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친한계' 與 김상욱 "한동훈, 이번주 주말부터 움직일 듯"

대표적인 친한(친한동훈)계로 알려진 김상욱 국민의힘 의원이 4일 여당의 차기 대선 주자로 평가받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이번주나 다음주에 정치 행보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에 출연해 사회자가 한 전 대표의 등판 시기를 묻자 "개인적인 추정이나, 이번 주말이나 다음주 정도부터 움직임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상욱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이 인용될 경우, 중도층을 끌어안을 수 있는 대선 주자는 한동훈 대표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한동훈 대표가 아니고 다른 사람이면 대선에서 (과연) 할 수 있을까라는 의심이 든다"며 "대선에 들어가면 지지층이 양쪽으로 결집을 할 것이고 민주당이든 국민의힘이든 강성지지층은 고정수가 돼 버린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진영 논리로 모여버리니 결과적으로 대통령을 누가 할지 만들어주는 것은 중도"라며 "중도에 계신 분들만 놓고 봤을 때 비상계엄을 옹호하고 비상계엄을 선포한 대통령을 탄핵하면 안 된다고 했던 사람들에게 표를 줄 수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김 의원은 "중요한 것은 우리가 보수당이 보수의 가치로 새롭게 나가야 한다는 이야기를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보수의 이념을 넘어서 진보의 이념도 안을 수 있을 정도로 스펙트럼을 가진 사람이 중도를 안을 수 있는 것"이라며 "과연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할 수 있을까. 홍준표 대구시장이 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당의 선택은 정해져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중도 확장성을 가지지 않고 선거는 필패"라며 "중도 확장성을 가질 수 있는 사람들 중에 선택을 해야 하는데, 이를 기준으로 어떤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 봐야하는데, 선택지가 얼마 없다"며 한동훈 전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 정도가 그나마 남은 선택지라고 봤다. 한 전 대표의 사퇴로 당 안팎 친한계 조직이 무너지지 않았냐는 물음에 "그렇지 않다. 다만 소리를 내지 않을 뿐"이라며 "저희(친한계)가 다들 열심히 움직이고 소통하고 있다. 그러면서 여러가지 아이디어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원내에서도 친한계가 아직 열 명이 넘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정치권에 따르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설 연휴 기간동안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대표적인 보수 논객인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 등을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2025-02-04 16:33:06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김대호, MBC 떠난다..."퇴사 절차 완료"

아나운서 김대호(40)가 14년만에 MBC를 떠난다. MBC는 4일 "김대호 퇴사 절차가 마무리됐다"며 "오늘 사표를 수리해 의원면직 처리했다"고 밝혔다. 의원면직은 근로자가 자의에 따라 사표를 내면 수리해 퇴직하는 것을 뜻한다. 그동안 김대호는 아나운서국 아나운서1팀 차장으로 일했으며 오늘(4일) 퇴사 절차가 마무리 됨에 따라 입사 14년만에 프리랜서가 됐다. 김대호는 지난달 31일 방송한 '나 혼자 산다'에서 직접 퇴사한다고 고백했다. 김대호는 "2011년 입사해 14년 정도 됐다. 회사생활 열심히 한 건 자부한다. 일이 바빠지면서 힘도 들었지만 마흔이 넘지 않았느냐. 지금 아니면 변화하지 못할 것 같다"며 "내 인생에서 가장 좋은 타이밍은 아니지만, 내 손으로 삶의 고삐를 당길 수 있는 마지막 타이밍"이라고 밝혔다. 이어 "나이도 나이지만, 마지막으로 내 운전대의 삶의 고삐를 잡고 싶더라"라며 "전기 자동차처럼 편하게 갈 수 있겠지만, 난 수동 자동차를 좋아하지 않나. 내 기어를 내 손으로 운전하며 개척하고 싶은 마음"이라고 퇴사 심경을 전했다. 한편 김대호는 2011년 MBC 공채 30기 아나운서로 입사 후 뉴스와 교양 뿐 아니라 예능프로그램에서도 활약을 펼쳤다. 2023년과 지난해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신인상과 올해의 예능인상·최우수상을 안았다.

2025-02-04 16:31:09 이미옥 기자
기사사진
"본관에서 빼낼 '요원' 없었다"… 곽종근 전 사령관, 김용현 주장에 반박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국회 내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4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의원 아닌 요원'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곽 전 사령관은 "'요원을 빼내라'고 했던 시점에 요원들은 국회 본관 안에 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같은 진술에 여당은 곽 전 사령관이 야당에 회유됐다고 의혹을 제기했고, 이에 반발한 야당은 사과를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곽 전 사령관은 이날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내란 국조특위)' 2차 청문회에 출석해 "대통령이 저한테 직접 비화폰으로 전화해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면서도 "요원을 빼내라고 했던 그때 당시의 시점에서는 그 인원(요원)들이 본관에 들어가 있지도 않았다"고 했다. 앞서 김 전 장관은 지난달 23일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4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 측 신문에서 의원들을 끌어내라고 한 게 아니라 요원들을 빼라고 한 것이라고 답변했느냐'라는 국회 측 장순욱 변호사의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하지만 곽 전 사령관은 김 전 장관의 주장과 정반대의 진술을 한 셈이다. 또 곽 전 사령관은 "국회의원이나 국회 보좌진 외에 국회 본관 안에 다른 타깃(대상)은 없었다는 것이냐"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그렇다"고 답했다. 아울러 곽 전 사령관은 "윤석열 피고인이 헌재에서 '다치는 사람이 없도록 철수하라'고 지시했다는데, 그런 지시를 한 사실이 있냐"는 질문엔 "저는 지시받은 바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비상계엄 상황이 발생하기 전이나 중간에도 누구로부터 '질서를 유지하라', '시민을 보호하라', '경고용이다'라는 말은 들은 바가 없다"고 강조했다. 곽 전 사령관은 '의원'과 '요원' 논란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요원은 (지난해) 12월4일 오전 1시쯤 있었던 (통화에서) 707 특임단 인원을 밖으로 빼내라고 한 게 맞다"며 "12월4일 오전 0시20분부터 35분 사이에 대통령과 김용현 전 장관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가 있었던 것도 맞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은 곽 전 사령관이 계엄사태 직후 김병주 민주당 의원의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양심 선언을 한 것에 대해 "김병주 의원이 군사령관일 때 곽 전 사령관은 중요 참모였다. 그 관계를 군인들은 다 안다"며 김 의원이 곽 전 사령관을 회유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특히 임 의원은 곽 전 사령관이 지난해 12월10일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현안질의 출석 뒤 민주당 의원을 만난 사실을 공개하며 "(그 자리에서) 곽 전 사령관이 (민주당에) 회유당했다는 제보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야당이 즉각 반발하며 고성이 오갔다. 김병주 민주당 의원은 "군에 대한 모독"이라며 임 의원에게 사과를 요구했고, 같은당 부승찬 의원은 "어디다 대고 회유를 했다고 하느냐"고 따져 물었다. 이 과정에서 임 의원이 "싸가지(없다)"고 말하자 부 의원은 "싸가지라뇨. 선을 넘네. 해보자는 겁니까"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곽 전 사령관은 "분명히 말하는데 김병주 의원의 유튜브에서 저 스스로 모든 진실을 밝히겠다고 판단해서 말한 것"이라며 "제 의지대로 말한 것"이라며 여당의 회유 의혹을 부인했다. 한편 이날 내란 국조특위 2차 청문회에서는 비상계엄 사태에 관여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수차례 방문한 것으로 알려진 전북 군산 소재 점집 운영자 무속인 '비단 아씨' 이선진씨가 출석했다. 이씨는 노 전 사령관이 2022년 2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수십차례 자신의 점집에 방문했다고 밝혔다. 또 김용현 전 장관이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기 직전에 노 전 사령관이 '이 사람이 장관이 될 것 같다. 이 사람이 올라가는 데 문제가 되지 않겠냐'고 질문했다고 전했다. 또 이씨는 노 전 사령관이 "이 사람(김 전 장관)과 내가 뭔가를 했을 경우, 그게 잘 되면 내가 다시 나랏일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이씨는 배신자 색출을 위한 군인 명단을 제시하는 점괘를 의뢰한 바도 있다고 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2-04 16:28:29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샘 올트먼·손정의 연쇄 방한…정체된 한국 AI, 도약의 전환점 되나

오픈AI의 샘 올트먼(CEO)와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이 방한해 국내 주요 기업들과 AI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세계적인 AI 기술 및 투자 거물들이 잇따라 한국을 찾으면서, 그간 정체된 것으로 지적되던 우리나라의 AI 경쟁력에 전환점이 마련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련기사 3면> 4일 업계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오픈AI의 첫 공식 행사를 위해 한국을 방문, 국내 주요 기업 총수들과 만났다. 그의 방한 일정은 직전까지 극비리에 부쳐졌다. <메트로경제> 취재를 종합해보면, 이날 오전 올트먼 CEO는 첫 번째 일정으로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만나 AI 기술 협력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는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김주선 SK하이닉스 AI인프라 사장 등 주요 계열사 사장들이 동석했다. 이후 그는 오픈AI 개발자회의 '빌더 랩(Builder Lab)'과 카카오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오후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3자 회동을 가졌다. 카카오 기자간담회에서 올트먼 CEO와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양사의 전략적 제휴 체결 소식을 발표했다. 이는 오픈AI가 국내에서 맺은 첫 전략적 제휴로, 두 기업은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과 공동 상품 개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챗GPT API를 활용한 카카오톡, '카나나' 등 카카오 서비스와의 연동 방안이 논의 중이다. 오후에 열린 올트먼 CEO와 이재용 회장, 손정의 회장의 3자 회동은 전날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이재용 회장의 첫 공식 행보이기도 했다. 손정의 회장은 '한·미·일 AI 동맹'을 위한 논의를 목적으로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했다고 밝혔다. 손 회장은 취재진과 만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관련 최신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삼성그룹과의 잠재적 협력 가능성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스타게이트(Stargate)' 프로젝트란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합작벤처 스타게이트를 통해 4년간 최대 5000억달러(약 730조원)를 투자하는 AI 관련 사업이다. 미국 전역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하는 것이 핵심이며, 반도체 설계자산 기업인 Arm(암)과 엔비디아도 참여해 기술 협력을 진행한다. 업계에서는 오픈AI가 이 프로젝트의 데이터센터에 자체 설계 반도체를 활용하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고려하면 이번 3자 회동에서 이재용 회장과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조사로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안을 협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올트먼 CEO가 국내 주요 기업 총수들과 잇따라 만남을 가진 데 대해, 업계 안팎에서는 국가적 AI 역량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올트먼 CEO는 이날 오전 기자들의 한국 시장 확대 방침 관련 질문에 "물론이다. 한국은 반도체와 에너지 등 AI 관련 산업 역량이 뛰어나고, AI를 적극 도입하는 국가 중 하나"라고 답했다. 다만 오픈AI의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올트먼 CEO는 카카오 기자간담회 질의응답에서도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며 대부분의 질문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오픈AI 한국지사 설립 여부에 대해서는 "일정을 발표할 정도로 구체화된 것은 없지만, 한국은 훌륭한 시장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AI컴퓨팅센터에 대한 투자 가능성에 관해서도 "고려 중이지만 오늘 발표할 내용은 없다"며 말을 아꼈다. 파트너십 관련 대화 역시 모두 기밀이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2-04 16:23:26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AI가 되살린 '존 레논' 목소리… 비틀즈 마지막 신곡, 美 그래미 수상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복원된 비틀스의 마지막 신곡 '나우 앤 덴(Now and Then)'이 그래미상을 수상했다. AI 기술이 음악 제작 방식과 창작 개념을 변화시키면서 AI가 만든 음악을 창작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고인의 목소리를 AI로 복원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타당한지 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나오고 있다. 3일(현지시간)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비틀스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크립토닷컴 아레나에서 열린 제67회 그래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록 퍼포먼스 상'을 수상하며 8번째 그래미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AI 기반 음원이 그래미 후보에 오른 최초의 사례로, 그린데이, 펄 잼, 블랙 키스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폴 매카트니 "합성 아닌 기존 녹음 정리한 것" 강조 그래미 측은 후보 발표 당시 "'나우 앤 덴'은 45년 만에 완성된 곡"이라며 역사적 의미를 강조했다. 이어 "존 레넌은 1970년대 후반 이 곡의 데모를 녹음했지만,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 이후 미완성으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그의 동료들이 그를 위해 음악을 완성해 세상에 선보였다"고 설명했다. 나우 앤 덴은 1970년대 말 존 레넌이 뉴욕 자택에서 녹음한 미완성 데모 테이프를 AI 기술로 복원해 완성한 곡이다. AI가 레넌의 보컬을 분리하고 잡음을 제거해 선명한 음질로 복원한 후, 폴 매카트니와 링고 스타가 연주를 추가해 지난해 11월 공식 발매되었다. 폴 매카트니는 "이 곡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기존 녹음을 정리한 것"이라며 AI 기술이 창작의 본질을 대체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분명히 얘기하지만, 인위적이거나 합성으로 만들어진 것은 없다. 모두가 진짜이고 우리 모두가 그 위에서 연주한다"며 "우리는 수년 동안 진행해 온 기존 녹음을 정리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비틀스는 1990년대에도 존 레넌의 데모를 복원하려 했지만, 당시 기술로는 레논의 목소리를 깨끗하게 분리할 수 없어 무산됐다. 이후 비틀스 다큐멘터리 '비틀스: 겟 백' 제작자들이 머신 러닝(ML) 기반의 새로운 오디오 분리 기술을 적용하면서 제대로 녹음되지 않은 데모에서도 레넌의 목소리를 추출할 수 있게 됐다. ◆AI 음악 창작, 어디까지 허용될 것인가 AI를 활용한 음악 제작이 확산하면서 창작과 복원의 경계를 둘러싼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AI가 만든 음악을 기존 저작권 체계로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현재 AI가 생성한 음악은 법적으로 명확한 보호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AI가 학습한 원본 음원과 생성된 결과물이 얼마나 유사한지에 따라 저작권 침해 여부가 달라질 수 있어, 이에 대한 명확한 판단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AI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여부를 두고 각국에서도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아직 명확한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 미국은 AI가 단독으로 만든 창작물에 대해 저작권을 인정하지 않는 방향을 유지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도 AI 창작물 보호 기준을 마련하는 과정을 진행 중이다. 반면, 한국에서는 AI 음악의 법적 보호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조차 많지 않은 상황이다. AI 기술이 음악 제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윤리적·법적 논의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될 경우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AI가 고인의 목소리를 재현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타당한지에 대한 의문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유족의 동의 없이 AI로 복원된 음원을 사용할 경우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이에 전문가들은 AI 음원 제작 시 사전 동의 절차를 강화하고, 명확한 출처 표기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2025-02-04 16:18:48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대웅바이오, 고혈압 치료제 '트윈베타'와 '텔미베타' 연매출 100억원 달성

대웅바이오는 고혈압 치료제 '트윈베타'와 '텔미베타' 제품군이 지난해 연매출 100억원을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트윈베타와 텔미베타는 '텔미사르탄'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제로 지난해 개별포장에서 병포장 형태로 재단장됐다. 두 제품 모두 습기에 강한 정제로 변경된 것도 특징이다. 대웅바이오는 텔미사르탄 성분은 습기에 취약해 복용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한계를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제형 개선을 통해 병포장에서도 약물 안정성을 확보해 텔미사르탄의 강점을 유지하면서도 복약순응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텔미사르탄 성분의 고혈압 치료제는 꾸준히 지속 복용해야 하는 만큼, 포장 및 제형 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웅바이오는 재단장한 '트윈베타'와 '텔미베타' 제품군이 향후에도 다약제 복용 환자와 고령 환자들에게 적합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대웅바이오의 텔미사르탄 제품군에는 ARB+CCB 복합제인 '트윈베타', 단일제 '텔미베타', ARB+이뇨제 복합제 '텔미베타플러스'가 있다. 대웅바이오는 환자 맞춤형 치료를 위해 ARB+CCB+이뇨제 3제 복합제도 개발하고 있는 등 고혈압 환자들의 삶의 질을 더욱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02-04 16:13:37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통신3사, 갤럭시 S25 사전 개통 시작…가장 혜택 많은 곳은?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4일 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 S25의 사전 개통을 시작했다. 통신 3사는 오는 7일부터 시작되는 갤럭시 S25 시리즈 일반 개통을 앞두고 다양한 이벤트 및 프로모션을 진행해 고객 유치를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통신 3사에 따르면 갤럭시S25 중 가장 많이 예약된 모델은 '갤럭시S25 울트라'인 것으로 나타났다. SKT는 전체 사전 예약 구매자 중 60%가 울트라 모델을 선택했다. KT와 LG유플러스에서도 사전 예약 구매자 중 절반 이상이 울트라를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색상은 갤럭시 S25와 S25+는 아이스블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갤럭시 S25 울트라는 티타늄 블랙, 티타늄 화이트실버, 티타늄 실버블루, 티타늄 그레이 모델 순으로 인기 있었다. 이에 통신 3사는 갤럭시 S25 사전 구매에게 다양한 프로모션을 제공하며 고객 유치 경쟁에 나섰다. 먼저 SKT는 S25 시리즈 사전 예약 시 월트디즈니 월드 투어 기회, 스타벅스 5만원 상품권, 디즈니플러스·T우주·T데이·T로밍·에이닷·챗GPT 더블 혜택 등을 제공한다. SKT는 또 제휴 카드 활용 시 더블 할인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오는 28일까지 삼성카드 T라이트 카드에 가입하고 스마트폰을 할부로 결제하면 최대 84만원 혜택이 제공된다. 현대카드 M3 통신할인형2.0에 가입하고 통신료를 자동 이체하면 최대 72만원 혜택이 제공돼 두 카드를 함께 쓰면 총 156만원을 절감할 수 있다. 또, SKT는 월 5200원을 내면 최대 5회까지 파손을 보상해주는 갤럭시 S25 시리즈 전용 보험상품인 'T올케어플러스 파손 S25'를 3개월간 운영한다. 2년 뒤 S25 시리즈를 반납하면 신모델로 기기 변경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KT는 갤럭시 S25 시리즈를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새로운 초이스 혜택인 '갤럭시 체인지 초이스'를 제공한다. 갤럭시 체인지 초이스를 선택하면 '안심체인지 뉴 갤럭시 AI 클럽'에 가입할 수 있다. 이 클럽은 2년 후 새 휴대전화를 구매할 때 기존 기기를 반납하면 최대 50% 보상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또 갤럭시 액세사리 디바이스에 관심이 많은 고객이라면 삼성 초이스 요금제 가입 시 버즈3와 버즈3 프로를 혜택 가격으로 살 수 있다. 이 밖에도 KT는 갤럭시 S25 시리즈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365폰케어 파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세컨드 디바이스(갤럭시 버즈·워치 등)의 파손·피싱·해킹 보장은 물론, 폰 교체·파손 수리 대행까지 지원한다. 월정액 5900원이며, 스페셜 이상 요금제 이용 시 멤버십 차감 할인으로 월 3800원에 이용 가능하다. LG유플러스는 최신 갤럭시 단말기를 구매하고 5G 시그니처 또는 5G 프리미어 플러스(월 10만5000원) 이상 요금제에 가입한 고객에게 태블릿 또는 스마트기기 월정액 상품을 할인 제공한다. '갤럭시워치7 팩' 또는 '갤럭시버즈3프로 팩' 혜택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액세서리에 대한 36개월 할부금을 전액 지원받을 수 있다. 제휴카드 프로모션도 진행, 롯데·삼성·신한·KB 등 4개 카드사 제휴카드로 S25 시리즈를 구매하고 통신 요금을 자동 이체하는 고객은 최대 10만원을 환급받을 수 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2-04 16:13:05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與 "특별법으로 반도체 R&D 인력 주52시간제 제외·비수도권 DSR 완화 촉구"

국민의힘이 4일 두 차례 당정협의회의를 열어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R&D) 인력의 주52시간제 적용 제외를 추진하고,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지방 미분야 사태 해결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요구, 반도체 특별법 관련 정책 디베이트를 열자 여당인 국민의힘도 '잘하기 경쟁'에 나서는 모습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반도체특별법 주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에서 "주52시간제의 경직된 운영으로 반도체 산업 경쟁력이 날로 악회되고 있다"며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정협의회에서 "이미 미국, 중국, 일본, 대만 등 주요국들은 반도체를 국가안보전략산업으로 여기고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면서 "반도체 경쟁력을 잃는 것은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국가 안보까지 위협하는 사안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에 각국은 국가적 정책 지원과 근로시간 유연화를 통해 초경쟁 체제에 돌입했다. 연구 개발과 생산이 24시간, 365일 지속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산업이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비공개 회의 후 결과 브리핑에서 반도체 특별법 여야 합의 사항만 일단 처리하고 주52시간제 적용 특례는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검토해보자는 의견에 대해 "반도체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현 시점에서, 근로기준법 개정을 통한 특례 도입은 사회적 부담이 크고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반도체 R&D 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 52시간제 특례는 반도체 특별법에 규정하여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오후에 열린 민생대책 점검회의 당정협의회에서 지방 미분양 해소, 경제부처 민생 대책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당정은 비수도권에서 적체된 미분양이 건설사의 유동성을 제약하고 투자를 위축시키는 주된 요인이라며 적체된 미분양을 직접 해소하는 비수도권 미분양 매입 CR리츠도 상반기 중 본격 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민의힘은 정부에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한시적 완화'를 금융위와 국토부 등 관계 부처에 촉구했고 금융위도 면밀히 검토하겠다는 답을 했다고 밝혔다. 추가로, 당정은 준공후 미분양 주택 구입 시 세제상 1세대 1주택 특례 유지, 사업자 원시취득세 50% 감면 등 금년부터 시행되는 비수도권 미분양 해소 맞춤형 지원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당정은 경제부처 민생대책으로 반도체 투자세액공제 확대, 임시투자세액공제 재도입 등 기업 투자 촉진을 위한 세제지원 과제를 추진하고 영세 소상공인을 위한 신용카드 소득공제 확대, 노란우산공제 세제지원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당정은 소상공인 금융 지원과 재기 지원으로 민생을 지원하는 한편, 생활물가 안정에 11조6000억원의 재정을 지원하고 통신비 경감을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서는 등 물가안정과 내수경기 활성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2025-02-04 16:11:00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LG생건 4분기 영업이익 434억, 전년比 20% 급감...구조조정 영향 컸다

LG생활건강의 2024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5.7% 줄어든 459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0% 이상 줄어든 영향이 컸다. LG생활건강은 4일 실적 공시를 통해 2024년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0.1% 성장한 6조 811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4590억원으로 전년 대비 5.7% 줄었다. 지난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0.7% 줄어든 434억원에 그친 영향이 컸다. 회사측은 인력 구조조정 등 일회성 비용 약 200억원이 반영된 영향이며, 이를 제외하면 실질적인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2024년 한해 당기순이익은 2039억원으로 24.7% 증가했다. 화장품(Beauty) 사업 부문의 연간 매출은 2조8506억원, 영업이익은 1582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2%, 8% 증가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중국과 북미, 일본 등 해외 사업이 호조를 나타냈고, 국내에서는 온라인과 H&B 채널에서 성장을 지속하며 매출이 증가했다. LG생활건강 측은 "중국에서 호실적을 달성한 '더후'가 럭셔리 브랜드 입지를 강화했고, 북미와 일본 시장에서는 '더페이스샵' '빌리프' 'CNP' 등 전략 브랜드의 매출이 확대됐다"며 "중국 광군제, 미국 아마존 블랙 프라이데이, 일본 큐텐 메가와리 등 해외 주요 온라인 행사와 연계한 마케팅 투자가 늘어났지만 전반적인 매출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 역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생활용품(HDB) 부문 연간 매출은 2조 13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줄어든 반면, 영업이익은 1328억원으로 6% 늘었다. '피지오겔', '유시몰' 등 프리미엄 브랜드의 견고한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내수 경기 침체로 전체 매출은 소폭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해외 사업 효율화와 브랜드 및 채널 다변화 전략으로 전년 대비 성장했다. 음료(Refreshment) 사업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4110억원을 기록한 반면, 영업이익은 65.1% 감소한 102억원에 그쳤다. 연간 영업이익 역시 전년 대비 21.9% 감소한 1681억원에 그쳤다. 회사측 관계자는 "코카-콜라 제로, 몬스터 에너지 등 제로 탄산 및 에너지 음료 중심으로 성장을 지속하며 매출은 한 자릿수 증가했다"며 "인력 구조조정 등 사업 효율화 관련 일회성 비용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했지만, 이를 제외하면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이세경기자 seilee@metroseoul.co.kr

2025-02-04 15:59:47 이세경 기자
기사사진
LG Electronics unveils innovative display technologies at ISE 2025, strengthening its B2B business.

LG Electronics is showcasing innovative display solutions that enhance the value of spaces at ISE 2025, a commercial display exhibition held in Barcelona, Spain, starting on the 4th (local time). A model is scanning the QR code of the 'Kinetic LED,' which uses generative AI technology to transform photos into pop art. / LG Electronics 4o mini LG Electronics is participating in ISE 2025, the commercial display exhibition held in Barcelona, Spain, from February 4 to 7, showcasing industry-specific customized solutions based on commercial displays. Under the theme "Growing Together with Customers through Customized Solutions," LG Electronics has set up its exhibition hall, displaying various products tailored to key environments such as stores, offices, schools, transportation, and hotels. At the entrance of the exhibition hall, a massive 'Kinetic LED' display was installed, enhanced with AI technology to add an element of fun. The display, composed of 88 LED signage panels, measures 7.18 meters in width and 4.09 meters in height. It features a cube-shaped module that combines LED and mirror elements, with each module rotating 360 degrees left and right, creating a dynamic and vibrant movement. Additionally, a participatory advertising solution was implemented, where visitors can scan a QR code with their smartphones, and the generative AI will convert their input into pop art, which is then displayed on the screen. n addition, LG Electronics will demonstrate various technologies in collaboration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tner companies, including: ▲Triplett, an AI-based retail store traffic and behavior data analysis company ▲Cocomo 24/7, a company specializing in school access management and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Moses, Megapixel, and Brompton, companies specializing in virtual production equipment and solutions ▲Logitech, Cisco, and Crestron, companies offering enterprise video conferencing solutions ▲BrightSign, a company providing content management solutions for digital signage. At this exhibition, visitors will be able to see the upgraded version of the highly advanced ultra-high-definition Micro LED 'LG Magnit.' The product has been enhanced based on feedback from B2B customers, improving ease of use and installation, content compatibility, and energy efficiency. Previously, the adjustment of the gap between LED modules was only possible from the back, but now it can be done from the front as well. Additionally, the LED controller functionality has been strengthened, and standby power consumption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by up to 98% when the screen is turned off. This year, LG Electronics will showcase high-brightness signage featuring the 'Anti-Discoloration' technology, which minimizes the yellowing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screen is exposed to sunlight for extended periods. This marks the first public display since receiving industry-first verification for discoloration resistance from the global testing and certification agency 'UL Solutions' last year. Additionally, LG will exhibit a lineup of signage optimized for preventing discoloration, designed for various outdoor environments, such as drive-thru stores, outdoor swimming pools, and bus stops. In the retail zone, which is designed to simulate a retail store, LG Electronics will showcase a comprehensive commercial display solution for retail stores, including signage that has obtained fire safety certification to ensure customer safety, and the second-generation kiosk tha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to meet customer needs. The three signage models displayed in the retail zone (models: US5P, UV5N, UP5Q) have been certified by global certification bodies SGS and TUV Rheinland to meet the fire safety standards of the UK and EU, including fire propagation and resistance. Recently, LG Electronics has obtained the same certification for a total of 22 models, including these three. In addition, visitors to LG Electronics' exhibition booth can experience various B2B products, such as the LG electronic whiteboard, which provides high-quality content and convenience features for educational and industrial settings, as well as LG's commercial display operation and management solution integrated platform, 'LG Business Cloud.' Park Hyung-se, President of LG Electronics' MS Business Division, stated, "Through innovative products and solutions that make various B2B customer spaces more valuable, we will grow together with our customers and solidify our leadership in the B2B market."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04 15:47:07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