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메트로신문 - 2월 3일자 한줄뉴스

<산업부> ▲'딥시크 쇼크' 이후 국내 AI 인재 육성 정책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는 유학 경험 없는 젊은 연구자 중심으로 개발됐으며, 중국 정부의 대규모 AI 인재 육성 정책과 막대한 투자 덕분에 급성장했다. 반면, 한국은 AI 인재 유출과 연구 환경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채, 성과 중심의 지원 구조로 인해 장기적 혁신이 어려운 상황이다. 정치권은 AI 관련 예산 확대와 인재 육성 계획을 내놓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실질적인 지원과 연구 자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딥시크의 AI 모델 '딥시크 R1'이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미국과 유럽에서 사용 제한 조치를 받는 반면, 인도는 이를 적극 수용하며 AI 개발을 추진 중이다. 전문가들은 기술 혁신과 보안 문제 간 균형 잡힌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서, 한국 경제도 영향권에 들게 됐다. 삼성전자, LG전자, 기아, 포스코 등 주요 기업들이 해당 국가에 생산공장을 운영 중이라 관세 전쟁이 확산될 경우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타격이 예상된다.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강자 삼성전자가 지난해에 SK하이닉스에 처음으로 왕좌를 내줬다. 인공지능(AI)시장 성장과 함께 급팽창한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승패를 갈랐다. 삼성전자의 위기 돌파 방안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HBM 제품 비중 확대와 '딥시크'의 출현이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자본시장>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딥시크 쇼크'로 변동성이 커지며, 투자자들이 금과 머니마켓액티브 ETF 등 안전자산으로 이동하고 있다. 금값은 트럼프 재선 이후 8.65% 상승했으며, 금 ETF와 단기채권형 ETF로의 자금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헤지와 금리 인하 기대감이 금값 상승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영향에서 자유로운 업종으로 증권업이 부각되며, 강한 매수세와 4분기 호실적 기대감 속에 증권주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금융당국의 밸류업 정책과 금투세 폐지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KRX증권지수는 6.18% 상승하며 코스피를 웃돌았다. ▲현대모비스가 지난해 하반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하면서 주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실적 개선세와 더불어 자사주 매입 등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이 주목되면서 증권가에서도 목표주가를 줄상향하고 있다. <정책사회> ▲1월 수출이 설 연휴 영향으로 16개월 만에 감소했지만, 일평균 수출은 7.7% 증가했다. 반도체·SSD가 호조를 보였으나 무역수지는 18.9억 달러 적자였다. 정부는 수출 회복을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서울시는 이달부터 일용직 건설 근로자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안심수당' 제도를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서울의 소비 경기 활력 저하가 지속되고 내수 부진이 이어지면서 제조 및 서비스 기업의 체감 경기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등 14개 국립공원에서 내륙습지 18곳을 추가로 발견했다고 2일 밝혔다.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온라인 무역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수출 지원기관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수출에 성공하는 사례가 속속 확인되고 있다. <금융·부동산> ▲주요 금융지주들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금융당국과 정치권이 '상생금융'을 강조하며 가산금리 인하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업계 분위기는 어둡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이 관련 법안을 발의하는 등 정치적 개입이 커지고 있다. 금융권은 실적 증가가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로 인한 일시적 현상이며, 이미 상생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고 해명하고 있다. ▲지난해 5대 은행의 부실채권 매·상각 규모가 7조원을 넘어서며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고금리·고물가로 가계·기업 연체율이 상승하고, 부동산 PF 부실 정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연체채권 규모가 여전히 크고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면서 당분간 부실채권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고양창릉 3기 신도시 본청약이 31일부터 시작되며, A4·S5·S6 블록 총 1792호가 공급된다. 서울과 인접한 입지가 강점이나, 사전청약 대비 분양가가 최대 1억 원 상승해 부담이 커졌다. 입주는 2027~2028년 예정이며, 견본주택은 일산 킨텍스에 마련된다. <유통·라이프> ▲식품업계가 AI와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며 푸드테크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CJ제일제당, 농심, 삼양식품, KGC인삼공사 등은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해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있으며, 롯데GRS, 삼성웰스토리 등 외식·급식업계도 조리 자동화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업계는 자동화 시스템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인력난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중동 지역으로 K보톡스 진출을 확장하며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제약사들이 글로벌 항암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HLB, 한미약품, 에스티팜, 온코닉테라퓨틱스 등이 신약 개발과 FDA 승인에 집중하며 K-항암제의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설 대목 특수를 누린 유통업계가 밸런타인데이, 새 학기 등 다음 시즌 마케팅에 돌입했다. 연초에는 전통적으로 시즌 행사가 이어지는 만큼, 유통업계의 실적 개선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다.

2025-02-03 07:00:19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The Miracle of Semiconductors" Samsung overtaken by SK for the first time... What will be the breakthrough this year?

Global semiconductor giant Samsung Electronics lost its throne to SK hynix for the first time last year. The fierce competition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rapid growth of high-bandwidth memory (HBM) demand, driven by the expanding AI market. With attention now focused on how Samsung will overcome this challenge, there is growing expectation that an increase in HBM product share and the emergence of "DeepSeek" could serve as key momentum. ◆ SK hynix surpasses 8 trillion won in operating profit. According to Samsung Electronics on the 2nd, the revenue of its Device Solutions (DS) division, which oversees the semiconductor business, was 30.1 trillion won in the fourth quarter, with memory sales accounting for 23 trillion won. However, its operating profit was only 2.9 trillion won. The annual operating profit was 15.1 trillion won. In contrast, rival SK hynix surpassed Samsung Electronics with record-breaking results both in the fourth quarter and for the entire year. SK hynix's fourth-quarter operating profit was 8.08 trillion won, and its annual revenue reached 66 trillion won, with an operating profit of 23.39 trillion won. SK hynix’s annual operating profit was more than 8 trillion won higher than Samsung Electronics'. The key factor that determined the outcome of the semiconductor business last year was HBM. SK hynix has virtually monopolized the supply of HBM to companies like NVIDIA, and with the expansion of the AI market, demand for HBM surged, leading to strong performance. In the fourth quarter, 40% of its revenue came from HBM. SK hynix is expected to continue this momentum, with HBM shipments already sold out for this year. On the other hand, Samsung Electronics, which has a lower contribution from HBM, did not achieve the expected results. Additionally, the company struggled with a demand slump in general-purpose memory and faced challenges from low-priced products from China. Despite recording the highest-ever revenue in the fourth quarter, its operating profit sligh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 Samsung to double HBM supply… 'Timely development of HBM4' Samsung Electronics is expected to focus on expanding its HBM supply in order to take the lead in the semiconductor business. This year, it plans to supply HBM3E to NVIDIA and will need to address challenges such as ▲timely development of HBM4 and ▲countering competitors, including those from China. On the 31st, Bloomberg reported, citing anonymous sources, that Samsung Electronics obtained approval from NVIDIA to supply HBM3E 8-layer memory last month. However, this possibility is considered low, as Samsung had indicated that HBM revenue would actually decrease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due to a temporary demand gap. Analysts believe that if Samsung were to supply HBM3E to NVIDIA, there would be no such demand gap. Despite this, Samsung plans to directly confront the crisis by flexibly producing legacy (older) DRAM and focusing on the high-value HBM production. Samsung stated, "Customer demand will rapidly shift from HBM3E 8-layer to 12-layer after the second quarter of this year," adding, "We plan to double the HBM supply compared to last year to meet customer demand." It further revealed, "For 16-layer products, we have created samples and delivered them to major customers." At the same time, Samsung is redesigning HBM3E and pushing forward with the development of HBM4. ◆ DeepSeek 'positive outlook' possible... Urgent need for 52-hour workweek regulation. In addition, there is analysis suggesting that the shock from the Chinese AI startup "DeepSeek" could work as a positive for Samsung Electronics. While U.S. AI companies use NVIDIA's high-cost, high-performance GPU H100, DeepSeek developed its product in just two months using around 2,000 relatively low-performance H800 chips. This has raised the possibility in the AI industry that high-performance GPUs from NVIDIA may not always be necessary.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could lead to shifts in the industry ecosystem, which may present long-term opportunities for Samsung Electronics in the AI market. On the 31st, Samsung Electronics commented during a conference call regarding DeepSeek, stating, "There will be both long-term opportunities and short-term risks in the market." They also noted, "As we supply HBM, which is needed for GPUs, to various customers, we are monitoring the situation considering different scenarios." Meanwhile, the potential abolition of the 52-hour workweek regulation in the domestic semiconductor industry is also seen as a positive factor. There are suggestions that lifting the work-hour restrictions would be necessary to outpace Chinese companies and strengthen semiconductor competitiveness. Delays in deliveries due to work-hour regulations have been reported as a common issue. The industry believes that the fastest way to lift the regulations would be to introduce special provisions for semiconductor law currently under discussion in the National Assembly. If economic compensation for worker rights protection and health safeguards are also established, it is believed that this woul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enhancing medium- to long-term semiconductor competitivenes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02 16:54:1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여야 공감대 형성되며 '벚꽃 추경' 가시화… '불황에 단비' 기대감 솔솔

국민의힘이 2일 여야정 협의체에서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추경을 두고 더불어민주당과 신경전을 벌이던 여당이 한 발 물러선 것이다. 대내외 불안 요인으로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는 상황에서 정부와 정치권이 경기 활성화를 위한 '벚꽃 추경' 편성 논의를 시작할지 주목된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민생에 진심이라면 여야정협의체 복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권 원내대표는 추경 편성이 정쟁으로 번지지 않도록 여야정협의체를 통해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원내대표는 "당리당략적 예산이 아니라 민생안정과 취약계층 보호, 경제 활력을 위한 예산 항목에 국한해 논의해서 (추경안을) 확정한 다음 정부로 하여금 추경안을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 추경의 속도를 내는 데도 중요하고 각종 정책 논란을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태도도 다소 달라졌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국무회의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4분기에 성장과 고용이 부진하고 수출 증가세도 둔화되는 흐름으로, 미국 신정부의 정책 전환이 점차 구체화되며 대외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면서 추가 재정 필요성을 언급했다. 앞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민생회복지원금을 고집하지 않을테니, 추경을 편성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또 지난 1일에는 "정부가 추경에 대대적인 AI 개발 지원 예산을 담아 준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의논하며 협조할 것을 약속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아울러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권성동 원내대표의 '추경 논의는 여야정협의체에서 하자'는 제안에 대해 "2월 중에 반도체특별법, 추경(추가경정예산)을 처리하자"고 화답했다. 정부와 여당의 입장 선회는 현재 미국 신(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국제 경제 불안정성 등 경기 하방 압력이 계속되면서, 한국은행이 추경 편성을 요구하는 상황이 이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달 16일 이창용 한은 총재는 "소비 심리가 악화한 상황에서 어차피 (추경을) 할 것이라면 빨리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또 국회 예산정책처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정부의 예산 조기집행에 대해 "최근의 재정집행 실적과 올해 하반기 재정 운용 여건을 고려하면 예산 조기 집행의 규모와 속도, 경기부양 효과의 실효성을 모두 담보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재정 지출이 상반기에 비해 줄어드는 하반기에는 성장의 하방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만일 추경을 편성한다면 15조~20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생·경기 회복 및 AI 등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추경이 편성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럴 경우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추가되면서 건설경기 활성화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소상공인들도 내수 진작을 위한 추경을 원하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조사한 '2025년도 소상공인 신년 경영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경영 성과가 좋지 못한 상황에서, 올해 역시 매출이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이들이 많았다. 이에 같은 조사에서 소상공인 10명 중 9명은 추경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 모건스탠리는 추경이 향후 경기 흐름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 정부가 20조원에 달하는 추가 패키지(추경)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를 통해 올해 말부터 내년에 걸쳐 성장률을 20bp(1bp=0.01%포인트) 올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2-02 16:30:58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DeepSeek's personal data leakage controversy emerges as a new issue… U.S. and Europe 'block' vs. India 'welcomes'.

The shockwaves caused by the Chinese AI startup DeepSeek are sweeping across the globe, with security issues such as personal data breaches emerging as a new concern. Some countries have banned the use of DeepSeek due to the potential for personal data leakage, while others, particularly those in developed nations, are encouraging the active adoption of DeepSeek, driven by hopes of breaking the monopolistic AI technology regime established by advanced countries. According to foreign reports, including Bloomberg, major global corpora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are blocking access to the AI inference model "DeepSeek R1" developed by DeepSeek. DeepSeek R1 is a large-scale language model (LLM) trained on 671 billion parameters, and it has caused a major stir by delivering GPT-4-level performance at a low cost. It is particularly noted for its use of NVIDIA's H800 chip, which was released with reduced performance for the Chinese export market, but still manages to deliver performance close to that of GPT-4. The U.S. government and Congress have taken a strong stance by fully banning the use of DeepSeek and are responding aggressively. The U.S. Congress has restricted the use of DeepSeek on public devices like phones and computers within Congress and has directed staff not to install it. The Congress has warned that "threat actors are already exploiting DeepSeek as a means to distribute malicious software and infect devices." The U.S. Navy and Department of Defense have also blocked employee access to DeepSeek. It is reported that the Department of Defense took action after confirming that some employees had used DeepSeek, leading to the decision to restrict access. At the corporate level, the movement to block DeepSeek is also spreading. According to network security firm Netskope, 52% of its clients have already fully blocked access to DeepSeek. Nadir Izraeel, the Chief Technology Officer (CTO) of cybersecurity company Armis, stated, "About 70% of our clients have requested to block access to DeepSeek," adding, "Hundreds of companies, especially those linked to the government, are concerned about the potential data leakage to the Chinese government and vulnerabilities in personal data protection." DeepSeek's privacy policy explicitly states that user data is collected and stored on servers in China, and any disputes related to this matter are subject to Chinese law. With this information now public, many companies and government agencies are blocking the use of DeepSeek's AI model R1 and it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for security reasons. Regulatory movements against DeepSeek are also gaining momentum in Europe. The Italian Data Protection Authority requested information regarding DeepSeek's handling of personal data, and as a result, DeepSeek's app was removed from Google and Apple app stores in Italy. The Irish Data Protection Commission (DPC) also sent a letter to DeepSeek requesting information on how user data from Ireland is being processed. The letter expressed concerns about potential violations of the European Union (EU)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The French Data Protection Authority (CNIL) has also launched its own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ing of DeepSeek's AI system and the potential data protection risks associated with it. In contrast, India has embraced DeepSeek. Unlike the U.S. and Europe, which have adopted a strict regulatory stance, India is eager to actively utilize the technology. Ashwini Vaishnaw, India's Minister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praised DeepSeek's technology and announced plans to host the DeepSeek model on servers within the country. Moreover, India has been inspired by DeepSeek's low-cost AI and announced plans to develop six of its own foundational AI models by the end of the year.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AI usage in various fields such as agriculture and climate change through state support. An Indian government official stated, "The foundational AI models developed in India will be able to compete with the top models in the world," adding, "There will be active government support to enhance AI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Experts point out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f DeepSeek R1 is sparking both expectations and concerns. An AI security expert commented, "The fact that DeepSeek R1 achieves GPT-4 level performance at a low cost is a technological leap, but it also requires a cautious approach in terms of data security and personal data protection." The expert further stated, "In South Korea, we must not only prepare countermeasures for the security threats posed by DeepSeek but also seek a balanced strategy that maximizes the potential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02 16:27:4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Trump-initiated tariff war begins… South Korean companies, initially spared, urgently preparing countermeasures.

U.S. President Donald Trump went ahead with his plan to impose tariffs on Mexico, Canada, and China on the 1st (local time). As a result, the South Korean economy has fall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ump tariffs." Many major companies and their partners, including Samsung Electronics, LG Electronics, Kia Motors, and POSCO, operate production plants in Mexico and Canada. The industry analyzes that if the tariff war sparked by Trump expands in all directions, the export-dependent South Korean economy could suffer a direct blow. According to foreign reports, including the AP, U.S. President Donald Trump signed three executive orders on the 1st, imposing a 25% tariff on all imports coming from Canada and Mexico and a 10% tariff on Chinese products. These measures are set to take effect on the 4th. However, the additional tariff on Canadian energy resources will be set at 10%, not 25, in consideration of potential price increases. In response to the tariffs, Canada and Mexico have firmly stated their intention to retaliate, but the executive orders also include provisions for further retaliation. The executive order regarding Canada specifies, "If Canada imposes tariffs on U.S. imports or takes similar measures in retaliation for these actions, the President may increase or expand the tariff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se measures." Most importantly, if these measures continue, South Korean companies with factories in Mexico are expected to suffer as well. Companies like Samsung Electronics, LG Electronics, Kia, and POSCO have expanded investments in Mexico, either by increasing production capacity or setting up new plants. South Korea's investment in Mexico surged dramatically, from $11 million in 2020 to $396 million in 2022. Samsung Electronics operates home appliance and TV factories in Querétaro and Tijuana, Mexico. LG Electronics has production bases in Reynosa (TVs), Monterrey (refrigerators), and Ramos (automotive electronics). Kia's Mexican plant produced a total of 253,000 vehicles from January to November last year, including 175,000 K3s, 64,000 K4s, and 14,000 Tucsons, with 128,000 K3 units sold to the U.S. Hyundai Mobis and Hyundai Transys also operate production plants, and other supply chain participants are also running operations. In Canada, a joint factory between LG Energy Solution and Stellantis produces battery modules, while POSCO Future M is constructing a joint battery cathode materials plant with General Motors (GM) in the country. Additionally, with President Trump maintaining a hardline stance by imposing blanket tariffs on even trade allies, there are concerns that South Korea's export front will face significant challenges. South Korea ranks eighth among the countries with the largest trade surpluses with the U.S., and if tariffs are imposed, it could pose serious risks to the export-dependent South Korean economy. On the 31st of last month, President Trump indicated plans to impose tariffs on imports of semiconductor, pharmaceuticals, steel, aluminum, copper, oil, and gas. This means that semiconductors, South Korea's largest export product, c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tariff war. Last year, South Korea's annual trade surplus with the U.S. reached a record high of $55.69 billion. An industry insider stated, "Trump will begin implementing extensive and aggressive tariff pressure starting in the second quarter." He added, "While companies operating in Mexico and Canada will face issues, domestic companies that supply intermediate goods to China will also be affected. Therefore, the entire domestic industry will need to work with the government to prepare more refined countermeasure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02 16:22:1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딥시크·챗GPT 차이는? … '오픈소스'

딥시크(DeepSeek)와 챗GPT(ChatGPT)의 차이는 무엇일까. 무엇보다 두 인공지능(AI) 기술은 오픈소스냐, 폐쇄형이냐라는 차이가 있다. 챗GPT가 자사의 소스코드를 완전히 폐쇄해 자사 개발자들 외에는 전혀 확인할 수 없도록 한 것과 달리, 딥시크는 소스 코드를 전면 공개하고 있는 것. 2일 AI업계에 따르면, 딥시크는 등장 이후 오픈소스라는 점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딥시크가 오픈소스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로 '투명성'을 꼽는다. AI 모델 성능의 핵심인 소스 코드를 공개하면, 외부 전문가들이 모델의 동작 과정을 직접 검증할 수 있다. 이러한 교차검증은 윤리적 편향성이나 프라이버시 문제와 같은 이슈를 사전에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게해, AI를 개발하는 개발진이 가질 수 있는 편향성 등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오픈소스는 무료로 배포돼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이 비용 부담 없이 첨단 기술을 접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사용자들은 필요에 따라 소스를 수정·확장할 수 있고, 제조·의료·금융 등 각 분야 특성에 맞는 맞춤형 모델을 개발할 수도 있다. 교육 현장에서도 딥시크의 소스가 학습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정도다. 업계 관계자는 "현존하는 AI 중 가장 저렴한 비용을 사용해 개발된 것으로 알려진 만큼 딥시크의 오픈소스 코드는 많은 연구자와 개발자들에게 큰 영감을 주리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2-02 16:20:54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139명' 中 토종인재들이 만든 딥시크…韓 인재정책 수정해야

유학 경험이 없는 젊은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인공지능(AI)기업 딥시크(DeepSeek)의 등장 이후, 국내 AI 인재 육성책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AI 분야의 우수 인재가 해외로 빠져나가거나 의학대학으로 향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함에도, 정부 정책이 이를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일 홍콩 SCMP는 AI 추론 모델 '딥시크 R1' 관련 논문에 200여 명의 젊은 중국 과학 인재들이 공동저자로 참여했다고 보도했다. 총 139명의 인력으로 알려진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는 대학을 갓 졸업한 20대 초반부터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AI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특히 눈길을 끄는 부분은 이들 대부분이 칭화대, 베이징대 등 중국 내 대학 출신이라는 점이며, 대학원 역시 마찬가지다. 딥시크는 설립 5개월 차인 2023년 11월 첫 모델인 '딥시크 코더' 를 개발했고, 이어 지난해 '딥시크-V2' 와 '딥시크-V3' 모델을 선보였다. '딥시크 쇼크' 이후 국내 정치권은 다양한 주장과 비판을 쏟아냈다.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AI 관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요청했으며,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20조원 규모의 AI 및 민생 추경을 긴급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SNS에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세계 AI 시장의 지각변동을 일으켰다"며 "연구 인력 139명뿐인 작은 기업이 적은 비용으로 이뤄낸 혁신"이라고 평가하고, 동시에 AI 인재 1만 명 육성 계획을 밝혔다. 이처럼 정치권에서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있으나, 정작 AI 업계는 시큰둥한 분위기다. 한 AI 기업 관계자는 "오 시장의 발언이 인상적이었다. '139명뿐인 작은 기업이 적은 비용으로 이뤄낸 혁신'이라고 했는데, 과연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다"면서 "딥시크가 적은 비용에 개발되었다고는 하지만, 연구에 참여한 개개인 인재는 사실 국가 차원의 천문학적 투자를 통해 배출된 천재들"이라고 꼬집었다. 중국이 본격적으로 AI 인재를 육성하기 시작한 것은 2017년 국무원이 발표한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 계획' 이후다. 2030년까지 세계적인 AI 강국이 되겠다는 목표 아래 ▲AI 핵심 인재 1만 명 육성 ▲AI 관련 학과·연구소 확충 ▲산학 협력 강화 등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했다. 이어 중국 교육부는 2018년 'AI 인재 양성계획'을 발표했으며, 칭화대·베이징대 등 주요 대학들은 AI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신설해 글로벌 AI 인재를 유치하기 시작했다. 더 나아가 2020년에는 'AI+X'라는 융합 교육 모델을 도입해 다양한 학과에서 AI를 접목하도록 했고, 2021년 이후 '14차 5개년 계획(2021~2025)'에선 AI 인재 육성을 과학기술 혁신의 핵심으로 설정했다. 2023년부터는 'AI 2.0' 전략도 추가했다. 중국 정부의 투자 규모도 막대하다. 국가 차원의 투자만 추려도 이미 200조원에 달한다. 중국 정부는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2017) 에서 1500억 위안(약 28조원)을 예산으로 편성했고, '14차 5개년 계획'(2021~2025) 에선 1조 위안(약 185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며 대부분을 인재 육성에 할애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투자와 지원의 성과로, 중국은 현재 AI 논문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발표하는 국가로 떠올랐다. 스탠퍼드 AI 인덱스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이 발표한 AI 관련 논문은 24만편에 달한다. 이는 15만편 수준인 2위 미국과 큰 격차를 보인다. 반면, 한국은 전 세계 AI 논문에서 2~3% 내외의 점유율로, 논문 수 순위가 7~9위 정도에 그치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AI 인재 육성책이 산학 협력과 긴밀히 연결되지 못하고, '인재 양성 규모' 에만 초점을 맞추는 탓에 기초 역량과 이론 교육이 부실해지는 문제를 거론한다. 그러나 더 심각한 문제는 연구 자율성과 연구비용 구조라는 지적이다. 연구 과정에서 실패는 필연적이므로 장기적 투자와 지원이 필요한데, 성과 중심의 연구비 지원이 혁신적인 연구를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처럼 복합적인 문제들이 겹치면서 국내 AI 분야에서 성과를 내는 기업은 극히 제한적이고, 자연스레 이공계 인재들이 안정적인 진로를 찾아 의학대학 등으로 빠져나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2-02 16:17:52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 논란 새 이슈…미·유럽 '차단'vs인도 '환영'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충격파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보안 문제가 새로운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국가가 있는가 하면, 기존 선진국 위주로 형성된 인공지능(AI) 기술의 독점 체제를 깰 수 있다는 기대감에 딥시크의 적극적인 수용을 권장하는 국가들도 나오고 있는 것. 2일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전 세계 주요 기업과 정부 기관들이 딥시크가 개발한 AI 추론 모델 '딥시크 R1'의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딥시크 R1은 6710억개의 매개변수를 학습한 대규모 언어모델(LLM)로, 저비용으로 GPT-4 수준의 성능을 구현해 큰 파장이 일으키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용으로 성능을 낮춰 출시한 H800 칩을 활용해 챗GPT-4에 근접한 성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정부 기관과 의회는 딥시크 사용을 전면 금지하며 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다. 미 의회는 전화나 컴퓨터 등 의회 내 공용 장치에 딥시크 사용을 제한하고, 직원들에게도 딥시크를 설치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의회는 "위협 인자들이 악의적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고 장치를 감염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미 딥시크를 악용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미 해군과 국방부도 직원들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특히 국방부는 일부 직원들이 딥시크를 사용한 사실을 확인한 후 접속 차단 조치를 단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 차원에서도 딥시크 차단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네트워크 보안 업체 넷스코프에 따르면, 자사 고객사 중 52%가 이미 딥시크 접속을 완전히 차단했다. 사이버보안 기업 아르미스의 나디르 이즈라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자사의 고객사 약 70%가 딥시크 접속 차단을 요구했다"며 "수백개의 기업, 특히 정부와 연관된 기업들이 중국 정부로의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딥시크는 개인정보 보호 약관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 내 서버에 수집·저장하며, 이와 관련한 분쟁은 중국 정부 법률의 적용을 받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이 밝혀지면서 많은 기업과 정부 기관이 보안상의 이유로 딥시크의 AI 모델 R1과 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사용을 차단하고 있는 것이다. 유럽에서도 딥시크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이탈리아 데이터보호위원회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 방식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으며, 이후 이탈리아 내 구글과 애플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앱이 삭제됐다. 아일랜드 데이터보호위원회(DPC)도 딥시크에 아일랜드 사용자 관련 데이터 처리 정보를 제공하라는 서한을 보냈는데, 이 서한에는 유럽연합(EU) 개인정보 보호법(GDPR) 위반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프랑스 개인정보보호위원회(CNIL) 역시 딥시크의 AI 시스템 작동 방식과 데이터 보호 위험에 대한 자체 조사에 착수했다. 반면, 인도는 딥시크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미국과 유럽이 강경한 규제 태도를 보이는 것과 달리, 인도는 기술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아슈위니 바이슈노 인도 정보통신부 장관은 딥시크 기술을 높이 평가하며, 자국 내 서버에 딥시크 모델을 호스팅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 나아가 인도는 딥시크의 저가형 AI에 자극을 받아 연내 6개의 자체 파운데이션 AI 모델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 지원을 통해 농업, 기후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활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인도 정부 관계자는 "인도에서 개발된 파운데이션 AI 모델들이 세계 최상위 모델과 경쟁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딥시크 R1의 기술적 혁신이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 AI 보안 전문가는 "딥시크 R1이 저비용으로 GPT-4 수준의 성능을 구현한 점은 기술적 도약이라 할 수 있으나, 동시에 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라며 "국내에서도 딥시크 관련 보안 위협에 따른 대응책 마련은 물론 기술 발전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전했다.

2025-02-02 16:14:19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개혁신당 이준석, 사실상 대선 출마 시사 "세대교체"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2일 홍대거리에서 "변화는 과감한 세대교체와 함께 일어난다"며 사실상 대통령선거 출마를 시사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을 인용해 파면될 경우, 이후 두 달 뒤에 21대 대선이 치러지게 된다. 이준석 의원은 2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앞 버스킹 거리에서 정치 현안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존 F. 케네디는 43세에 미국의 지도자가 되어 사람을 달에 보냈다. 마찬가지로 43세의 토니 블레어는 영국에 '제3의 길'을 제시했다"며 "46세의 빌 클린턴은 전쟁에서 승리한 현직 대통령을 꺾고 IT를 중심으로 미국의 중흥기를 이끌었고, 46세의 버락 오바마는 흑인 최초로 미국의 대통령이 됐다"며 40대 기수론을 펼쳤다. 이 대표는 지난달 31일부로 대선 출마 가능 나이인 만 40세가 됐다. 이 의원은 연설 내내 '세대 교체'를 강조했다. 그는 "저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가장 먼저 앞장서는 '퍼스트 펭귄(first penguin)'이 되고자 한다"면서 "차가운 바닷속에는 범고래와 같은 포식자가 도사리고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젊은 세대가 반드시 건너야 할 바다라면, 저는 주저 없이 먼저 그 바다에 뛰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퍼스트 펭귄은 '선구자'를 나타내는 관용적인 표현으로 남극 펭귄들이 사냥하기 위해 바다로 뛰어드는 것을 두려워하지만 펭귄 한 마리가 먼저 용기를 내 뛰어들면 무리가 따라서 바다로 들어간다는 데에서 유래됐다. 이 의원은 대한민국이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연공서열 혁파, 네거티브 규제로 산업 발전 촉진, 교육에 대한 대대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교육의 중요성을 짚으면서 "고기를 잡아주기보다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 주라는 격언처럼, 대한민국이 몰두해야 할 것은 자라나는 아이들 한 명 한 명이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교육 기회의 불평등이 미래의 불평등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어내야 한다"면서 "출신 배경과 부모의 경제력에 상관없이 누구나 공정한 출발선에서 시작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 의원은 "공부 열심히 하고 입바른 소리하면서 살면,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나도 당대표가 될 수 있고, 막강한 권력과 맞서서도 국민들의 선택을 받아 국회의원이 될 수 있고, 큰 덩어리에 속하지 않고 새로움에 기대어 승부하면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생각, 이 생각이 살아있으면 대한민국은 항상 역동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의원은 "대한민국의 평균 연령은 1980년생이다. 선진국에서 태어나 자란 우리 세대가 이제 대한민국을 선진국에 걸맞게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하자"라며 "그것은 정치를 바꾸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고 했다. 또한 "극단적 세력간의 대립은 이 체제가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2025년, 대한민국의 한 정치체계의 종말을 다시 확인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불판을 까는 한해가 되기를 기원한다. 정치인에 대한 방탄과 부정선거, 사법 불복을 노래하는 '정치질'과 결별하고, 미래를 설계하고 국민의 삶을 노래하는 '정치'를 선보이겠다"고 강조했다.

2025-02-02 16:04:46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尹·與, 계속되는 '헌재 흔들기'… '9인 체제' 완성 대비 포석?

윤석열 대통령 측과 국민의힘이 일부 헌법재판관의 '정치적 편향성'을 문제 삼고 있다. 오는 3일 헌법재판소 '9인 체제' 완성과 관련된 선고가 있는 가운데, 윤 대통령 측과 여권은 이에 대비해 '헌재 흔들기'를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법재판소 재판관 임명권 불행사 위헌확인' 사건과 우원식 국회의장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상대로 낸 '국회와 대통령 간의 권한쟁의심판' 선고기일이 헌재에서 열린다. 두 사건 모두 최 권한대행이 국회에서 선출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이 위헌인지 아닌지 여부를 가리는 것이다. 국회는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정계선·마은혁·조한창 후보자를 선출했지만, 최 권한대행은 임명을 미루다가 지난해 12월31일 정계선·조한창 재판관만 임명하고 마 후보자의 임명은 여야 합의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류한 바 있다. 만일 헌재가 위헌임을 인정할 경우 최 권한대행은 마 후보자를 임명해야 한다. 현재 헌재 재판관의 성향은 진보 3명(문형배 헌재 소장 권한대행, 이미선·정계선 재판관), 중도보수 3명(김형두·정정미·김복형 재판관), 보수 2명(정형식·조한창 재판관)으로 나뉜다. 이런 가운데 진보 성향인 마은혁 후보자가 합류하면 재판관 구성은 진보 4명, 중도·범보수 성향 5명이 된다. 8인 체제 하에서도 탄핵 심판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3명이 반대할 경우 정족수 6인에 미치지 못하기에 기각된다. 반면 9인 체제 아래서는 3인이 반대하더라도 6명이 찬성하면 윤 대통령 탄핵안은 인용된다. 이 때문에 여권은 헌재 '9인 체제'가 완성될 경우 윤 대통령 탄핵안이 인용된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리고 이같은 판단은 '헌재 흔들기'의 동기로 작용한 모양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헌재가 위헌적인 권한쟁의심판을 인용하더라도, 최상목 권한대행은 마 후보자 임명을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일제히 마은혁 후보자뿐 아니라 문형배·정계선·이미선 재판관의 정치 성향도 문제 삼고 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달 31일 "헌법재판관 8명 가운데 3명이 '우리법연구회' 출신으로 밝혀지면서, 헌법재판소가 아니라 '우리법재판소'라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고 했고,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조배숙 의원은 KBS라디오에서 "이미선 재판관은 국제인권법연구회 출신이고, 그 동생이 민변 산하의 윤석열 퇴진 특별위원회 부위원장이다. 정계선 재판관도 우리법연구회 출신"이라고 말했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도 마 후보자가 스스로 후보직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더해 윤석열 대통령 측은 지난달 31일 "재판부의 권위와 재판이 공정하다는 신뢰를 내부에서 문제가 없다고 강변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인정해야 하는 것"이라며 헌재에 문형배·정계선·이미선 재판관에 대한 회피 촉구 의견서를 제출했다. 만일 3인이 회피하고, 마은혁 후보자가 임명되지 않는다면 헌재는 5인의 재판관만으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을 심리해야 한다. 탄핵 결정을 하려면 재판관 6명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하므로, 마 후보자 불임명·재판관 회피가 이뤄지면 탄핵심판 결정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하지만 법조계 안팎에서는 재판관 회피의 실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헌재가 앞서 비슷한 사유로 제기된 정계선 재판관에 대한 기피 신청을 기각한데다, 최근에도 윤 대통령 측과 여당에서 주장하는 재판관의 정치 편향성 문제에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있어서다. 이에 야권에서는 윤 대통령 측과 여권이 탄핵 심판이 불리한 방향으로 흐를 것을 예상하고 '헌재 흔들기'를 통해 심판 결과의 정당성을 의심하도록 여론전을 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검사 출신이자 국회 탄핵 소추위원인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은 한 방송에서 "제가 4년 전 (윤석열 검찰총장을) 감찰할 때도 (윤 총장 측은) 징계의원들을 호남 출신이니 하며 끝없이 흔들었다"며 현재 윤 대통령 측과 국민의힘이 '헌재 흔들기'가 도를 넘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헌재 흔들기는) 나중에 (탄핵심판에 대한) 불복의 씨앗을 지금 심어두는 것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2-02 16:00:43 서예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