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상어' 핑크퐁 "글로벌 엔터 테크 도약"...몸값 적정성은 '글쎄'
핑크퐁과 아기상어, 베베핀 등의 지적재산권(IP)을 중심으로 성장해 온 더핑크퐁컴퍼니가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다. 희망 공모가 산정에 있어서 산리오, 드래곤볼 등이 비교군으로 선정되면서 적정성 논란이 거론되고 있지만, 더핑크퐁컴퍼니는 글로벌 엔터 테크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민석 더핑크퐁컴퍼니 대표가 3일 서울 여의도 CCMM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더핑크퐁컴퍼니는 전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 쌓아온 IP 성공 경험과 인공지능(AI), 데이터 기술 역량을 결합해, 글로벌 엔터 테크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며 향후 기업 비전과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2010년 설립된 더핑크퐁컴퍼니는 ▲핑크퐁 ▲아기상어 ▲호기 ▲베베핀 ▲씰룩 등 글로벌 IP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대표 콘텐츠 '핑크퐁 아기상어 체조(Baby Shark Dance)'는 60개월 연속 전 세계 유튜브 조회수 1위를 기록 중이며, 전체 유튜브 채널 누적 구독자 2억8000명, 조회수 1900억회를 돌파했다. 설립 초기부터 'Born Global' 전략을 기반으로 244개국·25개 언어 현지화 체계와 글로벌 유통망을 구축해 왔으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2025년 상반기 연결 기준 해외 매출 비중 76%, 콘텐츠 매출 비중 68%, 영업이익률 약 20%를 기록했다. 다만 성현동 KB증권 연구원은 "해외매출 비중이 2024년 74.2%, 올해 75.6% 수준으로 환율변동에 따른 손익 변동성, 특정 영상 플랫폼의 과점화에 따른 콘텐츠 공급자의 협상력 약화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짚었다. ◆공모가 적정성 논란...'아기상어' 비교군이 헬로키티·하츄핑? 공모가를 두고 적정성 논란도 대두되고 있다. 회사는 희망공모가를 3만2000원에서 3만8000원으로 책정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더핑크퐁컴퍼니는 주당 가치 평가를 위해 이미 상장돼 있는 유사 회사를 이용한 상대가치 평가법(EV/EBITDA)을 사용했는데, 비교군으로 ▲SAMG엔터(티니핑 등) ▲카도가와(KADOKAWA ) ▲산리오(SANRIO) ▲토에이애니메이션(TOEI ANIMATION) 등 4개사를 선정했다. 캐릭터 IP 중심 기업이라는 것은 동일하지만 규모와 수익성에서는 격차가 있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산리오의 시가총액은 약 14조원대로, 4600억원에서 5400억원대로 예상되는 더핑크퐁컴퍼니와 비교가 어렵다고 보는 것이다. 할인율도 보수적으로 적용됐다는 의견이 나온다. 더핑크퐁컴퍼니가 적용한 할인율은 28.67%~15.30% 수준인데, 지난달 1일 상장한 명인제약은 47.6%~32.4%의 할인율을 적용했다. 이날 상장한 노타의 할인율은 35.5%~22.7% 수준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AI와 데이터를 결합한 새로운 콘텐츠 제작 체계가 함께 공개됐다. 더핑크퐁컴퍼니가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테크 기업으로의 역량도 갖춰 나가고 있다는 의미다. 김 대표는 "더핑크퐁컴퍼니는 단순히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회사가 아니라, 데이터와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콘텐츠 비즈니스를 설계하는 기업"이라며 "소수의 작가주의에 머무르기보다 콘텐츠의 폭넓은 노출과 소비자의 선택을 통해 가치를 증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핑크퐁컴퍼니는 축적된 성공 IP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획 단계부터 흥행 가능성을 검증하는 데이터 기반 글로벌 제작 시스템을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2014년 출시된 '핑크퐁'이 유튜브 구독자 1000만명 달성까지 53개월이 걸린 반면, 2022년 선보인 '베베핀'은 14개월 만에 같은 성과를 달성하며 데이터 중심 제작 체계의 효과를 증명했다. 또한, AI 번역·더빙 툴 'OneVoice'도 소개됐다. 'OneVoice'는 다국어 현지화 과정의 효율을 높이고 제작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자체 AI 솔루션으로, 향후 IP 제작 과정 전반에 적용될 예정이다. 더핑크퐁컴퍼니의 일반청약은 오는 6일부터 7일, 양일 간 진행되며, 이번 상장에서 200만주를 발행할 계획이다. 희망공모가 상단인 3만8000원 기준 19만원의 증거금(최소청약단위 10주)이 필요하며 청약은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 2곳에 할 수 있다. 희망공모가 상단 기준 예상 시가총액은 5453억원이다. 더핑크퐁컴퍼니는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신규 IP 개발 및 출시 ▲IP 제작 프로세스 고도화 ▲프리미엄 애니메이션 제작 ▲글로벌 공간 기반 엔터테인먼트(LBE) 사업 확장에 투입할 예정이다. 더핑크퐁컴퍼니는 2~3년마다 신규 IP를 선보이며, 오프라인 체험 중심의 글로벌 LBE 사업을 병행해 브랜드 경험과 팬덤을 동시에 확대하면서 글로벌 IP 사업의 성장성을 가속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