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검찰, 박기춘 의원에 적용 '법률' 저울질…쟁점은 '대가성'

[메트로신문 김서이 기자] 억대 금품수수 혐의를 받고 있는 박기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29일 검찰의 소환조사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검찰이 법률 적용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 법 적용의 쟁점은 금품 수수의 '대가성'여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박 의원이 받은 금품이 사업 편의 대가였는지 조사한 뒤 직무 관련성이 드러나면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은 박 의원이 분양대행업체 I사 대표 김모(44)씨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건네받은 데 '대가성'이 있는 지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뇌물죄와 정치자금법 위반죄 중 적용 법률을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뇌물죄의 처벌은 불법 정치자금 수수죄에 비해 무겁다. 특가법상 뇌물죄가 적용되면 수뢰액이 1억원 이상일 경우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돼 있다. 불법 정치자금 수수죄의 법정형은 5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형을 내린다. 정치인의 불법적인 금품수수는 받을 당시 청탁 및 대가성 여부에 따라 뇌물죄와 정치자금법 위반죄로 나뉜다. 검찰이 박 의원을 소환 조사한 뒤 법을 적용하겠다는 것도 청탁 및 대가성 여부를 확실히 하겠다는 의미다. 일각에선 그러나 뇌물과 정치자금의 구별이 애매해 이를 핑계로 솜방망이 처벌을 할 거라는 자조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뇌물관련 의혹이 있는 사건에도 정치자금법을 적용해 논란이 된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검찰은 최근 이완구 전 국무총리와 홍준표 경남지사에게 뇌물죄에 비해 양형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정치자금법 위반죄를 적용했다. 두 사람이 경남기업의 사업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금품을 챙겼다기보다는 정치인으로서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쪽에 가깝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다 보니 검찰 내부 영장청구 기준에 맞춰 불구속 기소로 갔다. 이에 국민의 법감정을 훼손했다는 논란이 인 바 있다. 조승민 국가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로비의 제도화> 를 통해 "현행법 하에서 정치자금은 대가성 없이 무조건적으로 제공돼야 하다보니 정치자금 제공과 관련한 대가성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며 "국회의원 등 정치인의 경우, 정치자금과 대가성의 관계가 애매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넓게 보아서 대가를 전혀 바라지 않는 정치자금이 얼마나 있겠는가의 문제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2015-07-28 16:26:31 김서이 기자
기사사진
헌재로 간 '성공보수 무효판결' 위헌 심판 가능성은?

헌재로 간 '성공보수 무효판결' 위헌 심판 가능성은? 범법조계서 '한정위헌결정 가능성' 거론…헌재 법률 해석에 달려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대한변호사협회가 성공보수 약정을 무효로 본 대법원의 판결에 불복해 헌법소원을 제기한 가운데 헌법재판소가 이를 받아들여 심판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8일 범법조계에서는 변협의 주장이 헌법소원청구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헌재의 법률 해석이라는 난관을 거쳐야 한다는 전망이 나온다. 현행법은 법원의 판결에 대한 헌재의 위헌여부 심판을 사실상 금지하고 있다. 헌재가 어떤 법률을 적용하고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변협이 제기한 헌법소원의 운명을 가른다는 얘기다. 변협이 지난 27일 제기한 헌법소원의 핵심은 '대법원 판결 취소'와 '헌법재판소법 제68조 1항의 위헌 여부 확인' 등 두 가지다. 일단 변협의 헌법소원 핵심인 대법원 판결 취소에 대한 심판을 받기 위해서는 또 다른 헌법소원 항목인 헌재법 68조1항에 대한 헌재의 판단이 먼저 정립돼야 한다. 해당 조항은 '공권력에 의해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을 침해받은 사람은 법원의 재판을 제외하고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법원 재판에 대한 헌법소원이 원칙적으로 금지된 셈이다. 변협이 헌법소원을 내며 동 조항의 위헌 확인을 함께 요청한 이유다. 헌재로부터 이 조항에 대해 위헌성을 인정받거나 최소한 이 조항이 대법판결에 대한 헌법소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보장이 돼야 한다는 의미다. 법학 전문가들은 헌재가 헌법소원 청구를 받아들인다면 한정위헌결정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한정위헌결정은 법원의 판결에 쓰인 법률의 개념이 부정확하거나 다의적으로 해석이 되는 경우, 법규의 해석이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위헌을 선언하는 결정을 의미한다. 헌재가 이를 토대로 변협의 청구를 받아 들인다면 헌재법에 저촉되지 않는다. 헌재법이 금지하는 재판소원은 재판 자체에 대한 위헌 여부를 가린다면 한정위헌결정은 법률 조항에 대해 판단하는 것으로 성격이 다르다. 그러나 헌재가 위헌결정을 내려도 대법원은 이를 근거로 한 재심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법률해석이나 적용 권한을 최고법원인 대법원의 전권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헌재가 위헌으로 결정해도 대법 판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얘기다. 범법조계 일각에서 변협의 헌법소원 제기를 관심 있게 지켜보는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헌법 전문학자인 황도수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헌재가 한정위헌결정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한 뒤 "이를 토대로 청구를 받아들인다면 문제가 되는 68조 1항은 상관이 없어진다"고 말했다. 다만 황 교수는 "헌재가 변협의 헌법소원을 어떤 법률로 해석하느냐에 달려있다. 재판관마다 의견이 갈리는 어려운 사안이 될 것"고 내다봤다. /연미란 기자 actor@metroseoul.co.kr

2015-07-28 16:13:0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동영상] 넥슨 모바일 액션 RPG '크로스서머너' 사전 이벤트 진행

[메트로신문 양성운 기자] 넥슨(대표 박지원)은 일본 유명 개발사 포케라보가 개발하고 자사가 서비스하는 모바일 액션 RPG '크로스서머너'의 출시를 앞두고 28일부터 사전 예약 이벤트를 실시한다. '크로스서머너'는 오는 8월 중 안드로이드OS와 iOS버전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이번 사전 예약 이벤트에 참여하는 유저 전원에게 '4성 유닛'과 '소환석 2000개' 등 5만 원 상당의 아이템을 선물한다. 2D 액션 RPG '크로스서머너'는 간단한 조작으로 구사할 수 있는 '필살기'와 '궁극기'를 통해 호쾌한 타격감을 제공하는 모바일 신작으로, '콤보 누적', '공중 연속 공격' 등 화려한 액션요소를 갖췄다. 특히 근접, 원격, 마법, 회복 등의 다양한 능력을 지닌 '유닛'을 육성하여 배틀을 펼칠 수 있으며 적의 공격 스타일에 맞춰 전략적인 파티 구성이 가능하다. 또 주인공과 '알윈 왕자', 수수께끼 소녀 '라라'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배경 이야기는 애니메이션에 버금가는 탄탄한 스토리로 풍성한 재미를 제공한다. '크로스서머너'의 개발사 포케라보는 소셜 모바일게임에 특화된 일본 유명 개발사로, 지난해 9월 일본 앱스토어에 먼저 출시된 '크로스서머너'는 꾸준히 인기를 얻으며 게임성을 인정받고 있다. '크로스서머너'의 사전 예약 이벤트에 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모션 페이지(https://i.nx.com/fg5)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5-07-28 15:41:58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메르스 종식 선언일에 '삼성병원 감사결의안' 채택

메르스 종식 선언일에 '삼성병원 감사결의안' 채택 본회의 통과 남아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국회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특위가 28일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감사원 감사 요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날 정부가 메르스 사태 종식을 선언하면서 진상규명을 비롯한 본격적인 사후 작업이 진행될 전망이다. 이날 특위는 마지막 전체회의를 열고 "삼성서울병원의 역학조사와 방역 관련 감사를 통해 책임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김상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의견을 수용해 결의안을 채택했다. 김 의원은 결의안 제안과 관련해 "특위를 운영하는 동안 정부가 삼성서울병원에 역학조사와 방역을 왜 일임하게 됐는지, 이후 정부가 관리 및 통제를 제대로 하지 못했는지 등에 대해 충분히 해명이 되지 않았다"며 "역학조사와 방역과 관련해서는 감사원의 감사를 통해 명확히 내용이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소속 신상진 위원장은 결의안을 채택하며 "특위를 마치면서 보고서를 채택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대정부 촉구 결의안을 만들어 특위의 의지를 강력히 표현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결의안에는 △메르스 사태와 관련한 정부 당국의 초동대응 부실과 정보 비공개 결정과정 등 메르스 사태 전반에 대한 원인 규명 △삼성서울병원에서의 메르스 환자 격리 등 조치의 적절성 여부와 정부 역학조사 과정에서의 비협조 등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결의안은 다음달 열리는 임시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될 전망이다. 이날 특위는 '국가 감염병 관리체계 개선 촉구 결의안'도 의결했다. 이 결의안은 특위가 활동보고서를 통해 제시한 정책제안을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성실하게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위는 활동보고서에서 △질병관리본부의 질병관리청으로의 격상 △보건의료부 독립·신설과 복수차관제 도입 △방역관리 대응 매뉴얼 마련 △방역역량 강화를 위한 감염병 예방관리분야 첨단기술 연구개발 강화 △응급실 과밀화 해소방안 마련 △병원감염위원회 의무설치대상 확대 △병원 방문문화 장려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2015-07-28 15:33:04 송병형 기자
기사사진
새누리 '노동개혁특위' 출범...근로기준법 개정 속도

[메트로신문 윤정원기자] 새누리당이 28일 올 하반기 핵심 국정과제로 제시된 '노동시장 개혁'을 위한 첫걸음을 뗐다. 새누리당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올해 정기국회에서 통상임금·근로시간 관련 근로기준법을 개정하는 등 법·제도 정비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노동시장선진화특별위원회의 위원장에 임명된 이인제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첫 회의에 이어 기자회견을 열어 향후 활동 계획을 발표했다. 새누리당 특위는 우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계류된 근로기준법 개정안 처리에 속도를 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정이 '근로에 대해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하기로 정해둔 금품'으로 규정한 통상임금을 법으로 명문화한다는 방침이다. 특위는 근로시간 단축도 법 개정을 통해 풀겠다는 입장이다. 근로시간 단축을 단계적으로 적용하면서 근로시간 특례 업종을 줄이고 특별 연장근로의 상한을 1주일 8시간으로 정하는 등 구체적인 시행 방안도 법을 개정해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특위는 또 정년 60세 연장과 맞물린 임금피크제 도입 확대, 정부가 최근 발표한 청년고용 할당제 등이 노사정위원회를 통해 사회적 동의를 받을 수 있도록 노사정위에 청년, 비정규직, 중소기업 대표 등이 참여토록 하는 법 개정안도 다룰 예정이다. 이밖에 대·중소기업 근로자의 양극화를 해소하는 차원에서 마련된 하도급법 개정안 등 정부의 주요 입법 과제를 국회 차원에서 논의해 추진하는 것도 특위의 주요 역할이 될 전망이다. 그러나 야당과 노동계에선 새누리당의 노동 개혁 드라이브가 정부 측 입장만 일방적으로 대변한다고 반발하고 있어 다소간 진통이 예상된다.

2015-07-28 15:32:43 윤정원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 Apple Getting Ready to Launch Electric Car…Samsung?

Apple Getting Ready to Launch Electric Car…Samsung? Apple and Samsung are showing different paths at the verge of launching electric cars. While Apple is starting its engine on electric cars, Samsung has not yet made their decisions. Therefore, there are concerns about launching duplication of smart phones and electric cars of one side. The analysis states that as Apple is o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road map of electric cars, the slower Samsung makes their decision, the harder it will be for them be lead this trend. The majority states that with the fast follower strategy like the smart phones, the electric cars may struggle as well. According to the press on the 27th, Apple started their negotiation with the BMW on electric cars. It seems that Samsung is ready and has the technology to start the electric car business, but Samsung is taking the conservative stance. Some say that Samsung control tower needs a futuristic change before it's too late./파고다어학원 영어회화 Chris Kim(김윤관) 강사 애플은 전기차 시동 걸 준비하는데…삼성은? 애플과 삼성이 전기차 시장 진입을 두고 사뭇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애플이 전기차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반면 삼성은 확실한 의사 결정을 내리지 못한 채 머뭇거리고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전기차도 스마트폰의 판박이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애플이 전기차 로드맵을 완성해 가고 있는 가운데 삼성의 시장 진입이 더딜수록 주도권을 쥐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패스트팔로어(fast follower) 전략으로는 전기차 시장에서도 고전할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27일 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독일 자동차 제조사 BMW와 전기차에 대한 협상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삼성이 전기차 사업에 뛰어들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삼성은 전기차 시장 진입에 보수적이다. 재계 일부에서는 더 늦기 전에 삼성 컨트롤 타워의 미래비전 제시가 필요한 시기라는 조언을 하고 있다. [!{IMG::20150728000106.jpg::C::320::}!]

2015-07-28 15:05:41 김서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