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Korea] KT value package phone business, deficit of 7 billions. 'Minus touch' -Hwang Chang Kyu
KT value package phone business, deficit of 7 billions. 'Minus touch' -Hwang Chang Kyu KT released a value pack brand 'M mobile' but it only recorded the deficit of 7 billion wons which brought the managing ability of Hwang chang Kyu, KT CEO, into question. KT has been running the value pack phone business (MVNO) getting cost back by lending out communications network. He put money into the MVNO in a tie-up period and he is causing the poor management by this self-destructive business. According to the first-half-report from the electronic announcement system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on the 27th, KT M mobile, a subsidiary company that is running the value phone business, recorded a net loss of 6,992 million won during the term. KT M mobile is the one that transfered the value phone business, initiated in July by KTIS( a subsidiary companycustomer sevice and wireless business), into its corporate body. KT M mobile, entirely KTIS, made only 1,499 million wons of net profit in the second-half last year after it decided to initiate the value phone business, which dropped by 6,409 million wons compared to the first-half in 2014./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KT 알뜰폰 사업 70억원대 적자…황창규 회장 '마이너스의 손' KT가 지난해 7월 알뜰폰 브랜드 'M모바일'을 출시했지만 올해 상반기에만 70억원대 적자를 기록하면서 황창규 KT 회장의 경영능력이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KT는 그동안 통신망을 빌려주고 대가를 받는 알뜰폰 사업(MVNO)을 해왔다. 정체기에 접어든 알뜰폰사업에 투자해 '제살 깎아먹기 식' 사업으로 경영부실을 초래하고 있다.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KT가 알뜰폰 사업을 운영 중인 계열사 KT M모바일이 상반기에 69억9200만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KT M모바일은 KT의 계열사 KTIS(고객서비스·무선 유통사업자)가 지난해 7월부터 시작한 알뜰폰 사업을 지난 6월 1일 별도 법인으로 이관한 회사다. 이관 배경에 대해서 KT는 "MVNO사업 분야의 역량 강화"라고 밝혔지만 오히려 역량이 약화되고 있다. KT M모바일 전신인 KTIS는 알뜰폰사업 진출을 결정한 이후 지난해 하반기 당기순이익이 2014년 상반기와 비교해 64억970만원이 떨어진 14억9900만원에 그쳤다. /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0830000057.jpg::C::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