao's Media Day. The meeting between CEO Altman and Chairman Chey took place around 9:30 AM at the Plaza Hotel in Jung-gu, Seoul. Among the SK Group executives in attendance were Kwak Noh-jeong, President of SK hynix, and Yoo Young-sang, President of SK Telecom. It is observed that CEO Altman and Chairman Chey discussed collaborations in the semiconductor field, including SK hynix's HBM (high-bandwidth memory), as well as AI assistant services. This meeting marks the third encounter between the two companies, following their previous meetings in January and June of last year. In June, they met at OpenAI's headquarters in San Francisco. After the meeting with Chairman Chey, when asked by the press, "How was today's meeting?" CEO Altman responded with "Wonderful" and left, while Chairman Chey did not make any special remarks. Following his meeting with Chairman Chey, CEO Altman appeared at Kakao's Media Day. During this event, OpenAI announced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Kakao and outlined plans for collaboration in the AI business. CEO Altman's appearance at the Media Day and the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Kakao and OpenAI were kept highly confidential until the event. Kakao is the first company in South Korea to form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OpenAI. The focus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Kakao and OpenAI will be on making AI services more accessible to a wider range of users, with plans to pursue ▲technical cooperation for AI service advancement and ▲joint product development. Jung Ji-young, CEO of Kakao, explained the background of the partnership during the keynote speech, stating, "Based on the capabilities we have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serving the daily lives of many people, Kakao's role in today's era is to present 'personalized AI that best understands users.'" She added, "By collaborating with OpenAI, which has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we will lead the popularization of AI services and provide innovative customer experiences." Altman, CEO of OpenAI, expressed his long-term appreciation for Kakao, stating, "I like Kakao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share their AI vision." He also mentioned, "I am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integration of AI and messaging. There is much to explore in this area, and messaging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not just for work-related matters." Meanwhile, Altman's expansive moves appear to be in response to the rapid pursuit of DeepSeek, a Chinese AI startup. Recently, DeepSeek adopted optimization techniques to maximize efficiency, suggesting that implementing high-performance models might not necessarily require overwhelming computing resources, which shocked the industry. There is growing analysis that DeepSeek's open-source model could broaden market competiti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latecomers, including those in South Korea. Observers speculate that OpenAI is pursuing an aggressive strategy to stay ahead of DeepSeek through extensive collaborations with domestic companies such as Samsung, SK, and Kakao.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04 16:41:25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SKT, 오픈 AI 등과 美 MIT '생성 AI 컨소시엄' 참여

SK텔레콤은 매사추세츠공대(MIT)가 생성형 인공지능(Gen AI)으로 산업 혁신 방안 연구를 위해 발족한 'MIT Gen AI 임팩트 컨소시엄'에 창립멤버로 참여한다고 4일 밝혔다. 컨소시엄에는 오픈AI, 코카콜라, 인도 타타그룹, 미국 반도체 기업 애널로그 디바이시스, 글로벌 벤처 캐피탈 업체 TWG 글로벌 홀딩스 등 총 6개사가 창림벰버로 참여한다. SK텔레콤은 전 세계 통신사 중 유일하게 선정됐다. MIT GenAI 컨소시엄은 생성형 AI 기술이 사회와 산업에 미칠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발족된 산학 협력 기구다. 불확실성이 높은 AI 산업에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샐리 콘블루스 MIT 총장,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대 학장 등을 비롯해 경영?인문?사회과학대학 등의 교수진도 주요 멤버로 참여해 융복합 생성형 AI 연구 수행이 될 수 있도록 컨소시엄에 최적화된 프로젝트 선정, 연구진 발굴, 연구 관리 등을 담당한다. MIT GenAI 컨소시엄은 올해 핵심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컨소시엄은 연구 결과물을 대중에 공개해 AI 스타트업들이 주요 빅테크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그룹의 AI 기술 컨트롤타워 SK AI 연구개발(R&D) 센터와 ICT, 반도체, 바이오, 에너지 등 그룹사의 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사업 분야에서 MIT와 공동으로 연구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에 기존 추진 중인 글로벌향 개인 AI 에이전트 '에스터'와 AI 데이터센터 외에도 제조 분야, 로봇 행동 최적화 연구 등을 주요 주제로 하는 피지컬 AI, 바이오 AI 등 차세대 AI 분야를 우선 순위로 두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과대학 학장 겸 MIT 최고 혁신 및 전략 책임자는 "MIT GenAI 임팩트 컨소시엄이 여러 학문 분야의 장벽을 허물고 AI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사회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영상 SK텔레콤 최고경영자(CEO)는 "최강의 글로벌 파트너십에 기반해 SK AI R&D 센터를 중심으로 SK 그룹의 AI 역량을 총결집하고, 생성형 AI를 넘어 피지컬 AI, 제조?바이오 분야에서의 AI 융합 등 버티컬 AI에 기반한 차세대 AI 연구과제 진행으로 산업 현장의 AI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2-04 16:35:41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한미약품, 지난해 매출 1조4955억원 경신..."개량·복합신약 기반 성장 이뤄"

한미약품이 2024년 매출 1조4955억원을 달성하며 2022년, 2023년에 이어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한미약품은 2024년 연결기준 매출 1조4955억원과 영업이익 2162억원, 순이익 1435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46억원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5억원, 219억원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업계 최고 수준인 14.5%에 이르며, 연구개발에는 매출의 14%에 해당하는 2098억원을 투입했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7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매출 1위(UBIST 기준)' 기록을 세우는 등 원외처방 부문에서만 전년 대비 7.1%의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이상지질혈증 복합신약 '로수젯' 한 제품으로만 전년 동기 대비 17.6% 성장한 2103억원의 처방 매출을 달성했고, 고혈압 치료 복합제 제품군 '아모잘탄패밀리'도 작년 146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작년 한해 동안 매출 100억원 이상인 '블록버스터' 제품 20종을 배출하며 국내 제약사 '최다' 기록을 유지했다.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은 작년 한해 누적 매출 3856억원과 영업이익 822억원, 순이익 742억원을 달성했다. 북경한미는 2022년 처음으로 연매출 3000억원을 돌파한 이후 3년 연속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는 중국 내 호흡기 질환 유행 지연과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기저 효과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판매가 주춤했다. 한미약품은 자체 개발 제품을 통해 얻은 수익을 신약개발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우선 경쟁력 높은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발매할 계획이다. '포스트 로수젯'으로 주목받는 차세대 개량·복합신약의 릴레이 출시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한미약품이 그동안 쌓아온 '신약개발 전문 제약기업'으로서의 역량에 신규 모달리티를 접목함으로써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올해도 항암, 비만대사, 희귀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오는 2026년 하반기 출시 목표인 비만 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를 비롯한 H.O.P 프로젝트 내 과제들의 임상 및 비임상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한미약품 박재현 대표이사는 "올해는 조속한 경영 안정화를 추진해 모든 비즈니스 영역에서 혁신과 도약을 실현하겠다"며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을 선도하는 R&D 중심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더욱 힘차게 전진하고 기업 가치를 한층 더 높여 주주들의 기대와 성원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2025-02-04 16:33:38 이청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