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 관리 소홀시 재교정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 관리 소홀시 재교정 [메트로신문 최치선 기자] 청소년기에 치아교정을 받았지만 성인이 된 후 다시 치아교정을 받는 경우가 있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 관리를 소홀히 한 이유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유지장치는 치아교정장치를 제거한 후 바로 치아에 장착해 최소 1년 이상 사용한다. 고정식으로 되어 있는 치아교정장치와는 달리 유지장치는 탈부착이 가능해 장치 탈부착 과정을 귀찮아하거나 잊어버리는 등 관리가 소홀해지기 쉽다. 특히 청소년기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유지장치 관리를 더 귀찮아하는 경향이 높다. 일반적으로 치아교정은 영구치가 완성되는 초등학교 6학년 전후로 9~15세가 적당하다. 하지만 이 시기는 치아교정장치로 인한 발음이나 음식물 섭취의 불편함, 친구들의 놀림, 학업스트레스 등 치아교정을 진행하는 2년여의 기간이 더 길게 느껴지고 귀찮아하기 쉽다. 부모의 관심과 신경이 없으면 아이들은 스스로 치아교정장치나 유지장치 관리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유지장치 관리는 치아교정장치만큼 중요하다. 바로 치아의 회귀성 때문이다. 치아는 교정 후에도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려는 회귀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현상은 교정장치를 제거한 직후부터 제거 후 6개월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다. 이때 치아가 다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치료결과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유지장치다.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 관리를 제대로 안 하면 힘들게 이동시킨 치아가 다시 흐트러지고 턱 모양도 틀어질 수 있다. 치아교정치료의 진정한 마무리는 교정장치를 뺄 때가 아니라 유지장치를 제거할 때다. 유지장치에 대한 관리소홀은 성인치아교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바쁜 직장생활이나 취업준비, 가정사 등으로 인해 탈부착 형식의 유지장치를 귀찮아한다. 하지만 유지장치에 대한 관리가 소홀해질수록 환자 본인이 부담해야 할 시간적 정신적 피해가 커진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보통 치아교정을 받으려면 1~2년 이상 치아교정장치를 부착한 후 1년 정도의 기간 동안 유지장치를 부착한다. 환자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치아교정을 받기 위해 보통 2~3년 이상이 소요된다. 힘들게 치아교정을 받았지만 재교정을 받게 되면 이 기간과 과정을 다시 반복해야 한다. 한번 흐트러지기 시작한 치아는 다시 제대로 교정해주지 않으면 원래 상태보다 더 심한 상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장치 이물감이나 외부 시선을 다시 견뎌야 한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치아가 심하게 틀어지지 않았다면 교정이 필요한 부분에만 치아교정장치를 부착하는 부분교정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설측교정이나 투명교정 등 심미성이 우수하고 발음이나 이물감 등 불편함이 적은 치아교정법으로 치료가 가능해졌다. 특히 센트럴치과는 모든 교정장치에 3D 캐드캠(CAD/CAM) 디지털교정시스템을 적용해 100% 환자 맞춤형으로 치아교정을 진행한다. 또한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일반 교정에 비해 전체적인 치료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킬본(KILBON)'을 보유하고 있다. 킬본은 윗턱뼈부터 튀어나온 돌출입은 물론 얼굴이 길어지면서 잇몸이 과도하게 보이는 거미스마일, 무턱을 동반한 골격성돌출입까지 수술 없이 치아교정만으로 치료가 가능케 한 장치다. 치아는 물론 윗턱뼈까지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 심한 돌출입 환자들의 치료가 가능하다. 덧니를 포함해 흐트러지거나 벌어진 치아 등 일반적인 치아교정치료에 치료기간이 훨씬 짧아지고 치료효과도 높다. 센트럴치과 서울시청점 송정우 원장은 "재교정을 받는 환자 대부분이 유지장치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거나 잃어버리는 등 관리가 제대로 안된 경우가 많다"며 "유지장치를 잃어버리면 다시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춰 장치를 제작하기 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그 사이 치아의 회귀성 때문에 치아가 다시 흐트러지는 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귀찮더라도 유지장치는 식사와 양치할 때 외에는 항상 장착하고 양치할 때 유지장치도 깨끗이 닦아주는 것이 구강위생에도 좋다"고 조언했다.

2015-07-31 09:48:35 최치선 기자
기사사진
KT, 해운대서 'GiGA LTE 슬리퍼 이벤트' 진행

KT, 해운대서 'GiGA LTE 슬리퍼 이벤트' 진행 [메트로신문 임은정 기자] KT(회장 황창규)는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GiGA LTE의 기가급 속도를 고객들이 재미있게 체험할 수 있는 'GiGA LTE 슬리퍼 이벤트'를 다음날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GiGA LTE 슬리퍼 이벤트'는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을 방문한 모든 고객이 참여 가능하며 1차 '튜브 줄다리기 게임'과 2차 '1167보 발도장 이벤트'로 구성된다. '튜브 줄다리기 게임'은 2인이 대항해 끈으로 이어진 튜브를 착용하고 속도감 있게 전진해 GiGA LTE 깃발을 먼저 잡는 참가자가 승리하는 형태로 모든 참가자들에게 'GiGA LTE' 로고가 노출된 세련된 디자인의 GiGA LTE 슬리퍼가 제공된다. 튜브 줄다리기 승리자에게는 방수팩 경품과 함께 '1167보 발도장 이벤트' 참여 자격이 주어지는데, 만보기로 GiGA LTE 최고 속도인 1.167Gbps를 상징하는 1167보를 달성하고 개인의 SNS에 인증사진을 업로드하면 고급 비치타월을 부상으로 받을 수 있다. 또한 직접 경기에 참여하지 않은 고객에게도 프로모션 현장 혹은 슬리퍼로 찍힌 GiGA LTE 발자국 촬영 후 SNS에 업로드하면 선착순으로 GiGA LTE 슬리퍼를 준다. 박혜정 KT 마케팅부문 IMC센터 전무는 "하계 휴가철을 맞이해 연간 1500만명이 방문하는 대한민국 대표 휴양지에서 고객들이 GiGA LTE의 차원이 다른 속도를 쉽고 재미있게 체감할 수 있는 이벤트를 기획했다"며 "일상 속에서 고객들이 즐기며 자연스럽게 서비스 혜택에 공감할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5-07-31 09:35:56 임은정 기자
기사사진
KTH, 상반기 영업익 35억원…전년 比 15.1%↑

KTH, 상반기 영업익 35억원…전년 比 15.1%↑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KTH는 31일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이 3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1%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상반기 매출액은 735억원으로 전년(627억원) 대비 17.2%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39억원으로 지난해 80억원에 비해서는 51% 감소했다. KTH는 이는 지난해 상반기 kt캐피탈의 투자사업부문의 매각 이익이 일시적으로 당기순이익에 포함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T커머스 상반기 매출은 169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40% 가량 증가했으며, 컨텐츠유통, ICT 플랫폼 등 전 사업부문에서 매출이 고르게 증가했다. KTH측은 올해 상반기에는 K쇼핑 전문인력 충원, 신규 플랫폼 입점 등 K쇼핑 사업 확장을 위한 제반 비용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하여 성장성뿐 아니라 수익성 측면에서도 성과를 나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세영 KTH 사장은 "상반기에는 T커머스 사업의 신규 브랜드 K쇼핑 런칭과 플랫폼 확대, 차별화 서비스 등에 힘입어 매출이 꾸준히 증가했다"면서 "하반기에 맞춤형 쇼핑과 T커머스 간편결제 등의 서비스 차별화 및 모바일 서비스 개편, 채널 연동형 서비스의 도입 등으로 성장 흐름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5-07-31 09:01:41 정문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