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바이오, '헬스케어' 키워..."수익 다변화로 성장 가속"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전통적인 의약품에서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활발하게 확장한 데 이어, 이를 새 캐시카우로 정착시키며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30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이 생활건강 사업을 전략적으로 키우며 수익 모델을 다변화하고 있다. 유한양행은 올해 1분기 생활건강 사업에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46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생활건강 사업의 활약 덕분에, 최근 3년간 매출은 2023년 1813억원, 2023년 2153억원, 2024년 2406억원 등을 기록했다. 유한양행은 신제품을 지속 출시하고, 지난해 4월에는 기존 '생활유통사업부'를 '생활건강사업부'로 개칭하는 등 사업 경쟁력을 높였다. 실제로 혈당관리 유산균 '당큐락', 약국용 혈당측정기 '유한당체크' 등 당뇨병 환자를 비롯해 일반 소비자들이 일상에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제품을 내놓으며 소비자 접점을 대폭 늘렸다. 올해 들어서는 오상헬스케어와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오상헬스케어에 당큐락 해외 판매권을 부여하는 등 유한양행은 당큐락을 앞세워 글로벌 진출도 노리고 있다. 당큐락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신규 아이템을 발굴할 계획이다. 최근 선보인 '유한당체크'을 통해서도 오상헬스케어와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해당 제품은 체외진단 분야 사업을 영위해 온 오상헬스케어가 개발했고, 유한양행이 판매한다. 동국제약의 헬스케어 사업도 전체 실적을 견인하는 핵심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동국제약의 헬스케어 사업 매출은 7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늘었다. 2017년부터 2024년까지 해당 매출의 연평균 성장률은 19%에 달하며 동국제약 사업부 중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해 왔다. 이에 대해 동국제약은 기존 일반의약품 브랜드를 생활용품 브랜드로 확장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상처 관리에 쓰이는 마데카솔에서 피부 트러블 브랜드 마데카 메디패치로 제품군을 넓혔다. 생약성분 잇몸약 인사돌은 잇몸건강 브랜드 덴트릭스로 특화됐다. 혈액순환 일반의약품 센시아는 혈액순환을 개선해 주는 의료기기 압박밴드, 압박스타킹 등으로 파생됐다. 특히 더마화장품 브랜드 센텔리안24는 동국제약의 독자 원료와 기술력을 집약해 차별화한 브랜드다. 대표 제품인 마데카 크림의 경우, 2015년 출시 후 지난해 누적 판매량 6800만 개를 돌파했다. 이어 올해 3월 기준으로 누적 판매량 7300만 개를 넘기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마데카 크림은 브랜드 핵심 성분인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함유해 피부 탄력, 진정, 보습 효과를 모두 갖췄다. 이에 힙입어 센텔리안24 브랜드는 2015년 4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누적 매출액 1조원을 달성했다. 동국제약은 현재 미국 아마존, 일본 큐텐 글로벌 채널에서 유통망을 구축하는 등 센텔리안24 수출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바이오제약기업 메디톡스도 건강기능식품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메디톡스는 최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프로바이오틱스 'MT961'을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았다. 올해 4월에는 MT961 특허 등록도 완료했다. 메디톡스는 오는 2026년 상반기 'MT961'를 적용한 건강기능식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해당 원료는 전임상시험, 인체적용시험 등을 통해 우수성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메디톡스에 따르면, 체질량지수 25kg/㎡ 이상 30kg/㎡ 미만의 만 19~70세 성인 남녀 120명에서 12주간 매일 섭취시 몸통, 팔, 다리 등의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이 감소했다. 메디톡스는 앞서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능을 가진 미생물,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키트 등의 특허를 등록하고 숙취해소용 유산균제 '칸의 아침'를 선보인 바 있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체지방 감소 프로바이오틱스 'MT961'은 오랜 기간의 연구 끝에 개발한 핵심 미래 성장 동력"이라며 "칸의 아침으로 쌓은 노하우로 후속 제품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