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SK에코플랜트, 중대형 SOFC 연료전지 적용 제로에너지건축물 예비인증 획득

SK에코플랜트는 현재 시공중인 '서부산 SK V1 지식산업센터'가 제로에너지건축물(Zero Energy Building, 이하 ZEB) 예비인증을 취득했다고 28일 밝혔다. ZEB 인증제도는 지난 2014년 신축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가 수립한 '녹색건축물 기본계획' 정책에 따라 건축물의 에너지자립률을 인증하는 제도로,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 중이다. 정책 로드맵에 따라 2020년부터 신축 공공 건축물의 ZEB 인증 취득이 의무화됐으며, 내년부터는 신축 민간 건축물에도 의무화가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서부산 SK V1 지식산업센터는 국내 최초로 일반건축물(비주거)에 중대형(10kW 초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를 도입해 ZEB 예비인증 획득에 성공했다. 연료전지 660kW 및 태양광발전설비 103.6kW을 복합도입해 에너지자립률 24.9%를 인증 받았으며 이는 ZEB 5등급에 해당한다. 이번 ZEB 인증 취득의 핵심인 중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해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고효율·저탄소 신재생 분산발전원이다. SK에코플랜트는 중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가 태양광발전설비와 비교했을 때 약 10분의 1 규모 설치면적만 확보돼도 비등한 발전량 확보가 가능해 대형 건축물 ZEB 달성의 최적 솔루션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송영규 SK에코플랜트 에코스페이스BU대표는 "정부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및 순환경제 정책 강화에 적극적으로 부응해 사업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11-28 11:33:36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12억원 넘어…추가 상승은 글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8개월 만에 12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최근 매수세가 급감하며 거래 빙하기가 다시 도래하는 등 부동산 2차 조정 양상이 나타나고 있어 추가 상승이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28일 KB부동산 월간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평균 가격은 11월 12억39만원으로 전달 11억9663만원에 비해 376만원 상승했다.이는 지난 3월 12억972만원 이후 8개월 만에 12억원대를 회복한 것이다. 지난 7월 11억8182만원으로 저점을 찍고 4개월 연속 상승하며 12억원을 넘어섰다.이달 강남권 일부 초고가 단지가 신고가를 기록하는 등 상승 거래가 나타나면서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압구정 신현대11차(전용면적 183㎡)는 지난달 5일 69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지난 7월 64억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5억5000만원 상승했다.다만 최근 주택 거래가 주춤하는 등 분위기가 바뀌는 분위기여서 추가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최근 들어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전국적으로 꺾이는 모습이다.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월간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변동률은 0.04%로 9월(0.26%), 10월(0.24%)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대폭 축소됐다. 부동산 거래·심리 등 관련 지표도 줄줄이 꺾이는 모습이 나타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0월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는 이날 기준 2293건이다. 부동산 매매 신고 기한이 계약일로부터 30일이라 이달 집계 기한이 남아있긴 하지만 9월(3372건)에 한참 못미치는 수준이다.전국 6000여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2~3개월 뒤 집값에 대한 전망을 물어 산출하는 KB부동산 서울 매매가격 전망 지수도 하락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표가 100 미만이면 '하락' 의견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0월 98.2에 이어 11월에는 82.8로 대폭 하락했다.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수도권 아파트 시장 거래 회복세가 다시 꺾인 분위기"라며 "매도자와 매수자간 희망가격 간극이 거래부진으로 이어지면서 매물이 누적되는 지역에서 집값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밝혔다.

2023-11-28 09:18:22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시한폭탄 부동산 PF에 청담동 알짜사업마저 '휘청'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전국 사업에서 PF 연장이 거부 사례가 잇따르면서 건설업계를 중심으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특히 최근에는 알짜사업지로 꼽히는 서울 강남 등 일부 사업장에서도 PF 연장을 거부하는 사례가 나오면서 내년 부동산 시장의 위기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부동산 경기 침체와 유동성 부족 등으로 건설업계의 위기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미분양 적체와 건설 원자잿값 급등, PF 대출 경색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도미노 부도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실제 이달에 건설업계의 폐업 신고가 17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달에만 총 41개 종합건설업체가 폐업을 신고했다. 올해 들어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총 49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97건)보다 67.0% 급증했다. 이는 지난 2006년(530건) 이후 17년 만의 최대치다.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미분양과 PF 대출 중단이 여전한 데다 공사비까지 오르면서 위기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일부 지방 협력업체는 이미 문을 닫았고, 자금 경색이 풀리지 않으면 건설업계의 도미노 부도가 현실화할 것"이라고 토로했다. 알짜사업 단지로 꼽히던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서 PF 대출 연장 거부 사례가 나왔다.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청담동 프리마호텔을 아파트·오피스텔로 개발하는 '르피에드 청담'의 브릿지론(단기 차입금)이 만기일인 지난 18일 연장되지 않았다. 이 사업의 시행사는 대지면적 5462㎡(1652평) 규모의 프리마호텔 자리에 최고 49층 높이의 한강 전망 주상복합을 개발할 예정이었다. 이를 위해 금융기관 26곳에서 총 4640억원 규모 브릿지론을 받았다. 이 중 1800억원(39%)의 자금을 선순위로 대출했던 새마을금고가 만기 연장을 거부한 것이다. 브릿지론은 토지매입 등 사업초기 소요되는 단기 차입금을 말한다. 브릿지론은 본 PF로 넘어가는 일종의 가교 역할을 한다. 금융당국이 나서면서 르피에드 청담 브리지론 만기 1년 연장됐고, 위기를 가까스로 모면했다. 주택 수요가 가장 많고, 특히 고급 주택에 대한 선호가 많은 청담동에서 PF 대출 연장 거부 사례가 나오면서 건설업계에서는 도미노 부도가 현실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지난 9월 대주단 협약에 따라 부동산 PF 연장 또는 추가 대출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일선 현장에서는 체감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PF 대출 만기연장을 하더라도 사업이 다시 진행되는 게 아니다"며 "고금리 기조에 부동산 경기마저 위축되면서 PF 대출 만기연장 일부 시행사나 건설사에게 도움이 되겠지만 한시적인 효과에 그칠 것"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PF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자기자본 없이 다른 자본으로 사업을 하고, 부채가 많은 건설사 등이 우리 경제의 심각한 위기로 작용할 수 있다"며 "정부의 PF 대출 만기 연장 등 지원책이 필요하지만, 부실 건설사와 부채비율이 높은 곳에 대해서는 구조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2023-11-28 09:17:15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성남시, '태평지역주택조합' 설립인가 '승인'

경기 성남시 태평동 일원에서 주거환경 정비사업을 추진 중인 '태평지역주택조합'이 최근 조합설립인가를 받아 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그간 조합설립인가가 미뤄지면서 사업이 지연됐지만 최근 조합설립인가 필증을 교부받아 지구단위계획수립 절차에 동분서주(東奔西走) 하고 있다. 태평지역주택조합은 27일 "태평동 7305번지 일원(공동주택 사업부지 면적 6만8118㎡)에 지하 2층~지상 28층 18개 동, 총 1570세대 건립을 위해 현재 1070명의 조합원이 모집된 상태이고, 추가 일반 조합원 40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특히 조합은 "사업계획승인 인가 요건 충족을 위해 토지 소유권 95% 확보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힘을 쏟고 있으며, 농협 금융 대주단 10개사와 협상을 진행 중이고, 시공사는 ㈜현대건설과 업무협약을 위한 협의가 진행 중이다"라고 전했다. 조합은 또 "그동안 토지매입에 투입한 1000억원 외에도 토지소유권 95% 확보를 위해 추가 자금 마련 및 지구단위계획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며 "전체적인 사업계획을 확정 짓기 위해서는 지구단위계획 수립이 선행돼야 사업 차질이 없을 것"이라며 "시의 적극 행정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민병웅 조합장은 "조합설립인가 이후 사업계획승인까지 1년 이내 목표를 세우고 조합원 모두가 합심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지역주택조합 특성상 조합원들의 추가 분담금을 줄이려면 지구단위계획 수립 및 지구지정이 선행돼야 한다"며 말했다. 한편 조합이 계획한 기부채납 시설은 도로 기반시설 및 확·포장, 어린이 공원, 경찰서 지구대, 주차장, 복지관 등 공공 주민편의시설을 건립해 시에 기부채납한 조건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031)735-7772

2023-11-27 16:35:26 박승덕 기자
기사사진
금호건설, 2023 제21회 한국색채대상 블루상 수상

금호건설은 한국색채학회에서 주관하는 색채 관련 최고 권위 상인 '2023 제21회 한국색채대상'에서 블루(BLUE)상을 수상했다고 27일 밝혔다. 한국색채대상은 국내 유일의 색채 관련 시상식으로 국내 색채 문화의 발전과 색채 산업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고, 사단법인 한국색채학회가 주관하는 색채 관련 최고 권위의 상이다. 시상은 ▲경관 ▲건축·인테리어 ▲제품 등 11개 부문에 대해 레드(RED, 혁신), 그린(GREEN, 공간환경), 블루(BLUE, 기술) 상으로 나눠 실시됐다. 색채기술부문 블루(BLUE)상을 수상한 금호건설의 '공동주택 색채 디자인 가이드'는 금호건설의 지정된 브랜드 색상을 재해석해 아파트 주동(건물)과 커뮤니티, 문주(출입구), 지하주차장 등 단지의 전체에 통일된 색채와 디자인 계획을 표현했다. 새롭게 계획한 색채와 패턴은 선이 중첩돼 만들어지는 균형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금호 어울림 브랜드의 정체성을 담았다. 수상작은 이달 28일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전시되고 한국색채학회 홈페이지 및 SNS에 게재된다. 금호건설 상품설계팀 관계자는 "이번에 수상한 작품은 'Transition'이라는 콘셉트로 금호건설이 앞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를 포함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더욱더 발전된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11-27 15:48:50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12월 총 2만2196세대 입주...2014년 이후 최저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2만2196가구로 예정되면서 지난 2014년 이후 12월 물량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물량 감소는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 입주물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27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발표한 '12월 입주 동향'에 따르면 내달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임대·연립 제외, 총가구 수 30가구 이상 아파트 포함)은 31개 단지, 총 2만2196세대로, 전월(3만2206세대) 대비 31.1%(1만10세대) 줄었다. 전년 동월(2만4028세대)과 비교하면 7.6%(1832세대) 가량 적다. 12월 물량으로만 보면 지난 2014년(1만6495세대) 이후 가장 적은 물량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경기에서만 7518세대가 입주 예정으로, 전월(1만7287세대)과 비교하면 약 56.5%(9769세대) 감소한다. 경기, 인천의 입주단지가 줄면서 물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은 올해 5월 이후, 인천은 지난 2021년 3월 이후 처음으로 입주물량이 없는 것. 경기는 '더샵오포센트리체(1475세대)', '별내자이더스타(740세대)', '한화포레나안산고잔(449세대)', '안성공도쌍용더플래티넘프리미어(1696세대)', '더샵오산엘리포레(927세대)', '이안더센트로의정부(154세대)', '물향기마을3단지해링턴플레이스GTX운정(1498세대)', '포천금호어울림센트럴(579세대)' 등 8곳의 단지가 입주한다. 지방 입주물량은 1만4678세대로, 전월(1만4919세대)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다. 부산(3796세대), 충남(2492세대), 경남(2475세대), 대구(2279세대) 등 다양한 지역에서 입주물량이 공급된다. 직방은 내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을 총 30만6403세대로 추산했다. 이는 32만1218세대가 입주하는 올해보다 약 4.6%(1만4815세대) 가량 적은 물량이다. 다만, 권역별로 봤을 때는 수도권의 입주물량 감소폭이 두드러진다. 내년 수도권 입주물량은 14만737세대로, 올해 입주물량(17만2297세대) 보다 18.3%(3만1560세대) 감소한다. 서울의 경우 1만1376세대가 입주해 올해(3만470세대)보다 62.7%(1만9094세대) 가량 적은 세대가 입주한다. 지방의 내년 입주물량은 16만5666세대로, 올해(14만8921가구) 대비 11.2%(1만6745세대) 가량 많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도권 주택시장과의 온도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대구(2만3403가구)의 입주 물량이 가장 많다. 이어 경북(2만2960가구), 충남(2만1504가구), 경남(1만8765가구), 부산(1만4236가구) 등 순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최근 수도권 중심으로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공급 부족, 신축 희소성 등이 반영되며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오름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11-27 15:17:52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DK아시아, 66ft 파워 카타마란 유럽형 요트 추가 건조 계약 체결

DK아시아가 로열파크씨티즌 전용 유럽형 요트를 추가 건조한다. DK아시아는 지난 23일 친환경 선박 강소기업 은성중공업과 국내 최대크기 66피트(ft) 파워 카타마란(Power Catamaran) 유럽형 요트 추가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계약한 파워 카타마란 요트는 국내 최대크기로 건조된 로열파크씨티 1호와 같은 제원으로 길이는 66피트(20.1m)에 달하며, 승무원을 포함해 50여명이 승선할 수 있다. 앞서, DK아시아는 지난 8월 '로열파크씨티 1호'를 통해 검암역 로열파크씨티 입주민들을 대상으로 럭셔리 요트 아라뱃길 투어 서비스를 제공해 큰 호평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로열파크씨티 1호는 김포 아라마리나를 출발해 노을진 캠핑장 구간을 운항됐다. 낮 시간대에는 아라뱃길의 대표 명소인 수향 8경을 둘러보는 데이투어, 석양 시간대에는 붉은 노을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아라뱃길과 정서진의 일몰을 즐길 수 있는 썬셋투어 두 가지 테마로 진행됐다. 김정모 DK아시아 회장은 "강남 3구를 뛰어넘는 대한민국 대표 신흥 부촌으로 로열파크씨티를 완성해 나가겠다"면서 "자연과 문화, 감성을 담은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DK아시아의 리조트특별시를 조성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11-27 14:42:15 김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