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에이스하드웨어, 美 가죽 툴벨트 브랜드 '옥시덴탈레더' 선봬

유진그룹 계열 유진홈센터가 운영하는 집수리 전문 브랜드 에이스하드웨어가 미국 프리미엄 가죽 툴벨트 브랜드 '옥시덴탈레더 (Occidental Leather)'를 공식 론칭했다. 28일 유진홈센터에 따르면 에이스하드웨어 강남점과 용산점에서 옥시덴탈레더 주요 라인업을 선보이며, 아시아 전역에서 옥시덴탈레더, 아틀라스46, 다이아몬드백 등 프리미엄 툴벨트 3대 브랜드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옥시덴탈레더는 45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전문 브랜드로, 미국 현장 PRO들이 수십 년간 신뢰해온 가죽 툴벨트다. 프리미엄 탑그레인 가죽, 구리 리벳, 자체 개발한 No-Spill™ 시스템을 통해 내구성, 착용감, 수납력에서 독보적인 차별화를 보여준다. '오래될수록 더 빛나는 장비'라는 철학 아래 제작되는 제품은 시간이 지날수록 사용자와 함께 현장에서 가치를 증명한다는 점에서 많은 PRO들의 선택을 받아왔다. 이번 론칭을 통해 국내에 소개되는 대표 제품은 무게 분산과 착용감을 극대화한 '5055 스트롱 홀드 서스펜션 시스템', 두꺼운 가죽과 강철 롤러 버클로 안정성을 강화한 '5035 Ranger 벨트', 7개의 파우치와 23개의 포켓으로 최강 수납력을 자랑하는 '5089 세븐백 프레이머 세트', 37개의 포켓과 툴 홀더로 전기공 작업에 최적화된 '5590 전기 PRO 세트', 양모 시어스킨 패드를 적용해 착용감을 극대화한 '5005 벨트 라이너' 등이다. 론칭을 기념해 매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특별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전 제품 구매 고객에게는 10% 적립 혜택을 제공하며, 50만원 이상 구매 고객에게는 옥시덴탈레더 티셔츠를 증정한다. 한편, 에이스하드웨어는 오는 9월 아틀라스46과 다이아몬드백 신상품을 추가 입고해 프리미엄 툴벨트 3대 브랜드 풀 라인업을 완성할 예정이다. 또한 자체 브랜드 SEE PRO 송풍기, 무선 고압세척기 등 PRO 특화 아이템도 순차적으로 선보이며, 전문 작업자 시장을 더욱 공략할 계획이다.

2025-08-29 07:23:25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기술보증기금, 무역보험공사와 감사 전문성 강화 도모

기술보증기금이 한국무역보험공사와 감사 전문성 강화를 도모한다. 기보는 지난 28일 서울 종로 무보 본사에서 '감사 전문성 강화 및 내부통제 선진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감사업무 전반에 걸친 지식과 경험을 교류함으로써 시너지를 창출하고, 감사 및 내부통제 체계 전반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했다. 두 기관은 협약에 따라 ▲금융지원 업무 대상 감사기법 교류 ▲내부통제 시스템 운영 우수사례 공유 ▲전문분야별 교차감사 및 감사인력 상호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방침이다. 기보는 이번 협약을 통해 무보와 긴밀한 감사 네트워크를 구축해 기관별 전문성과 다양한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기존 감사체계를 보완하고 감사역량 및 내부통제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계획이다. 기보 임명배 감사는 "협약은 금융 공공기관 간 감사자원과 전문성을 교류함으로써 시너지를 창출하고 상호 발전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기보는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해 선진 감사시스템을 구축하고, 투명하고 건전한 내부통제 문화 정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08-29 07:16:22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국내 최대 가구전시회 '코펀' 개막…15개국 350여社 참여

국내 유일의 국제 가구 전시회인 '제36회 2025 한국국제가구 및 인테리어산업대전(KOFURN·코펀)'이 28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화려하게 막을 올렸다. 29일 대한가구산업협동조합연합회에 따르면 오는 31일까지 열리는 코펀에는 15개국에서 350여개 기업이 1350부스를 선보인다. 전날 열린 개회사에는 심승일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 정일영 국회의원, 이미라 산림청 차장, 아리 안디까 와르다나 인도네시아 부대사, 종 후이선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간저우시 난캉구 위원회 서기, 방세환 광주시장, 김헌중 목재산업단체총연합회 회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올해도 산림청이 주최하는 '2025년 대한민국 목재산업 박람회'와 동시에 열린다. 코펀은 가구 전문 전시회로 리빙 가구 및 사무용 가구, 인테리어 소품은 물론 목공예 체험부터 스마트 가구까지 가구 전 품목을 만나볼 수 있으며, 원부자재 및 목공기계 등 가구 산업 전반에 걸친 품목이 대거 참가하는 대표적인 가구 전시회이다. 대표 참가사로는 에몬스, 템퍼, 디쟈트, 아모스아인스, 장수돌침대 등으로 방문객의 기대를 높이고 있다. 전체 참가사의 70% 이상이 제조기업으로, 직거래를 통한 합리적인 가격과 신규 거래처 발굴의 기회 또한 풍부하다. 해외 바이어 초청 상담회와 국내 바이어 소싱 상담회 등 실질적인 거래를 위한 부대행사도 진행되며 중동,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등 전 세계 바이어와 수입업자, 대형 MD, 정부 기관 관계자들이 대거 방문해 활발한 상담과 교류가 이뤄진다. 일반 참관객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도 박람회의 즐거움을 더한다. 구매 고객 대상 경품 이벤트로 기아자동차 레이를 증정하며 사전등록자를 대상으로 행거, 식탁세트, 사무용 의자 등 푸짐한 선물이 마련돼 있다. 이순종 대한가구연합회장은 "코펀은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산업과 생활을 잇는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이번 전시를 계기로 더 많은 기업과 소비자가 연결되고, 한국 가구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2025-08-29 07:11:19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10대 초격차 투자등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6301억 조성

10대 초격차 분야 창업기업 등에 투자하는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가 6401억원 규모로 결성, 마중물을 붓는다. 29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해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에는 27개 민간 출자자가 2488억원, 모태펀드가 1716억원을 각각 출자했다.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는 딥테크 스타트업을 위해 정부와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금융권과 정부가 함께 조성한다. 민간 출자자로는 코스맥스, 성균관대학교기술지주회사, 포스코홀딩스, 현대해상 등이 참여했다. 특히 올해는 도쿄세경지원센터를 비롯한 재일 동포기업 및 한일협력기업 연합 등 해외기업이 최초로 참여했다. 일본 CRO(신약 임상시험 대행 수탁기관)인 CMIC도 국내 벤처·스타트업과 협력할 예정이다. 분야는 총 3가지로 ▲초격차·글로벌(2625억원) ▲오픈이노베이션(2170억원) ▲세컨더리(1606억원)로 나뉜다. 이번에 신설한 오픈이노베이션 분야(뷰티·바이오·반도체·기후테크 등)는 9개 벤처펀드가 조성됐는데 한국콜마와 코스맥스가 각각 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만들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도 15개 회원사와 제약바이오 산업을 이끌 유망 기업 투자에 나선다. 이외에도 NH농협금융그룹, 포스코홀딩스, LX세미콘, 현대해상, GS건설 등이 이번 펀드 출자를 계기로 사업 전반에서 딥테크 벤처·스타트업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국내 벤처투자 생태계가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기업·금융권 등 다양한 민간자금의 벤처투자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이번 펀드와 모태 펀드가 플랫폼으로서 보다 많은 기관에 벤처투자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이 과감한 출자에 나설 수 있도록 관련 제도 개선도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8-29 07:04:46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9981' 중소기업, '9980'으로…中企 830만개 육박

'9981'로 대표되는 중소기업체와 종사자 비율이 2023년에 '9980'으로 바뀌었다. 국내 중소기업수는 830만개에 육박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체 숫자와 종사자수는 늘었지만, 매출액은 오히려 하락했다. 2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3년 기준 중소기업 기본통계'에 따르면 해당 연도 기준 국내 중소기업 수는 829만 8915개로 전년대비 25만 6189개(3.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기업의 99.9%가 중소기업다. 2020년 728만 6000개였던 중소기업 수는 2021년 771만 4000개, 2022년 804만 3000개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중소기업이 아닌 대기업, 중견기업은 1만781개로 전체의 0.1% 해당한다. 종사자 수는 1911만 7649명으로 전년 대비 16만 1355명(0.9%↑) 증가했다. 비율은 80.4%다. 2022년 1779만명, 2021년 1849만명, 2022년 1896만명으로 확대 추세다. 매출액은 3301조 2545억원으로 7조 7746억원(0.2%↓) 감소했다. 반면 전체 기업 대비 매출 비율은 44.9%로 전년(44.2%)보다 0.7% 포인트(p) 인상됐다. 업종별 중소기업 수는 도·소매업(10만1485개·4.8%↑), 전기·가스·증기업(2만4454개·17.0%↑), 정보통신업(2만3639개·12.2%↑), 전문·과학·기술업(2만2964개·7.4%↑)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제조업(-1만6670개·2.6%↓), 광업(-79개·3.2%↓)은 감소했다. 제조업은 기업수, 종사자수(-0.5%), 매출액(-1.9%) 모두 지표가 악화됐다. 업종별 종사자 수는 도·소매업(8만6848명, 2.3%↑), 숙박·음식점업(4만5309명, 2.5%↑) 등 11개 업종에서 늘었고 운수·창고업(-5만2911명, 4.6%↓), 제조업(-1만6822명, 0.5%↓) 등 7개 업종은 감소했다. 업종별 매출액은 숙박·음식점업(14조4000억원·8.7%↑), 금융·보험업(6조2000억원·17.9%↑) 등 11개 업종에서 증가했고, 제조업(-16조원·1.9%↓), 도·소매업(-15조원·1.3%↓) 등 7개 업종은 줄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소재 기업 수는 436만 2179개로 15만 5400개(3.7%↑) 늘었다. 비수도권은 393만 6736개로 10만 789개(2.6%↑) 증가했다. 개인기업은 전년대비 21만 9046개(3.1%↑) 증가한 724만 3536개로 전체 중소기업의 87.3%를 차지했다. 개인기업의 수와 종사자(56.9%)는 법인기업에 비해 많았으나 매출액(34.4%)은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법인기업은 전년대비 3만 7143개(3.6%↑) 증가한 105만 5379개로 집계됐다. 1인 기업은 644만269개로 29만 672개(4.7%↑) 늘었다. 종사자 2인 이상 기업은 185만 8646개로 3만4483개(-1.8%↓) 감소해 대조를 이뤘다. 대표자 연령대는 60대 이상이 252만 1000개(30.4%)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다른 연령대에 비해 증가세 역시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50대(27.8%), 40대(22.9%)가 뒤를 이었다.

2025-08-29 06:56:12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국민연금, 상반기 수익률 4.08%…국내 주식 31% ‘효자’

국민연금이 국내 증시 강세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4%대 수익률을 거뒀다. 해외 자산은 부진했으나 국내 주식이 크게 오르면서 전체 수익을 끌어올렸다. 28일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국민연금 기금 적립금은 1269조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56조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50조원이 상반기 운용 수익에서 발생했다. 1988년 국민연금 제도 도입 이후 누적 운용 수익금은 총 787조5000억원에 달한다. 상반기 기금 운용 수익률은 4.08%(금액가중수익률·잠정)로 집계됐다. 자산별로는 국내 주식이 31.34%로 가장 높은 성과를 냈다. 새 정부 정책 기대감과 저평가 매력이 맞물리면서 코스피가 상반기 28.01% 상승한 영향이 컸다. 국내 채권도 2.34% 수익률을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공개된 자산별 잠정 수익률은 국내주식 31.34%, 해외주식 1.03%, 국내채권 2.34%, 해외채권 -5.13%, 대체투자 -2.86% 등이다. 해외 주식은 미국 관세정책 불확실성과 경기 둔화 우려로 연초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후 점차 개선되며 상반기 1.03% 수익률을 기록하게 됐다. 국민연금은 지난해에도 기금 적립금 1213조원, 연간 수익금 160조원, 15.00%(잠정) 운용 수익률을 기록하며 역대급 성과를 낸 바 있다. 지난해에는 해외 주식과 채권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으나 국내 주식은 부진했다. 올해는 국내 증시가 반등세를 이어가면서 국민연금의 전체 수익률을 견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기금운용본부는 "대체투자 수익률의 경우 대부분 이자·배당 수익과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화환산손익의 영향"이라며 "공정가치 평가액은 반영되지 않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8-28 18:03:42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LG, 2500억 규모 자사주 소각…첫 중간배당 실시

LG그룹의 지주사인 ㈜LG가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과 첫 중간배당을 실시한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내놓은 주주 환원 정책을 이행하는 차원이다. ㈜LG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결의했다. 소각 주식은 총 302만9580주로 전체 보통주 주식의 1.93%에 해당되는 수량이다. 소각 예정일은 9월 4일이다. 지난 4월에도 ㈜LG는 ㈜LX홀딩스와의 분할 과정에서 취득한 보통주와 우선주 등 자사주 총 6만249주를 소각한 바 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발행 주식 수가 감소해 기존 주주의 지분 가치 상승 효과가 있다. ㈜LG는 잔여 자사주 302만여 주도 내년까지 전량 소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보통주와 우선주 모두 1주당 각 1000원씩을 배당하는 첫 중간배당도 실시한다고 밝혔다. 중간배당 총액은 1542억원이다. 배당 기준일은 9월 12일, 지급일은 같은 달 26일이다. LG는 "자회사 지분이 높아지면 배당 수익이 늘어나고, 이는 다시 ㈜LG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돌아가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안정적 수익 구조를 위한 자회사 지분 매입도 완료했다. ㈜LG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LG전자와 LG화학 주식을 5000억원가량 추가 매입했다. 이로써 ㈜LG가 보유한 LG전자와 LG화학 지분은 각각 31.76%와 31.52%로 늘어났다. 지분율이 늘면 자회사로부터 받는 배당 수익이 늘어나, 주주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LG 관계자는 "이와 함께 그룹이 미래 먹거리로 점 찍은 ABC(AI·바이오·클린테크) 분야에 집중 투자해 기업의 미래 가치를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08-28 16:50:47 양성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