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리조트, '독점적 라운지 경험' 앞세워 프리미엄 여행 수요 공략
해외 럭셔리 호텔들이 전용 라운지와 차별화된 콘텐츠를 앞세워 '독점적 경험'을 강화하며 고급 여행 수요 공략에 나섰다. 고급 식음료(F&B) 무제한 제공, 전담 케어, 프라이빗 풀 등으로 구성된 프리미엄 라운지는 최근 여행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서비스 카테고리로, 이른바 '스마트 럭셔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인기 휴양지를 중심으로 이러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베트남 푸꾸옥의 리젠트 푸꾸옥(Regent Phu Quoc)은 2025년 푸꾸옥 지역 유일의 '미쉐린 키' 호텔로 선정되며 프리미엄 체류 경험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호텔의 핵심 상품인 '리젠트 클럽'은 스카이 윙 10층에 위치한 개방형 라운지와 루프탑 인피니티 풀이 결합된 점이 차별화 요소로 꼽힌다. 올데이 다이닝, 샴페인·프리미엄 주류 셀렉션, 애프터눈 티 등 식음 서비스의 수준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리젠트 푸꾸옥은 매월 해외 스타 셰프를 초청해 열리는 포핸즈 디너, 연례 미식 축제 '테이스트 스튜디오' 등 자체 콘텐츠 경쟁력도 강화하고 있다. 베트남 하롱베이에 새롭게 문을 연 인터컨티넨털 하롱베이(InterContinental Halong Bay) 역시 '클럽 인터컨티넨털'을 앞세워 고급 고객층을 흡수하고 있다. 93㎡ 규모의 하롱베이 스위트 등 일부 상위 객실 투숙객에게 제공되는 이 클럽 서비스는 발코니 전망, 전용 온수풀, 전담 체크인·체크아웃, 올데이 다이닝 및 칵테일 아워 등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클럽 라운지 내 온수풀은 시즌과 관계없이 프라이빗 휴식을 원하는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다. 리조트 내 '히든 라군 스파'는 영국·호주 럭셔리 뷰티 브랜드와 협업해 트리트먼트 프로그램을 운영해 웰니스 수요를 겨냥했다. 베트남 중부의 앙사나 랑코(Angsana Lang Co)는 가성비 경쟁력을 강화한 '올-인클루시브'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낭 국제공항 왕복 픽업부터 조식·중식·석식,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시설 이용까지 묶은 패키지를 합리적인 가격대에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리조트 내 3개 레스토랑을 모두 이용할 수 있고, 인근 반얀트리 랑코(미쉐린 2키 수상)의 레스토랑 접근성, 라구나 골프 랑코와의 연계성도 경쟁 요소로 꼽힌다. 인도네시아 발리의 물리아 발리(Mulia Bali)는 세분화된 고객층에 맞춘 3개 브랜드(물리아 리조트·더 물리아·물리아 빌라)를 운영하며 프리미엄 라운지 중심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올-스위트 호텔인 '더 물리아'는 전용 라운지와 전용 풀을 통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조식·애프터눈 티·칵테일 등 독점 서비스가 제공되는 '더 라운지'는 물리아 전체 시설 접근성과 높은 편의성을 장점으로 내세운다. 리조트 내 물리아 스파는 발리 전통에서 영감을 받은 하이드로닉 풀과 플로팅 요가 프로그램 등으로 웰니스 고객층을 끌어들이고 있다. 여행업계에서는 최근 몇 년간 고급 여행 소비 패턴이 '특정 공간의 독점 사용'으로 옮겨가면서 글로벌 호텔 브랜드들이 라운지 경쟁력 강화에 투자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항공업계의 프리미엄 라운지가 고객 충성도를 결정하듯, 호텔 라운지 역시 브랜드 경쟁력의 핵심 지표로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여행업계 한 관계자는 "전통적인 객실 경쟁에서 벗어나 F&B·웰니스·프라이버시 중심의 '체류 경험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팬데믹 이후 고급 자유여행객(FIT)이 급증하면서 이러한 변화는 더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