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퓨터 위협 커지자… 통신 3사, ‘해킹 불가’ 양자암호통신 사활
양자컴퓨터의 위협이 현실로 다가오면서, 통신 3사가 '해킹 불가능' 기술로 불리는 양자암호통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양자암호통신은 광자의 양자 상태를 활용해 해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통신망을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국내에서는 정부와 통신사가 협력해 양자키분배(QKD) 기술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9일 <메트로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해보면, 양자컴퓨팅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기존 암호체계의 무력화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통신 3사는 양자암호통신 기술 경쟁력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통신업계가 양자통신과 양자암호 기술 개발에 역점을 두는 이유는 양자컴퓨터가 기존 공개키 기반 암호(RSA, ECC 등)를 무력화할 가능성 때문이다. 이에 해킹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양자암호 기반 차세대 보안망 구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LG유플러스는 글로벌 양자 기술 표준화를 추진하는 민간 연합체 'QuINSA(퀸사)'의 초대 의장사로 선정돼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퀸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운영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미래양자융합센터(QCI) 등이 참여하는 글로벌 민간 협의체로, 양자통신·센서·컴퓨팅 등 산업 전반에 걸친 기술 표준화를 목표로 2023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퀸사의 의장을 맡은 LG유플러스 주엄개 유선사업담당(상무)은 "양자 기술의 국제표준화는 민간이 주도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LG유플러스는 퀸사의 의장사로서 실증된 기술력과 상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민관 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생태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의장사 선정을 계기로 LG유플러스는 기술 주도권 경쟁에서 선도적 입지를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 내용은 최근 열린 '퀀텀코리아 2025'에서도 주요 화제로 떠올랐다. 통신 3사는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퀀텀코리아 2025'에 참가해 핵심 기술을 전시했다. 퀀텀코리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양자 과학기술 전문 박람회로, 최신 기술 동향과 산업 적용 가능성을 폭넓게 조망하는 행사다. SK텔레콤은 양자 연합체 '엑스퀀텀'의 멤버사들과 함께 부스를 구성해 기술과 제품을 소개했다. 엑스퀀텀은 지난 3월 SK텔레콤이 양자 분야 핵심 기술 및 부품 보유 기업들과 함께 설립한 연합체로, 에스오에스랩, 엑스게이트, 우리로, 케이씨에스, 노키아, IDQ코리아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제로트러스트 기반의 차세대 가상사설망(VPN) 보안 제품 'Q-SDP'를 처음 공개했다. 이는 소프트웨어 정의 경계(SDP) 기술에 양자내성암호(PQC)를 결합한 원격 접속 보안 솔루션이다. KT는 '양자가 여는 새로운 시대, KT가 연결한다'를 주제로 부스를 꾸려 양자 통신장비의 동작 원리를 시각화하고, 해킹 발생 시에도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양자암호통신망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하이브리드 양자암호 전용회선, 양자 VPN 등 자사 보유 기술을 소개하고, 국내외 14개 파트너사와 협력해 개발한 다양한 양자암호통신 장비도 함께 전시했다. LG유플러스는 양자내성암호 기반 보안 기술을 실물 업무 환경에 접목한 체험형 부스를 운영했다. 사무실과 원격근무 환경을 양면 구조로 구현한 공간에서, 클라우드 기반 보안 플랫폼 'U+SASE'와 PQC 기반 인증 솔루션 '알파키'를 중심으로 실시간 보안 흐름과 인증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U+SASE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엔드포인트, 보안관제를 통합한 제로트러스트 보안 플랫폼이며, 알파키는 생체인증, 패스키, PIN 등 다양한 인증 수단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반 2차 인증 솔루션이다. 계정 생성부터 퇴사자 접근 차단까지 자동화된 보안 관리 기능도 제공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공동 발간한 '양자정보기술백서'에 따르면, 글로벌 양자통신 시장은 지난해 5조209억원에서 연평균 25.6%씩 성장해 2030년에는 24조7368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양자통신 시장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약 466억원으로 추산된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