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3대 IT 전시회 'IFA' 5일 개막…삼성·LG전자 등 핵심 키워드는 'AI'
유럽 최대 가전 박람회인 'IFA 2025'가 5일(현지시각) 막을 올린다.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는 올해 IFA는 인공지능(AI)을 핵심 축으로 인류가 꿈꿔온 미래의 일상을 현실화하는 스마트홈, 로보틱스, 모빌리티, 디지털헬스, 친환경·고효율 등의 기술이 급부상 할 전망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5일(현지시간)부터 9일까지 나흘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 2025는 '미래를 상상하다'(Imagine the future)를 주제로한다. 한국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중심으로 쿠쿠전자, 바디프랜드 등 115개 업체가 참가한다. 중국은 TCL·하이센스·하이얼 등 '빅3' 가전업체부터 에코백스·드리미·로보락 등 단일 국가 중 최대 규모인 700개사가 참가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해 전시회를 통해 AI홈 생태계를 전면에 내세웠다. 삼성전자는 'AI홈, 미래 일상을 현실로'를 주제로, LG전자는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를 주제로 AI가전이 사물인터넷(IoT)으로 연결된 미래 스마트홈의 청사진을 제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업계 최대 규모인 6235㎡(약 1886평)의 공간을 마련하고 삼성 AI 홈을 통한 사용자와 가족을 이해하고 알아서 맞춰주는 초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한다. 삼성 AI 홈은 일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가족의 건강과 안전까지 돌본다. 방문객들은 삼성 전시관에 펼쳐진 AI 홈을 통해 현실로 다가온 꿈꾸던 미래 일상을 지금 바로 경험할 수 있다. LG전자는 약 3745㎡ 규모의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고객이 실생활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LG AI홈' 솔루션과 유럽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AI 가전 신제품 25종을 선보인다. 생성형 AI가 사용자와 대화를 나누면서 복합 명령이나 추상적 지시를 수행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친환경'과 '고효율'도 올해 전시회의 키워드다. 올해 IFA에서는 글로벌 가전 업체들이 유럽의 강화된 '에코디자인' 지침을 어느 눈높이까지 맞추느냐가 주요 화두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8월 발효된 이 지침은 제품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내구성, 재활용 및 수리 가능성,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요건으로 한다. 삼성전자는 유럽 에너지 효율 세탁기 최고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A등급)보다도 에너지 사용량을 65%나 추가로 절감할 수 있는 세탁기를 선보인다. LG전자는 에너지 등급 A의 LG 히트펌프 세탁건조기를 비롯한 '유럽 맞춤형' 신제품 25종을 공개한다. 중국 기업들의 기술 성장 속도도 주목해야 한다. 하이센스는 삼성전자가 공개하는 세계 최초의 마이크로 RGB TV에 맞선 'RGB 미니 LED TV'를 선보인다. TCL은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등 AI 기반 가전제품과 최신 초대형 퀀텀닷(QD)-미니 LED TV, 증강현실(AR) 안경 등을 전시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로보락·에코백스·드리미 등 중국 로봇청소기 업체들도 신제품을 대거 공개할 전망이다. 유럽 현지 업체에서도 혁신 기술을 선보인다. 독일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 밀레는 무선 진공청소기, 냉장·냉동고, 인덕션, 후드 등 혁신적인 신제품을 통해 미래형 스마트 홈의 청사진을 제시한다.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은 "'IFA 2025'는 유럽 생활가전 시장이 고효율 가전과 AI홈 솔루션으로 재편되는 기점이 될 것"이라며 "고객의 삶과 유기적인 조화를 이루는 'LG AI홈' 솔루션과 유럽 고객들에게 꼭 맞는 제품들로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제시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