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이노그리드, 클라우드 기반 ‘완도 해양 치유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수주

이노그리드가 '완도 해양 치유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6일 밝혔다. 완도군이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해양 치유 산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해양 치유 산업과 관련한 빅데이터 수집 기반을 마련하고 대국민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및 해양 치유 자원 연구 정보를 활용한 신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완도군은 서비스, AI 빅데이터, 인프라 각각의 플랫폼이 클라우드 기반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완도형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노그리드는 서비스와 데이터가 완도 해양 치유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원활하고 유연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인프라 환경을 구축하고 클라우드 인프라의 운영, 장애 지원 등 상시 유지관리 지원체계를 제공할 계획이다. 김명진 이노그리드 대표이사는 "완도 해양치유센터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서비스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담는 그릇인 클라우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동안 쌓아온 클라우드 구축 노하우를 기반으로 완도에 적합한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여 완도 해양치유센터가 국내 해양치유산업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1-06 09:24:38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폭설로 수도권·강원 등 교통 마비…항공기 18편 결항·국립공원 통제

새해 첫 폭설로 서울과 경기, 강원 등 전국 곳곳에 교통이 마비되고 하늘길과 뱃길마저 끊겼다. 북한산 등 일부 국립공원의 출입도 통제됐다. 5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많은 눈으로 인한 기상 악화로 사전 결항한 15편 포함, 항공기 18편의 운행이 취소됐다. 무안 9편, 제주 3편, 김해 2편, 청주 2편, 김포 1편, 원주 1편 등이다. 또, 백령~인천, 군산~어청 등 5개 항로 선박 5척의 발이 묶였다. 북한산과 설악산, 오대산, 치악산국립공원 등 4개 공원에서는 131개소의 출입이 막혔다. 일부 북한산로 구간 도로도 통제됐다. 현재까지 인명 및 시설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행안부는 수도권·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예보됨에 따라 오전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를 가동하고 대설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했다. 서울시의 경우 비상근무 1단계를 유지한채 제설작업에 인력이 총 동원됐다. 1단계 비상근무 발령에 따라 시, 자치구, 시설공단 등 33개 기관은 인력 5245명과 장비 1493대를 제설작업에 투입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대로뿐 아니라 언덕길 등 취약 결빙 구간도 꼼꼼히 챙겨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며 "독거노인과 노숙인 등 취약계층의 안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경기도는 지난 밤 10시부터 대설대비 선제적 대응을 위한 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1단계를 가동했다. 이날 오전 대설주의보가 발효됐을 때는 제설작업에 인력 1723명과 장비 1124대가 투입됐다. 현재 서울시와 경기도 모두 전 지역에 제설제를 살포하고 보도 이면도로 제설 작업을 진행 중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눈은 6일까지 이어져 경기·강원 3~10㎝, 서울 3~8㎝, 인천 1~5㎝ 등의 적설이 예상된다. 특히 7일부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내린 눈으로 도로가 결빙돼 교통과 보행에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이번 대설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중대본을 중심으로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지자체는 적설취약시설을 지속 예찰하면서 대설 상황에 따라 선제적 주민 대피 및 위험지역 통제 등 안전조치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국민께서는 기상 상황을 확인해 적설로 인한 붕괴·전도 등 위험 우려가 있는 지역에 접근을 자제하는 등 안전에 유의하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2025-01-05 16:08:09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SK Energy Exports Sustainable Aviation Fuel to Europe... "A First Among Korean Refiners"

SK Energy became the first South Korean oil refinery to export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to Europe. SK Energy announced on the 5th that it has exported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to Europe, produced using a co-processing method. This approach involves processing bio-based materials such as used cooking oil and animal fats. As of January this year, European countries have implemented regulations requiring that at least 2% of aviation fuel must be blended with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Currently, Europe is the only global market where the use of SAF is mandatory. SK Energy, which has established a leading large-scale production system for SAF, successfully commenced exports immediately after the European Union (EU) implemented its SAF usage mandate. Previously, in September 2024, SK Energy established a production line using the co-processing method and began commercial production of SAF. Co-processing involves integrating a separate bio-feedstock supply pipeline into existing petroleum product production processes, enabling the simultaneous production of SAF, bio-naphtha, and other low-carbon products. In particular, SK Energy has secured a competitive edge in exports by establishing a large-scale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producing approximately 100,000 tons annually of SAF and other low-carbon products. An SK Energy representative stated, "Leveraging the R&D capabilities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and the engineering expertise of SK Innovation's Ulsan Complex (Ulsan CLX), we established a large-scale production system and activated commercial production lines, which proved instrumental in achieving successful exports." Previously, SK On Trading International, a subsidiary of SK Innovation, invested in a waste-resource-based feedstock company. With SK Energy successfully producing and exporting SAF, the company has completed a global value chain encompassing raw material procurement, production, and sales. Building on this foundation, SK Energy plans to expand its presence in the global SAF market while also supplying SAF domestically during the first half of this year. Lee Chun-gil, head of SK Energy's Ulsan CLX, stated, "We plan to closely monitor market conditions, including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AF policies and demand fluctuations, while actively pursuing the expansion of SAF production and export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5 15:35:3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Hyundai Glovis: Target Prices Raised by Securities Firms Following News of Major Contract Signing

Securities firms have positively assessed Hyundai Glovis' stock, raising its target price, as the company is expected to see improved performance following the renewal of maritime transportation contracts with Hyundai Motor and Kia. According to the Korea Exchange on January 5, Hyundai Glovis closed at 134,500 KRW on January 3, up 0.52% from the previous trading day. Over the past three trading days, the stock has surged approximately 15%, continuing its upward trend. This sharp rise is attributed to improved investor sentiment following the announcement on December 31 of a five-year long-term maritime transportation contract with Hyundai Motor and Kia, valued at approximately 6.7 trillion KRW. The new contract extends the previous three-year agreement to five years and significantly increases the contract value. Yang Ji-hwan, a researcher at Daishin Securities, commented, "This renewal of the long-term transportation contract is considered an exceptional outcome that exceeds market expectations." He explained, "The annualized contract value amounts to approximately 1.34 trillion KRW, which represents a 105% increase compared to the 6,550 billion KRW annual average of the previous three-year, 1.9 trillion KRW contract signed in 2021." As expectations for Hyundai Glovis' profitability improvement grow, securities firms have consecutively raised their target prices for the company. Daishin Securities increased its target price from 160,000 KRW to 170,000 KRW. Researcher Yang noted, "The proportion of Hyundai Motor and Kia's shipping volume has decreased from 60% to 50%, reducing the company's reliance on affiliates. Additionally, the five-year long-term transportation contract, reflecting the peak boom in pure car carrier (PCC) freight rates, has further strengthened performance stability." Hana Securities also raised its target price for Hyundai Glovis from 150,000 KRW to 164,000 KRW. Researcher Song Seon-jae from Hana Securities stated, "Hyundai Glovis is improving profitability by acquiring new customers, such as Chinese automakers, which has led to an increase in non-affiliate sales. Non-affiliate volumes are estimated to have grown by over 30% last year and continue to rise." He added, "Considering these factors, Hyundai Glovis' revenue from finished car maritime transportation is expected to grow by 11% this year." Alongside performance improvement, enhanced shareholder returns are also anticipated. Researcher Song emphasized, "While the growth potential of core business units is strengthening, Hyundai Glovis is also expected to expand shareholder returns, including a dividend payout ratio of at least 25% and a minimum 5% increase in dividends per share (DPS). Additionally, the company has set ambitious business goals of achieving over 40 trillion KRW in revenue and a return on equity (ROE) of more than 15% by 2030, which will further enhance shareholder valu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5 15:35:30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