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HDC현대산업, '대구 연경 아이파크' 견본주택에 2.5만명 방문

대구 동구 내 첫 아이파크 브랜드 아파트인 '대구 연경 아이파크' 견본주택에 2만5000명이 발걸음 했다. 15일 HDC현대산업개발에 따르면 지난 13일 대구 연경지구 C-2블록 일대에서 분양을 시작한 '대구 연경 아이파크' 견본주택에 3일간 2만 5000여명이 방문했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15~18층 11개 동, 전용면적 84~104㎡ 792가구로 조성된다. 전용 면적별로 ▲84㎡A 409가구 ▲84㎡B 139가구 ▲104㎡ 244가구 등이다. 대구 연경 아이파크는 대구의 명산으로 통하는 팔공산, 앞으로는 동화천이 흐르는 배산임수 지형이다. 지구 곳곳에 근린공원 및 소공원 등이 조성되며, 단지 앞에는 동화천의 생태하천조성사업이 추진된다. 단지 인근엔 상업지구가 조성돼 도보로 쇼핑과 문화, 생활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롯데아울렛 이시아폴리스점, 코스트코 대구점 등 대형 유통시설 및 대구국제공항 등 각종 인프라도 갖췄다. 근처에 초등학교, 중학교 부지가 계획돼 있고, 연경지구 내 고등학교도 들어선다. 이시아폴리스 산업단지와 대구검단산업단지 대구혁신도시 첨단의료클러스터 등 다수의 첨단업무지구와 산업단지도 인접해있다. 분양 관계자는 "대구 동구 내 들어서는 첫 번째 아이파크 브랜드 단지로 높은 희소성을 갖춘데다 배산임수의 쾌적한 입지 등으로 내방객들의 반응이 좋았다"며 "또 택지지구 개발에 따른 미래가치를 갖춘데다 풍부한 배후수요까지 갖춰 좋은 청약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는 18일 특별공급, 19일 1순위, 20일 2순위 청약을 진행한다. 당첨자는 26일에 발표하며, 8월 6일~8일 3일간 정당계약을 실시한다. 대구 연경 아이파크의 견본주택은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599번지에 위치해있다. 입주는 오는 2020년이다.

2018-07-15 14:05:42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디딤돌 대출금리 0.1~0.25%p 인하…"연 최대 28만원 절감"

서민금융 정책상품인 디딤돌 대출의 금리가 소득 수준에 따라 0.1~0.25%포인트 내린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신규 접수분부터 부부합산 연소득 수준에 따라 디딤돌대출 금리를 0.1∼0.25%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디딤돌대출 금리는 부부합산 연소득과 대출기간을 고려해 연 2.25∼3.15% 범위로 적용하고 있다. 국토부는 서민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부부합산 연소득 2000만원 이하는 0.25%포인트, 2000만∼4000만원은 0.1%포인트 내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대출 금리가 부부합산 연소득 2000만원 이하는 2.25∼2.55%에서 2.00∼2.30%로, 2000만∼4000만원은 2.55∼2.85%에서 2.45∼2.75%로 인하된다. 특히 다자녀·장애인·고령자 가구와 청약저축 가입자, 부동산 전자계약 이용자 등은 우대금리까지 합하면 최저 금리가 1.60%까지 내려간다. 그러나 연소득 4000만~7000만원 구간은 금리 인하 혜택이 없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육아휴직자에 대한 원금상환 유예제도를 개선했다고 밝혔다. 그간 원금상환 유예제도는 연체가 발생한 상태인 경우에만 대출기간 1회에 한해 1년간 이용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육아휴직자인 경우 연체 전이라도 대출기간 2회, 2년간 원금상환을 유예받을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조치로 디딤돌대출을 이용하는 무주택 서민의 주거비 부담이 연간 12만~28만원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도 서민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8-07-15 12:00:19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현장르포] 여의도 재건축 단지 가보니…마스터플랜 기대감에 매물 회수

"여의도를 통으로 재개발하겠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개발 청사진을 밝힌 뒤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서울시의 '여의도 일대 종합적 재구조화 방안(여의도 마스터플랜)'에 따라 재건축 방향도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여의도 부동산 시장에선 '결국 시세가 오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분위기다. ◆ 매물 제로…"3일만에 다 거둬들여" 지난 13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재건축 단지 일대 부동산 중개업소가 분주했다. 최고 기온이 32도에 이르는 날씨에도 방문자들이 끊이질 않았다. 대부분의 부동산 중개업소는 손님이 내방해 있거나, 문의 전화가 이어져 전화 응대에 바빴다. 여의도 시범아파트 인근 A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박원순 시장의 마스터플랜 발언 이후 문의가 크게 늘었다"며 "지방에서도 매수 희망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박원순 시장은 여의도를 업무·주거지가 어우러진 '신도시급'으로 재개발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기부채납을 받아 공원을 늘리고 업무·주거 복합타운을 짓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오는 9월 이런 방향이 담긴 여의도 마스터플랜을 발표하기로 했다. 이 플랜이 나오면 기존 재건축 개발 방안이 전면 수정될 전망이다. 현재 여의도에서 재건축을 추진 중인 단지(1971~1978년 건축)는 12곳, 6460가구 규모다. 그러나 이들 중 아직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도계위) 심의를 통과한 곳은 한 곳도 없다. 지난달 여의도 공작아파트, 시범아파트도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도계위)에 상정됐으나 이 플랜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류된 바 있다. 공작아파트는 현재 최고 12층, 373가구로 예비 신탁 시행자로 KB부동산신탁을 선정하고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다. 정비계획안이 통과되면 최고 50층 높이의 417가구로 탈바꿈한다. 시범아파트는 높이 13층에 1790가구로 한국자산신탁이 사업 시행자로 지정돼 있다.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최고 35층 높이, 2370가구 규모로 바뀐다. 이런 분위기에 소유주들은 매물을 다시 거둬들이며 관망세로 전환했다. 실제로 시범아파트의 경우 현재 나와 있는 매물이 제로(0)다. 인근 B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최근 있었던 매물은 다 팔렸고 나머지 매물은 박원순 시장 발언 후 3일 만에 다시 회수됐다"며 "현재는 입주권 받을 수 있는 매물은 없고 현금 청산분밖에 안 남았다"고 말했다. 현금청산이란 재개발·재건축에서 조합원이 조합원의 지위를 포기하고 현금으로 보상받는 매물을 말한다. 일단 집을 갖고 있다가 여의도 마스터플랜에 따른 시장 변화를 본 뒤 움직이겠다는 분위기다. ◆집값 상승 기대심리 높아 여의도 재건축 일대의 아파트 주인은 일단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는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시범아파트의 79.240㎡ 경우 지난 1월엔 9억9000만~11억2000만원에 매매됐다. 이어 4월엔 12억원(2·6층)에 거래됐다. 3개월 만에 최대 2억원 가량 오른 셈이다. 156.990㎡도 지난 1월 15억~16억9000만원에 거래됐다가 4월엔 17억1000만원(6층)에 팔렸다. 가격이 계속 상승세다. 현재는 매매 물건이 다 회수되고 전세 물건만 남아있다. 전세 매물의 경우 156.990㎡가 4억5000만원으로 매매가와 차이가 크다. 공작아파트는 지난 3월 93.060㎡가 13억원(12층)에, 126.020㎡는 15억5000만원~16억4000만원에 거래됐다. 그러나 인근 중개업소에 따르면 현재 126.020㎡ 매물이 17억원에 나와 있다. 마찬가지로 3개월여 만에 최대 1억5000만원이 뛴 셈이다. 공평아파트 인근 C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재건축 아파트는 집이 노후된 데다 100% 2년 보장이 힘들기 때문에 다른 단지에 비해 전세가 싸게 나왔다"며 "현재 입주권이 있는 매물은 희소성이 있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여의도 마스터플랜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박 시장의 구상이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지난 2009년 추진했던 한강 르네상스와 비슷하다는 지적에서다. 당시에도 서울시는 여의도 일대에 40% 수준의 기부채납 비율을 요구해 주민들의 반발로 사업이 결실을 보지 못했다.

2018-07-15 11:45:28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LH,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 박차

LH가 도시재생 뉴딜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5일 LH에 따르면 박상우 LH사장 등 임직원 150명은 지난 13일 청주 문화산업단지(옛 연초제조장) 도시재생사업 현장을 방문해 도시재생의 현주소를 점검했다. LH는 올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 전국 75곳 공모에 참여했으며, 지난해 선정된 LH 참여 뉴딜사업 32곳에 대한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는 등 뉴딜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임직원들은 지난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선정된 뉴딜사업지와 올해 공모 신청한 뉴딜사업 추진현황, 지역별 특화재생계획 등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울러 현재 추진 중인 뉴딜사업을 진단했다. 청주 문화산업단지는 옛 연초제조창 원료공장을 리모델링하는 사업으로, 2014년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 후 올해 4월 공사에 착수했다. 사업이 완료되면 공예클러스터 및 문화체험시설 등 복합시설이 조성돼 국내 최대의 문화거점공간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또 이날 행사에선 황희연 충북대 교수의 '도시재생 혁신' 특강과 '도시의 생애주기, 패러다임 혁신'을 주제로 하는 토론도 진행됐다. 박상우 LH 사장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쇠퇴한 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발상과 지역사회와의 소통,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LH의 모든 역량을 투입해 빠른 시일 내에 뉴딜사업 성과를 창출하고, 청주 문화산업단지 등 핫 플레이스를 계속 조성해 도시를 재탄생시키는 '공간적 선순환'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8-07-15 11:00:00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분양캘린더]7월 셋째주 휴가철 '숨고르기'…전국 4685가구 분양

7월 셋째 주 아파트 분양시장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숨고르기'에 들어간다. 1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에는 수도권에서 2413가구, 지방 2272가구 등 전국에서 4685가구가 분양된다. 동성건설은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1가 '여의도리슈빌DS(오피스텔)'의 청약을 시작한다. 이 단지는 지하 5층~지상 12층, 1개 동, 310실(전용 21~27㎡)의 오피스텔로 조성된다. HDC현대산업개발은 대구 동구 지묘동 '대구연경아이파크'의 청약자를 받는다. 단지의 규모는 지하 2층~지상 18층, 11개 동, 792가구(전용 84~104㎡)다. 또 최고경쟁률 89.9대 1을 기록한 경기 성남시 정자동 '분당더샵파크리버' 등 18곳에서 계약을 진행한다. 당첨자 발표는 서울 성북구 장위동 '꿈의숲아이파크' 등 19곳에서 이뤄진다. 견본주택은 6곳에서 문을 연다. 대우건설은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452번지 일대에 '철산센트럴푸르지오'를 분양한다. 지하 2층~지상 29층, 7개 동, 전용 59~105㎡, 798가구로 이 중 343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현대건설은 경기 부천시 중동 1154번지에 '힐스테이트중동' 아파트 및 오피스텔을 분양한다. 지하 4층~지상 49층, 6개 동, 아파트는 총 999가구, 전용 84~141㎡로 구성되며 오피스텔은 49실, 전용 84㎡ 단일면적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661-2번지 일원에 '청주가경아이파크3차'를 공급한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최고 29층, 8개 동, 전용 84~144㎡, 983가구로 조성된다. GS건설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635번지에 '청주가경자이'를 분양한다. 지하2층~지상 최고 29층, 11개 동, 전용75~84㎡, 992가구며 이 중 227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2018-07-15 09:30:54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여름철, 입주난 예상...전세입자는 유리

이달 전국 51곳, 3만5082가구가 입주한다. 수도권은 1만5781가구, 지방은 1만9301가구이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지역 물량이 집중됨에 따라 전세가격 하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지난 5월 전국 주택 입주율은 74.5%, 4채 중 1채가 빈집이다. 최근 '세입자 미확보'가 미입주의 가장 큰 요인인 셈이다. 세입자 확보가 어려울 경우 역전세난이 벌어질 수도 있다. 1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은 1594가구로 마포구 망원동 '마포한강아이파크(385가구)', 서초구 반포동 '반포래미안아이파크(829가구)'가 주요 단지로 꼽힌다. 인천은 중구 운남동 'e편한세상영종하늘도시(577가구)', 경기는 안산시 선부동 '안산메트로타운푸르지오힐스테이트(1600가구)', 화성시 영천동 '동탄파크자이(979가구)' 등 1만3610가구가 입주 준비 중이다. 지방의 시도별 입주물량은 ▲경남 3396가구 ▲경북 3390가구 ▲대구 2978가구 ▲세종 2579가구) ▲충남 2152가구 ▲충북 1937가구 ▲부산 1437가구 ▲광주 602가구 ▲강원 600가구 ▲전북 230가구다. 주요 단지로는 경북 포항시 대잠동 '포항자이(1567가구)', 충북 청주시 송절동 '청주테크노폴리스우미린(1020가구)', 세종시 대평동 '중흥S클래스에듀퍼스트(1015가구)'가 입주한다. HDC현대산업개발의 '마포한강아이파크'가 입주한다. 6호선 망원역과 2호선·6호선 환승역인 합정역을 이용할 수 있다. 2021년에는 월드컵대교가 개통한다. 84A㎡ 매매가격은 9억, 전세가격은 6억5000만~7억원 수준이다.HDC현대산업개발·삼성물산이 서초한양아파트를 재건축한 '반포래미안아이파크'가 입주한다. 84A㎡ 매매가격은 19억5000만~20억, 전세가격은 9억5000만원~12억 선이다. 대우건설·현대건설이 경기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산73-1에 분양한 '안산메트로타운푸르지오힐스테이트'가 입주한다. 아파트 1600가구, 오피스텔 440실로 서해선 달미역세권 단지다. 84A㎡ 매매가격은 3억,000만~3억5000만원, 전세가격은 2억~2억5000만원이다.GS건설이 경기 화성시 영천동 택지개발사업지구 A8블록에 공급한 '동탄파크자이'가 입주한다. 93㎡ 매매가격은 5억원, 전세가격은 2억7000만~3억원 선이다. 중흥건설이 세종시 대평동 3-1생활권 M6블록에 분양한 '중흥S클래스에듀퍼스트'가 입주를 시작한다. 84A㎡ 매매가격은 4억8000만~5억, 전세가격은 1억5000만원~2억 수준이다. [!{IMG::20180713000053.jpg::C::480::}!]

2018-07-13 15:29:01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안양씨엘포레자이, 1순위 청약 마감…경쟁률 최고 63.7대1

GS건설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일대에 선보인 '안양씨엘포레자이'가 1순위 청약에서 최고경쟁률 63.66대 1로 마감했다. 13일 GS건설에 따르면 지난 12일 안양씨엘포레자이 1순위 청약에서 총 493가구 모집에 1만2164명이 접수해 평균 경쟁률 24.7대 1을 기록했다. 전체 15개 주택형이 모두 1순위에서 마감됐으며, 이중 14개 주택형은 1순위 해당지역에서 마감됐다. 최고경쟁률은 35가구 모집에 2228명이 몰린 전용 84㎡A다. 이 타입에서 63.7대 1의 최고경쟁률이 나왔다. 전용 73㎡A는 46가구 모집에 2470명이 접수해 53.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51가구를 모집하는 전용 59㎡A도 37.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유일한 중대형 평면인 전용 100㎡ 역시 16가구 모집에 425명이 신청해 26.5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전용 59㎡ 미만의 소형 주택형도 높은 경쟁률로 마감됐다. 전용 49㎡B는 15가구 모집에 439명이 접수해 29.3대 1을 기록했다. 전용 39㎡도 27가구 모집에 140명이 접수, 5.2대 1로 1순위 해당지역에서 청약이 끝났다. 안양씨엘포레자이는 경기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 소곡지구를 재개발하는 아파트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27층 13개동 전용면적 39~100㎡ 1394가구다. 이 가운데 일반분양은 791가구다. 당첨자는 19일 발표된다. 계약은 이달 31일부터 8월2일까지 3일간 진행된다. 입주는 2021년 2월 예정이다.

2018-07-13 13:20:16 채신화 기자
기사사진
HUG-주금공, '전세보증금 상호가입' MOU 체결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13일 서민주거안정 지원을 위해 '전세금보증 상호가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그동안 HUG의 '전세보증금 반환보증'과 HF의 '전세자금보증(대출보증)' 간 상호가입이 제한돼 왔다. 그러나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이 보증제도를 개선, 오는 16일부터 상호간 보증가입이 가능해진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전세금보증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보증사고 발생 시 함께 대처하는 등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서민의 전세보증금을 보호하기로 했다. 다만 신용도가 낮아 HF '전세자금보증(대출보증)' 가입 시 불가피하게 전세보증금을 담보로 제공한 경우엔 채권확보의 한계로 인해 상호가입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그동안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이 어려웠던 HF '전세자금보증(대출보증)' 가입 임차인 약 40만명이 HUG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상품에 동시에 가입할 수 있게 된다. 이재광 HUG 사장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주거복지 로드맵 실행을 위한 대표 보증상품"이라며 "이번 협력관계 구축은 HUG와 HF 양 공공기관의 업무 칸막이를 제거한 첫 번째 시도로서 큰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HUG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은 전국의 HUG 영업점, 위탁은행 영업점, 위탁공인중개사 사무소 및 인터넷보증을 통해 가입할 수 있다.

2018-07-13 13:20:08 채신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