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외국계 금융사, 코리아 프리미엄 동반자…MSCI 편입 속도"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외국계 금융회사 CEO들과 만나 금융소비자 보호와 리스크 관리, 감독정책 협업을 강조하며 "코리아 프리미엄은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외국계 금융사들은 한국 자본시장이 글로벌 기준에 근접했다며, MSCI 선진국지수 편입 추진과 규제 유연화, 정책 사전 소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외국계 금융사 CEO 간담회에서 "외국계 금융회사는 '코리아 프리미엄'의 과실을 함께 만들고 나누는 동반자"라며 "금융당국과 긴밀히 소통하고 감독정책 방향에도 발맞춰 달라"고 밝혔다. 그는 "국내외 금융사의 영업방식에는 차이가 있지만, 소비자 보호 원칙에는 예외가 없다"며 "금융상품 설계부터 사후관리까지 소비자 권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미국의 관세정책, 지정학 리스크, 국내 저성장 등 대내외 변수에 대비하려면, 리스크관리는 금융사의 핵심 경쟁력"이라며 "효율적 내부통제와 사전적 리스크관리를 기반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또 "글로벌 본사의 리스크 관리 경험을 국내 시장에도 적용해 선도적 모범사례를 함께 만들어주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처럼 대내외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상황에서는 리스크관리가 금융회사의 중요한 책무이자 핵심 경쟁력"이라고 언급했다. 감독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외국계 금융사의 적극적인 피드백을 요청했다. 이 원장은 "실효성 있는 금융감독은 당국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며, 금융회사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폭넓게 청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외국계 금융사 CEO들은 한국 금융시장에 대한 신뢰와 접근성이 개선되고 있다며,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의 전략적 추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 외국계 증권사 대표는 "시장 접근성과 외환 자유도 등에서 이미 글로벌 기준을 상당 부분 충족한 상황"이라며 "일관된 제도 개편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CEO는 "외국계 금융사의 회계 기준이나 글로벌 운영 구조를 고려해 규제를 보다 유연하게 적용해달라"며 "감독정책 방향도 사전에 공유돼야 예측 가능성이 생긴다"고 말했다. 정부도 MSCI 편입을 위한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관계기관 TF를 통해 연내 편입 로드맵을 마련하고, 자본시장 제도 전반을 정비 중이다.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술특례상장 심사기준 세분화, 퇴직연금기금 가입 확대,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대 등이 추진되고 있다. 이 원장은 마지막으로 "반도체, AI, 문화산업 등 성장산업에 대한 자금 공급과 투자 생태계가 필요하다"며 "외국계 금융사도 한국 기업과 자본시장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주시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어 "외국계 금융회사는 한국과 글로벌 자본시장을 잇는 가교이자, 금융혁신의 여정을 함께하는 소중한 구성원"이라며 "금감원도 앞으로 고견과 경험을 청취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