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대 등 올해 수능최저 완화…56개 대학, 입학 전형 변경
서울대와 중앙대 등 주요 대학들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고3 재학생을 구제하기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하는 등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변경한다. 대입 전형을 변경한 대학은 총 56개교로 지난해 101개교보다 규모가 다소 줄었다. 전국 4년제 대학 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이러한 내용의 2022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사항을 9일 발표했다. 대교협은 "코로나19 상황과 관련해 대학별 고사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에서 대학별 시행계획 변경 신청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서울대·서강대·중앙대 수능 최저학력기준 낮춰 대입 시행계획 변경 중 수능 최저학력기준 완화가 대표적 변화다. 서강대와 서울대, 중앙대는 고3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역균형선발·고교장추천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낮추기로 했다. 서강대는 고교장추천(학생부교과)전형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국어·수학·영어·탐구 4개 영역 중 3개 영역 각 3등급 이내'로 낮췄다. 변경 전에는 '국어·수학·영어·탐구 4개 영역 중 3개 영역 등급 합이 6 이내'였다. 수능 3개 영역의 등급 총합이 6을 넘지 않아야 했지만, 이를 각 영역 3등급 이내로 바꿨다. 서울대도 지역균형선발(학생부종합)전형에서 '전 모집단위 4개 영역 중 3개 영역 이상 2등급 이내'의 수능 최저기준을 '4개 영역 중 3개 영역 이상 3등급 이내'로 완화했다. 중앙대는 중간·기말고사 성적 등으로 평가하는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지역균형전형에서 최저학력기준을 변경했다. 인문계열 학과는 수능 4개 영역 중 3개 영역 합을 6등급 이내에서 7등급 이내로 완화했다. 서울캠퍼스 약학부를 제외한 서울·안성캠퍼스 자연계열 학과의 같은 전형에선 탐구 '2과목 평균'을 '상위 1과목'으로 축소 반영한다. 대교협 관계자는 "4개교 외에 재수생 등 졸업생이 포함될 수 있는 전형에서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하겠다고 신청해 온 대학이 일부 있었지만 이를 반려했다"고 밝혔다. 각 대학은 코로나19로 수험생들의 대면 활동이 위축돼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이 어려웠던 점을 감안해 올해 학종에서도 이를 상황을 고려해 평가할 예정이다. ◆실기·실적 전형 인정 범위 변경…연대·한양대 등 면접고사 등 전형 축소 실기·실적 전형의 인정범위를 변경한 대학은 고려대, 아주대, 연세대, 중앙대, 상명대(천안캠퍼스) 등 22개교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로 열리지 못한 대회 참가 실적 등을 고려해서다. 방역 차원에서 실기고사 종목이나 유형을 바꾸거나 축소한 대학은 명지대, 성신여대, 한신대, 한양대 등 20개교였다. 실기고사는 특성상 수험생들이 같은 공간에서 밀집하기 쉬운 데다 비말이 확산해 감염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방역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면접고사를 빼는 등 전형 단계를 축소한 학교는 가천대, 서울여대, 세종대, 순천향대, 인천대, 연세대, 한양대 등 17개교다. 단국대, 인천대, 한양대 등 7개교는 논술·면접·실기 등 대학별고사 일정을 1~2일씩 늘려 응시생을 분산하겠다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대교협 승인사항 외에도 각 대학은 면접 등 대학별 고사를 비대면으로 자체 전환할 수 있다. 대교협은 "대학들이 적어도 한 달 전까지는 수험생에게 이를 안내하도록 할 예정이"이라며 "올해 수험생들은 각 대학이 확정 공고한 대입전형 시행계획을 살펴야 대학별고사 일정 중복 등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자세한 내용은 대입정보포털 '어디가'(adiga.kr)와 각 대학 입학처(본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