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LGU+, 스마트홈 기기 '홈보이 G패드Ⅱ' 출시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LG유플러스는 전화는 물론 홈사물인터넷(IoT), 비디오포털, CCTV, 전자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홈 기기인 '홈보이 G패드Ⅱ'를 출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제품은 작년 1월 선보인 홈보이 G패드의 두 번째 모델로 LG전자의 'G패드 8.0'을 채택해 안드로이드 5.0(롤리팝)에 기반을 둔 운영체제( OS)에 8인치 HD급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외장 메모리는 128GB(기가바이트)까지 확장할 수 있고 업계 최초로 8인치 패드에 표준 USB메모리를 적용해 키보드, 마우스, 외장하드 등과의 호환성을 높여 활용성을 극대화했다. 또 학생들이 EBS 방송 시청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전용 스타일러스 펜을 추가하고 한 화면을 둘로 나눠 쓸 수 있는 듀얼 윈도 기능도 탑재됐다. 음향을 담당하는 스피커 스테이션은 오디오 업계의 거장 마크 레빈슨이 튜닝해 디자인이 간결해졌다. 요금은 기존 모델에서 25% 인하해 신규 가입 고객은 월 8250원(3년 약정 기준·부가세 포함)에 패드와 스피커 스테이션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가입자 간 음성통화와 문자, 채팅 서비스 등 통화 부가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된다. LG유플러스는 신형 홈보이 단말기 출시에 맞춰 비디오, 음악, 전자책, EBS 강의 등의 콘텐츠를 소비자 취향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월 6900∼1만8000원의 선택형 요금제 6종도 함께 선보인다.

2015-10-15 14:45:02 정문경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Korea University "Scholarships for outstanding students will be abolished and we will provide benefits to the students who are in low-income group"

[Global Korea]Korea University "Scholarships for outstanding students will be abolished and we will provide benefits to the students who are in low-income group" Korea Univ. presented a reorganization plan on scholarship that focuses on the students who are in financial difficulties abolishing the scholarship for outstanding students at the same time from next semester. This plan tries to focus on providing a scholarship to the students who are having a difficulty of studying due to their current economic status rather than providing it to the students for their outstanding performance. Nonetheless,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whether the abolition of scholarship for outstanding students is a preferable option or not since it could result in reduced motivation for students. Yum Jae-ho, the president of Korea university, said in a press conference at 2pm on the 14th that "Moving away from the system that provides financial supports to the students with outstanding grades we plan to prevent the situations where students who decide to drop out or spend less time on studying because of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from happening." Korea Univ. named its scholarship system the "freedom, justice and truth scholarship system." 3.5 billion won was allocated to the freedom scholarship that supports students' activities and the students who are in financial difficulties. The justice scholarship that 20 billion won is allocated to is provided to the students who are suffering from financial difficulties so that they would not have to decide to drop out or spend less time on studying. 고려대 "성적장학금 폐지, 저소득층에 혜택 초점" 고려대학교가 국내 대학 최초로 내년 1학기부터 성적장학금을 없애는 한편 가계 곤란 학생들에게 초점을 맞춘 장학제도 개편안을 발표했다. 단순히 공부 잘하는 학생이 아니라 각종 형편 때문에 학업이 어려운 학생에게 장학기금을 집중시킨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성적장학금 폐지가 '학업 동기부여 단절'이라는 측면에서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한 논란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염재호 고려대 총장은 14일 오후 2시 고려대 본관 3층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공부를 잘하면 금전적으로 보상을 받는 체제에서 벗어나 가계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생활비를 마련하고자 학업에 소홀하거나 중단하는 일이 없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이번에 장학제도를 개편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고려대는 이번에 새로운 장학제도를 '자유·정의·진리 장학제도'로 명명했다. 자유장학금은 학생자치활동 장학금과 근로장학금으로, 35억원이 배정됐다. 200억원이 편성된 정의장학금은 경제적 문제가 학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학생들에 장학금을 지원한다. [!{IMG::20151015000094.jpg::C::480::}!]

2015-10-15 14:41:25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라이엇 게임즈 임직원 창덕궁 문화유적지 청정활동 진행…2012년 7월 경복궁 환경정화 이후 7회째

[메트로신문 양성운 기자]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LoL)'의 개발 및 유통사인 라이엇 게임즈(한국대표 이승현) 임직원들이 지난 14일 종로구에 위치한 창덕궁을 찾아 문화유적지 청정활동을 펼쳤다. 문화재청과 협약한 '한 문화재 한 지킴이'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번 봉사활동은 라이엇 게임즈의 적극적인 문화재 보호 의지를 반영한 사회환원활동으로 매년 임직원 참여 하에 진행되고 있다. 금번 창덕궁 청정활동에는 이승현 라이엇 게임즈 한국대표와 권정현 e스포츠커뮤니케이션본부 총괄 상무를 비롯한 전 임원진과 직원 70여명이 참여했으며, 낙엽 쓸기 및 궐내각사, 주합루 및 희정당 등 창덕궁 내 건물 곳곳의 먼지를 털고 쓸어내는 작업 등 다양한 내용의 활동이 병행됐다. 또 청정활동 외 창덕궁 곳곳을 돌아보며 우리 문화유적지의 가치와 조상의 지혜를 실제로 배우는 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마련됐다. 사적 제 122호인 창덕궁은 라이엇 게임즈가 총 2회에 걸쳐 플레이어 대상 역사 교육 프로그램 진행한 바 있는 곳으로 올해는 청정활동을 통해 문화재 보호 활동을 지속 이어가게 됐다. 라이엇 게임즈 임직원이 '한국 문화유산 보호 및 지지'를 위해 자원봉사로 문화유적지 청정활동을 벌인 것은 이번이 7번째다. 지난 2012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경복궁을 방문해 궁궐 안 환경정화활동을 진행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 5월에도 80여 명의 라이엇 게임즈 임직원이 조선왕릉 헌인릉을 방문해 청정활동을 펼친바 있다. 봉사활동에 참여한 이승현 라이엇 게임즈 대표는 "문화유적지 청정활동은 참여할 때마다 우리 스스로 보람과 뿌듯함은 물론 뛰어난 한국 문화유산에 대한 감명을 받게 되는 기회"라며 "앞으로도 최고의 게임 경험을 선사해 드리기 위한 노력과 동시에, 한국 문화유산 보호 및 지원을 위한 다양한 활동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라이엇 게임즈는 문화재와 관련된 사회환원활동을 꾸준히 지속해 왔다. 게임 내 콘텐츠 판매금액을 문화재 보호 사업에 사용하겠다는 약속을 실천해 지난해까지 총 18억원 이상의 사회환원기금을 문화재청에 기부했으며, 지난 9월에는 문화재청과 진행한 후원 약정식을 통해 주요 사업에만 8억 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후원 계획을 발표, 실천하고 있다.

2015-10-15 14:30:52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이대 교수 74명 "시대착오·비교육적·비상식적" 국정 교과서 집필 거부

이대 교수 74명 "시대착오·비교육적·비상식적" 국정 교과서 집필 거부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이화여자대학교 교수들이 정부의 중고교 역사교과서 국정 전환에 대해 "시대착오적이며, 비교육적이며, 21세기 국제적 상식에 현저히 어긋나는 것"이라면서 집필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대 교수 74명은 15일 성명을 내고 정부의 국정 교과서와 관련, "한국사 국정화가 국제적 상식과 헌법가치에도 걸맞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면서 "오직 독재국가와 전체주의 국가들 만이 역사교과서와 역사교육을 독점하고 있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해방 후 검인정 제도가 유신시대의 국정화로 바뀌었고, 민주화와 함께 검인정 제도로 변화했다"고 지적한 뒤 "집필을 포함해 국정 교과서와 관련된 모든 협력을 거부하는 뜻을 밝힌다"고 덧붙였다. 이날 부산대학교 역사학 관련 교수 24명도 15일 성명을 내고 "정치적인 외압을 막아 교육의 정치적 중립을 확보해야 할 교육부가 앞장서서 헌법 정신을 훼손하고 나선 것"이라며 국정 교과서에 반대 입장을 피력한 뒤 "국정 교과서에 관련된 모든 절차에 대한 협력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서울대 교수들도 국정 교과서 집필 거부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 정용욱 국사학과 교수는 "집필에 참여하지 않는 방안을 교수들과 의논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대 사학과 교수의 집필거부는 계속 될 전망이다. 현재까지 강원대·전남대·제주대 등 국립대 사학과 교수들이 국정 교과서 추진에 반대 입장을 밝혔으며 사립대 중에서는 연세대, 고려대, 경희대, 서울여대 등으로 점차 늘고 있다.

2015-10-15 14:26:03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군납유류 담합' 한화 회장 계열사, 현대오일뱅크에 소송비용 배상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현대오일뱅크에 소송비용을 배상하게 됐다. 대법원 2부(주심 조희대 대법관)는 15일 현대오일뱅크가 김 회장 등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깨고 승소 취지로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현대오일뱅크는 1999년 김 회장 등으로부터 한화에너지 주식을 사들여 합병했다. 주식양수도계약에는 한화에너지가 일체 행정법규를 위반한 사실이 없지만 계약 이후 이 같은 사항이 뒤늦게 발견돼 현대오일뱅크에 손해가 발생하면 배상한다는 진술·보증조항이 포함돼 있었다. 그러나 인수합병 이후 한화에너지는 1998년∼2000년 현대오일뱅크와 SK주식회사, LG칼텍스 정유주식회사, S-오일 주식회사와 함께 군납유류 입찰을 담합한 혐의로 공정위 조사를 받았고, 2000년 475억여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이후 국가는 2001년 한화에너지 등의 군납유류 입찰 담합으로 손해를 봤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냈고 한화에너지는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벌금 2억원의 약식명령을 받기도 했다. 담합행위와 관련해 각종 소송을 치르며 변호사 비용과 벌금 등을 지출한 현대오일뱅크는 진술보증조항을 근거로 322억여원을 물어내라며 김 회장 등을 상대로 소송을 냈다. 1심은 공정위를 상대로 한 과징금 취소소송과 국가가 제기한 손배소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손해에 대해서는 배상을 구할 수 없다고 판단, 그간 지출한 변호사 비용과 벌금 2억원 등 총 8억2730만원을 물어주라고 판결했다. 2심은 현대오일뱅크가 한화에너지의 군납유류 담합 사실을 인수합병 이전에 이미 알고 있었으면서도 이를 문제 삼지 않았던 점을 고려할 때 뒤늦게 배상책임을 물을 수는 없다며 1심 판단을 뒤집었다. 그러나 대법원은 양측이 계약체결 당시 진술보증 위반 사실을 알았는지와 관계없이 손해를 배상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계약내용을 서면으로 작성하면 문언의 객관적 의미가 명확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내용을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며 "양측이 체결한 계약서에는 진술·보증조항 위반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손해배상책임이 배제된다는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일단 유효하게 성립한 계약상의 책임을 신의칙과 같은 일반원칙에 의해 제한하는 것은 자칫하면 사적 자치의 원칙이나 법적 안정성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 극히 예외적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15-10-15 13:59:4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고법, '채동욱 내연녀' 임여인 집행유예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채동욱(57) 전 검찰총장의 내연녀로 지목된 임모(56)씨가 항소심에서도 집행유예를 받았다. 임씨는 가정부를 협박하고 그에게 빌린 돈을 갚지 않은 혐의 등으로 재판을 받아왔다. 서울고법 형사3부(강영수 부장판사)는 15일 폭력행위 등 처벌법상 공동공갈과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 1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추징금 1400만원을 선고받은 임씨의 2심에서 임씨와 검찰의 항소를 모두 기각했다. 재판부는 "임씨가 법조계 공무원과의 친분을 이용해 구속영장을 기각하거나 사건을 무마해주는 명목으로 금품을 받았다. 이는 수사기관과 사법부의 법집행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훼손하고 법 체계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범죄"라고 밝혔다. 재판부는 다만 "적극적으로 인맥을 과시하며 청탁을 유도한 것은 아니고 공동공갈 범행에도 소극적으로 가담했다"며 "무엇보다도 자신의 가정사와 자녀를 지키고자 하는 어머니의 맘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며 1심 형을 유지했다. 임씨는 채 전 총장과의 친분을 이용해 사건이 잘 처리되게 도와주겠다며 지인으로부터 1400만원을 받은 혐의로 지난해 5월 불구속 기소됐다. 그는 자신의 집에서 일했던 가정부 이모(63)씨에게 채 전 총장과의 관계를 발설하지 말라고 협박하고 그에게서 빌린 돈 2천900만원을 갚지 않은 혐의도 있다.

2015-10-15 13:45:46 연미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