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신일전자, 영등포구서 '나눔플러스 바자회' 진행

신일전자가 지역 상생을 위해 바자회를 열고 자사 제품 판매 수익금을 전액 기부한다. 신일전자는 오는 25일부터 26일까지 선유도역 인근 '걷고 싶은 거리'에서 열리는 '제9회 시월의 선유' 행사에 참여해 '신일 나눔플러스 바자회'를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시월의 선유'는 신일전자 본사가 위치한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 주민 주도의 축제로, 지역 내 기업·기관·학교 등이 참여해 공연, 전시, 체험, 먹거리, 바자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신일은 이번 바자회에서 '에코 팬 큐브 히터'를 비롯해 전기요, 전기방석, 음식물처리기, 믹서기, 서큘레이터, 펫 가전 등 약 20종의 대표 제품을 선보인다. 바자회 판매 수익금은 전액 기부해 지역사회 공헌에 나선다. 신일전자는 이번 행사를 단순한 판매가 아닌 사회적 가치 실현과 지역 상생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기획했다. 소비자들은 브랜드 제품을 직접 체험하며 나눔의 의미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신일전자 관계자는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뜻깊은 행사에 함께하게 되어 매우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따뜻한 나눔의 가치를 실천하고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희준기자 nauta@metroseoul.co.kr

2025-10-24 16:58:17 정희준 기자
기사사진
삼일PwC, ‘반도체대전’서 AI·통상규제 대응전략 제시

삼일PwC가 국내 최대 반도체 전시회 '반도체대전(SEDEX 2025)'에서 인공지능(AI)과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 전략을 제시했다. 삼일PwC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7회 반도체대전에 참가해 세미나와 기업 상담, 부스 운영 등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미래 전략을 논의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내외 반도체 기업과 전문가들이 기술 변화 및 통상 정책에 대한 대응 방향을 공유하는 자리로, 삼일PwC는 'AI 활용 경쟁력 강화'와 '통상규제 대응 전략'을 중심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22일 열린 첫 세션에서 정성문 PwC컨설팅 디지털&AI 리더(파트너)는 'AI를 활용한 반도체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며 "AI 기술을 단순히 도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업의 비즈니스 목표와 업무 프로세스 전반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AI와 사람 간의 협업 구조를 기반으로 한 전략적 프로세스 혁신이 이뤄져야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23일에는 소주현 삼일PwC 글로벌 통상플랫폼 리더(파트너)가 '트럼프 통상규제와 반도체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소 리더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중 무역갈등의 중심은 반도체 산업이었다"며 "장기적으로 미국 내 생산 확대와 기술 협력 강화가 필요하고, 수출통제 대응책으로 자율준수무역거래자(CP) 제도 활용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삼일PwC는 전시회 기간 동안 부스를 운영하며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1대1 상담을 진행하고, 반도체산업 가이드북 등 산업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했다. 이번 세미나를 총괄 기획한 김경환 삼일PwC 반도체 섹터 리더는 "AI와 통상 환경 변화는 반도체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핵심 요인"이라며 "삼일PwC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전략적 자문과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10-24 16:15:35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현대로템, 美 쉴드AI와 기술 개발 업무협약 체결

현대로템이 방산 부문의 인공지능(AI) 기반 기술경쟁력을 강화한다. 현대로템은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미국의 AI 솔루션 업체인 '쉴드(Shield)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MOU는 전장에서 발생하는 비선형적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자율임무 기술을 현대로템의 차세대 유·무인복합(MUM-T) 지상무기체계에 적용하는 데 초점을 둔다. 현대전은 드론을 활용한 적군 조기 탐지와 게릴라전 확대 등 전선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비선형 전투'가 확산되는 추세다. 현대로템은 쉴드AI가 공급하는 AI 기반 자율전투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인 '하이브마인드 엔터프라이즈(HME, Hivemind Enterprise)'를 활용해 무인체계의 자율전투 임무수행 기술을 단계적으로 연구개발(R&D)하고 고도화할 방침이다. 쉴드AI의 HME는 인간의 개입 없이 플랫폼 간 협업과 임무 분담이 가능한 자율임무 수행기술을 개발하는 도구다. 특히 MUM-T 무기체계 운용의 핵심인 전장상황인식과 정보공유, 자율 판단·통제, 협력 타격 임무 등을 구현하는 데 최적화됐다. 미국과 호주에서 진행되는 무인 항공기와 무인 잠수정과 같은 차세대 무인전략자산 도입에 이 소프트웨어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현대로템은 우선 차세대 지상무기 라인업에 자율임무 수행이 가능한 드론을 탑재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다. 이어 전장에서 다목적 무인차량인 HR-SHERPA(셰르파)나 다족보행로봇과 같은 무인체계의 자율 임무수행과 군집제어 수행체계가 고안될 예정이다. 군집제어는 많은 무인체계가 전장에서 서로 협력해 하나의 집단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로 MUM-T 무기체계의 유기적 운용을 위한 필수 요소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앞서 고도화된 AI 기술을 바탕으로 여러 종류의 MUM-T 무기체계들이 통합적으로 지휘·통제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미래 전장에 대비하겠다는 구상이다. 현대로템은 향후에도 기술 진보와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방산 AI와 첨단 기술을 적극 도입하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으로 글로벌 기술 협력 네트워크를 다변화할 계획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전장 추세에 맞춰 차세대 지상무기체계를 능동적으로 진화시킬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대한민국의 'AI 강군'도약을 위해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5-10-24 16:05:31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글로벌 벤처투자, 4분기 연속 1000억달러 돌파…AI·로봇·방산 ‘핫 섹터’ 부상

글로벌 벤처캐피털(VC) 시장이 2025년 3분기에도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인공지능(AI) 열풍 속에 투자 규모가 전 분기 대비 증가하며 4분기 연속 1000억달러를 넘어섰다. 24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KPMG가 발간한 '2025년 3분기 VC 투자 동향(Venture Pulse Q3'25)'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전 세계 VC 투자금은 총 1207억달러로 집계됐다. 2분기(1120억달러)보다 증가했으며, AI 모델 개발·응용 솔루션·인프라 기업으로의 자금 집중이 두드러졌다. 엑시트(회수) 시장도 회복세를 보였다. 글로벌 엑시트 규모는 1499억달러로, 글로벌 IPO 시장 활성화에 힘입어 2021년 4분기 이후 15분기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0억달러 이상 메가딜은 총 10건 발생했으며, 이 중 8건이 미국에서 이뤄졌다. 지역별로는 미주 지역이 851억달러로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했다. 유럽은 174억달러, 아시아는 168억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앤트로픽(Anthropic, 130억달러), xAI(100억달러), 리플렉션AI(10억달러), 데이터브릭스(10억달러) 등 주요 AI 기업들이 대형 투자를 이끌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 미스트랄(Mistral, 15억달러)과 영국 엔스케일(Nscale, 15억달러)이 AI 투자 선두에 섰고, 영국 래피드파이낸셜(Rapyd Financial, 5억달러), 핀란드 IQM(3.2억달러) 등 핀테크·양자컴퓨팅 분야 투자도 활발했다. 아시아 지역 VC 투자는 소폭 증가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중국이 84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자동차기업 FAW 베스트튠(4.62억달러), 데이터센터 기업 GLP(3.48억달러), 항공우주 스타트업 갤럭틱에너지(3.35억달러) 등이 주요 수혜 기업으로 꼽혔다. 한국에서는 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스(Rebellions)가 2억4400만달러를 유치하며 아시아 내 주목받는 투자 사례로 떠올랐다. 보고서는 AI 외에도 국방기술, 우주기술, 헬스테크, 양자컴퓨팅, 대체에너지 등이 글로벌 VC의 차세대 핵심 투자 분야로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도영 삼정KPMG 스타트업지원센터 상무는 "AI는 여전히 글로벌 VC 시장의 중심축으로, AI 기술을 접목하지 않은 스타트업은 투자 유치가 점점 어려워질 것"이라며 "IPO와 M&A 시장의 회복세에 따라 2026년에는 엑시트 환경이 더욱 개선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AI 모델뿐 아니라 산업별 솔루션과 인프라, 로봇공학·방위산업 분야 투자도 확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10-24 16:04:29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하나자산운용 ‘1Q 나스닥100채혼50액티브 ETF’, 500억 돌파

하나자산운용이 출시한 '1Q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 ETF'가 상장 11영업일 만에 순자산 500억원을 돌파했다. 국내 채권혼합형 ETF 중 최단기간 기록이다. 퇴직연금 투자자들이 원금보장형 상품 대신 수익률 제고형 상품으로 교체한 수요가 몰린 결과로 풀이된다. 이 상품은 미국 나스닥100과 단기국채를 각각 50% 비율로 담아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2세대 채권혼합형 ETF다. 퇴직연금(DC·IRP) 계좌의 안전자산 한도 내에서 편입할 수 있어, 위험자산 한도(70%)에서 나스닥100 ETF를 함께 담을 경우 전체 포트폴리오의 최대 85%를 나스닥100에 투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총보수는 연 0.05%로, 국내 채권혼합형 ETF 중 최저 수준이다. 타사 동일유형(미국 대표지수 기반) 상품의 평균 보수 0.15% 대비 3분의 1에 불과하다. 상장 첫날 개인 순매수 55억원을 기록하며 채권혼합형 ETF 중 역대 최고 순매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나자산운용은 앞서 '1Q 미국S&P500'과 '1Q 미국S&P500미국채혼합50액티브', '1Q 미국나스닥100' 등을 잇달아 선보이며 연금 투자자 중심의 ETF 라인업을 완성했다. 특히 '1Q 미국S&P500미국채혼합50액티브 ETF' 역시 2세대 S&P500 채권혼합형 상품 중 처음으로 순자산 500억원을 넘기며 연금시장에서 자리잡은 바 있다. 김태우 하나자산운용 대표는 "미국 테크와 단기국채에 동시에 분산 투자할 수 있어 연금투자에 최적화된 상품"이라며 "저보수 장기투자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미국 대표지수 ETF 4종은 업계 최저 수준 보수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나자산운용은 "투자자가 필요로 하는 ETF를 공급하는 운용사로 자리매김하겠다"며 연금투자자 중심의 상품 전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10-24 15:59:56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2025 국정감사] 김정관 산업장관 "美, '선투자' 입장 접어… 현금투자 규모 등 막판 줄다리기"

"APEC서 타결 예단 어렵지만 끝까지 협상" 한미 간 3500억달러(약 500조원) 규모의 대미투자 방식을 놓고 관세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24일 "미국 쪽에서 선투자 부분에 대한 입장은 상당 부분 접었다"며 "현재 (대미 투자에 있어) 어느 정도가 적절한 수준인가를 두고 한미 양국이 굉장히 대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양국의 이익에 서로 부합하는가, 프로젝트가 상업적 합리성을 가진 사업인가, 우리 외환시장의 영향이 최소화돼야 한다 등 우리나라는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서 기본적으로 3가지 원칙하에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3500억 달러 투자, 외환시장 영향 최소화 등에 대해서 지속적인 협상을 진행한 결과 미국 측에서 외환시장 영향에 대해 나름대로 이해가 된 부분들이 상당히 있고 그런 바탕에서 지금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저희 입장에서는 그런 (현금투자)규모들이 좀 작아져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고 미국은 그것보다는 좀 더 많아야 되는 것 아니냐를 두고 양측이 서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구체적인 협상 내용을 묻는 질문에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 말하지 못하는 것을 양해해달라"며 "마지막까지 우리 입장이 관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는 과정이라고 이해해달라"고 답했다.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이 "이재명 대통령이 CNN에 출연해 한미 관세협상 타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발언한 것이 맞느냐고 묻자 김 장관은 "그런거 같다. 현재는 맞다"고 했다. 또 김 의원이 "한국이 8년에 걸쳐 매년 250억달러씩 2000억달러를 분산 투자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은 사실인가"라고 질의하자 김 장관은 "확인해드릴 수 없다"면서도 "300억 달러를 현금으로 투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미국에 대한 투자가 외환시장에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외환 시장과 관련된 부분은 관계당국과 협의해서 포지션을 정한 상황으로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답변하기 곤란하다"고 했다.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민들 입장에서는 3500억 달러가 500조원 정도인데 이걸 선투자하라는 게 국민 감정을 떠나서 불가능하다는 것을 다 알고 있다"며 "미국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장관은 "미국도 어느 정도 이해가 돼 있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허 의원이 "APEC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미 관세협상의 문서화가 가능하냐"고 묻자 김 장관은 "예단하기는 쉽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김 장관은 "미국 측 입장을 받아들이기에 국민 경제나 우리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을 때 쉽지 않은 상황이고 저도 역사적인 책무의식을 가지고 협상에 임하고 있다"며 "제가 할 수 있는 한 우리 국익과 국민들의 삶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안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철규 위원장이 "언론에 보도되고 있는 것처럼 한미 협상이 진전되고 있는 것은 맞는가"라고 묻자 김 장관은 "과거의 이야기도 있는 것 같고 앞으로 진행되는 부분이 맞물려 있어서 답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협상 진전 여부에는 "그렇다"고 했다. 그는 또 "자동차 업계가 수출 현장에서 피해를 감내하는 부분은 무겁게 생각한다"며 "오랜 시일이 걸리지 않도록 접점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장관과 대미협상에 동행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새벽 귀국 직후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을 만나 "많은 부분에서 의견이 좁혀져 있다"면서도 "마지막에 가장 중요한 한두 가지에서 양국 입장이 끝까지 대립하는 형국인데 전형적인 협상의 모습"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 경주 APEC과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협상 타결 가능성을 묻는 질문엔 "이제 추가로 대면 협상할 시간은 없다"며 "APEC 계기 타결을 기대한다면 갈 길이 멀다"고 답했다. 다만 "협상이라는 것이 막판에 또 급진전 되기도 하기 때문에 끝까지 노력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2025-10-24 15:56:22 한용수 기자
기사사진
KX이노베이션, KX하이텍 지분 3.7% 매각…“신사업 재원 마련 차원”

KX이노베이션(KX)은 보유하던 계열사 KX하이텍의 보통주 약 3.7%를 처분할 계획이라고 24일 공시했다. KX는 이번 일부 지분 처분을 단순한 수익 실현 측면의 매각이 아닌 회사 전반의 신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 목적으로 진행했다. 처분 금액은 약 24억 원 규모이며, 주식 매각 후 KX가 보유한 KX하이텍의 지분은 총 35% 로 단독 지배구조 체제를 그대로 유지한다. KX에 따르면 회사는 이미 수년 전부터 글로벌 종합 레저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하고, 국내 3개 골프장 운영에 이어 일본과 베트남 등지로 사업 무대를 확장하고 있다. 지난 5월 일본 고베 지역의 63홀 초대형 골프장 '토조노모리CC'의 경영권을 확보했으며, 베트남 후에(Hue) 지역에 36홀 규모의 골프장과 호텔, 상업시설 등을 포함한 복합 레저 리조트 개발을 추진 중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최근 행정적 인허가 절차를 모두 완료했으며, 오는 2026년 초 착공을 앞두고 있다. KX는 비(非)레저 부문에서도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KX는 설립 이후 현재까지 방송 송출·채널 운영에서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KX이노베이션을 필두로 반도체 제조공정에 필수적인 부품 소재를 제조하는 KX하이텍을 통해 글로벌 시장 입지를 확대 중이다. 아울러 네트워크 보안 전문기업 KX넥스지는 양자내성암호(PQC) 기술을 활용한 VPN솔루션으로 금융·공공시장에서 기술력을 입증 받고 있다. KX는 이번에 확보한 재원을 반도체, 보안, 미디어 등 유관 사업 분야에 투자해 신사업 확장과 함께 새로운 성장 동력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KX 관계자는 "앞으로도 레저·비레저 부문 모두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한 모색과 과감한 투자로 주주가치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10-24 15:55:20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코스피, 4000선 코앞...장중 3950선 터치하며 최고치 경신

코스피가 3940선에 마감하면서 '사천피'(코스피 4000포인트)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이제 약 60포인트만 남은 것이다. 장중에는 3950선을 넘기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다. 24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96.03포인트(2.50%) 오른 3941.59에 장을 마쳤다. 전날 1% 수준의 하락세를 보였던 코스피는 이날 1.24% 급등한 3893.23에 개장한 뒤 장중 3951.07까지 치솟았다. 장중·종가 역대 최고치를 모두 갈아치운 것이다. 기관은 1조4053억원, 외국인은 5810억원을 순매수하면서 지수를 끌어올렸다. 반면, 개인은 2조56억원을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반도체와 2차전지주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LG에너지솔루션(9.94%)이 가장 큰 폭으로 급등했으며, SK하이닉스(6.58%)도 '50만닉스'에 안착했다. 삼성전자(2.38%)와 삼성전자우(1.96%)도 강세를 보였다. 이외에도 두산에너빌리티(6.03%), HD현대중공업(2.95%)이 오른 반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3.43%)는 하락했다. 상승종목은 476개, 하락종목은 408개, 보합종목은 47개로 집계됐다. 코스닥 지수는 전일보다 11.05포인트(1.27%) 상승한 883.08에 마침표를 찍었다. 기관은 1586억원을 사들인 가운데,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109억원, 383억원을 팔아치웠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2차전지주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이날 에코프로비엠(8.28%)과 에코프로(8.34%)는 나란히 8%대 급등세를 보였다. 바이오 관련주에서는 HLB(2.71%)와 펩트론(0.19)만 오르고 전부 떨어졌다. 알테오젠(-1.55%), 파마리서치(-2.84%), 리가켐바이오(-1.04%) 등이다. 상한종목은 5개, 상승종목은 727개, 하락종목은 886개, 보합종목은 114개로 집계됐다. 임정은 KB증권 연구원은 "미중 협상 기대감과 반도체주 강세 흐름이 재개되면서 종가 기준 코스피는 3940선을 돌파했다"면서 "코스피가 4000포인트를 눈앞에 둔 가운데, 한미 관세 불확실성이 돌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짚었다. 이어 그는 "다음 주에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BOJ) 등의 글로벌 통화정책 이벤트도 대기하고 있는 만큼 주목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5원 내린 1437.1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10-24 15:54:48 신하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