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광동제약 최성원 회장, 주니어보드와 이끌며 조직문화 혁신 가속

광동제약 최성원 회장이 직접 이끌고 젊은 직원들이 주도하는 새로운 '주니어 보드(Junior Board)'가 활동을 시작한다. 광동제약은 젊은 직원들이 경영에 참여하며 조직문화 혁신을 이끄는 '주니어보드'가 최근 17기 활동이 시작됐다고 18일 밝혔다. 광동제약이 지난 2009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주니어 보드는 청년 중역 회의다. 대리급 이하 직원들이 색다른 시각으로 조직 운영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근무환경을 개선한다. 이번 17기는 연구, 마케팅, 영업, IT 등 다양한 직군과 부서에서 선발된 10명의 위원으로 구성됐다. 향후 1년 동안 조직문화 혁신을 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특히 올해는 업무 몰입도 향상, 생산성 증대 등을 통해 실질적인 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주니어 보드 활동의 핵심은 경영진과의 긴밀한 협력이다. 위원들은 정기 회의를 통해 조직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논의하고, 활동이 끝나면 경영진과 만나 결과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실제로 주니어 보드가 제안한 'PC-오프 제도' '리프레쉬 휴가' 등이 사내 정책으로 도입되기도 했다. 최성원 회장은 "주니어 보드 활동이 신선하고 활력 있는 사내문화 형성에 도움이 되고 있다"며 "직원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 대응하며, 유연하고 창의적인 기업문화를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03-18 09:24:01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셀트리온제약, 작년 매출 4778억원... 전년 比 22.9% 증가

셀트리온제약이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셀트리온제약은 지난해 연간 매출액 약 4778억원, 영업이익 약 372억원을 기록했다고 17일 공시했다. 케미컬 사업 부문 매출액은 전년대비 23% 증가한 약 2,048억원을 기록했다. 주력 제품인 간장용제 '고덱스'가 약 668억원의 견조한 판매고를 올렸고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판매가 이뤄진 고혈압치료제 '딜라트렌정'이 약 502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을 견인했다. 같은 기간 바이오시밀러 사업 부문 매출액도 18.2% 성장한 약 866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로 변경한 자가면역질환치료제 '램시마SC'가 전년대비 34.3% 성장, 램시마 제품군 매출액은 약 440억원에 달했다. 자가면역질환치료제 '유플라이마'도 전년대비 77% 성장한 36억원을 기록했다. 항암제 부문에서는 '허쥬마'가 42% 성장한 약 213억원 매출로 선전했고, '베그젤마'도 약 38억원 매출액을 기록하며 시장에 안착했다. 위탁생산 부문에서는 사전 충전형 주사기 상업생산이 전년동기 대비 265% 성장한 약 926억의 매출을 기록했다. 글로벌 주요시장에 공급되는 SC제형 품목의 생산 확대가 주요했다. 셀트리온제약은 기존 제품의 성장과 신규 제품의 시장 안착에 힘입어 매출을 확대하고, 생산시설 가동을 극대화하는 한편 적극적인 연구개발(R&D) 투자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025-03-18 07:17:20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경제 3월 18일자 한줄뉴스

<금융·부동산> ▲ 금융위원회가 주택담보대출 신청 및 신규 대출 취급 추이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한다. 서울 및 수도권 주택시장을 중심으로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확산돼 가계대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 배당금이 높아질수록 기업가치는 올라가지만, 활발한 투자활동을 하지 않고 배당금만 높이는 기업은 기업가치 상승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장 속도가 빠른 산업의 경우 주주환원을 확대하는 것보다 자본적 지출(투자)을 통한 수익성·성장성 개선이 기업가치를 높이는데 보다 효과적이라는 분석이다.▲연금개혁이 막판 속도전에 돌입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이 초읽기에 돌입한 가운데 여·야가 주요 쟁점이었던 소득대체율에 합의를 이루면서다. 다만 여·야가 협의체 구성을 두고 대립을 지속하고 있어, '골든타임'을 앞둔 연금개혁 논의가 다시금 좌초 위기에 처했다. ▲ 카카오·케이·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접근성과 저금리로 고객을 유인한 결과로 풀이된다. ▲ 5월 초 예정된 연휴를 앞두고 보험업계가 해외여행보험을 손보고 있다. 보험료 인하는 물론 여행 준비 서비스 고도화 등으로 고객 우선 선점에 적극적이다. ▲ 지난 2월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전달보다 확대됐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서울 전체 가격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일부 외곽 지역과 구축 단지는 하락세를 보이며 지역별 온도차가 컸다. ▲지난달 서울 국민평형(전용 84㎡) 아파트 매매가가 평균 14억원을 넘어섰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국평 아파트는 20억원을 돌파했다. 일부 아파트는 30억원을 웃도는 거래도 나타났다.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4600건을 넘어서면서 주택 시장에 다시 온기가 도는 모습이다. <자본시장> ▲하나자산운용이 퇴직연금 시장의 핵심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타깃데이트펀드(TDF)와 상장지수펀드(ETF) 사업을 강화한다. ▲최근 삼성전자 주가가 6만원대를 향해 질주하자 개미 투자자들이 '하락은 막고 상승을 기원한다'는 간절함을 담아 만든 '삼기도문(삼성전자+기도문)'이 회자되고 있다. ▲홈플러스의 주요 단기자금 조달 수단인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발행이 지난해 말부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홈플러스 법정관리 사태와 자산시장(주식) 약세로 투자 업계에 매서운 꽃샘추위가 불고 있다. ▲토종 PEF들이 외국계 '먹튀(먹고 튄다)'의 모습을 답습하고 있다. <산업>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었던 핵심 산업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내수 시장은 30여년전 외환위기에 필적하는 불황을 겪고 있으며 주력산업은 중국의 맹추격에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반도체와 자동차, 철강, 배터리 등 핵심 산업은 저성장 기조 극복과 한단계 도약을 위한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지만 미국, 중국 등 주요 경쟁국 변수에 바람앞의 촛불 형국이다. ▲미국 내 태양광 설치 수요가 증가세를 보이며 업황이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혜택과 수요 확대가 맞물리면서 올해 설치량 증가 기대감도 커지는 분위기다. 이에 국내 태양광 기업들도 미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며 반등을 모색하는 데 한창이다. ▲한화오션과 삼성중공업이 나란히 대규모 선박 수주에 성공하며 조선업계의 수주 행진에 탄력이 붙고 있다. 국내 조선사들은 기술 혁신과 친환경 선박 개발을 무기로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쥐기 위한 경쟁을 펼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고객 맞춤형 냉난방공조(HVAC) 솔루션을 앞세워 유럽 시장 공략에 나선다. ▲금탑을 비롯해 산업훈장 등을 받은 모범 중소기업인들을 온라인으로 만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유통&라이프>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사재 출연을 선언한 가운데 홈플러스가 소상공인 상거래채권 변제 시기를 앞당기고, 유동화증권 전액 변제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내 미용의료 시장에서 주요 기업들이 매출 성과를 내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국내 대표 화장품 제조업체 한국콜마의 이사회가 재구성될 것으로 예고되면서 기업 경영권 향방에도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정치> ▲국민의힘이 17일 당원과 당직자를 국회로 불러 모아 내부 결속을 다진 반면, 민주당은 시민사회와 함께 비상시국선언을 하며 헌법재판소의 조속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기일 지정과 파면을 촉구했다. ▲미국 에너지부가 올해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 국가 목록(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SCL)'에 올린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이번 주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만나 적극 협의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임기 종료를 앞두고 대한민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지정국가 목록(SCL)'에 포함시켰다는 게 공식 확인된 가운데, 국민의힘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민주당이 국정을 장악한 것이 원인이라고 주장한 반면, 민주당은 여권의 핵무장론 주장과 계엄 선포로 인한 국가 신뢰도 하락이 주요 원인이라고 반박했다.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데이터 기초 체력 다지기'에 힘을 쏟고 있다. AI 개발에 필수적인 학습 데이터세트 구축을 위한 품질인증 제도를 출판하고 기존 'AI 허브'를 통해 제공되던 데이터의 유통과 활용까지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중국의 빅테크 기업 바이두가 16일(현지시간) 최신 인공지능(AI) 모델인 어니(ERNIE) 4.5와 어니 X1을 출시했다. 바이두는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인공지능 모델들은 딥시크의 Deepsek R1, 오픈AI의 GPT-4.5와 성능이 유사하거나 뛰어나며, 가격은 훨씬 저렴하다고 밝혔다.

2025-03-18 06:00:05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알테오젠, 글로벌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에 기술수출..."글로벌 경쟁력 제고"

바이오 플랫폼 기업 알테오젠은 아스트라제네카의 자회사 메드이뮨 LLC 및 메드이뮨 Ltd와 피하주사제형 치료제 개발을 위한 하이브로자임 플랫폼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공시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알테오젠은 다품목 항암 치료제의 피하주사제형 개발에 대한 독점적인 글로벌 개발 권리를 아스트라제네카에 부여한다. 알테오젠은 계약금을 포함해 개발 및 규제, 판매 관련 마일스톤 등을 확보하게 됐다. 해당 제품이 판매되면 정해진 비율의 로열티를 추가 수령한다. 앞서 알테오젠은 히알루로니다제를 사용한 피하주사제형 치료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타겟 독점 라이선스 계약이 아닌 품목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추진해 왔다. 알테오제은 자사가 독자 개발한 하이브로자임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히알루로니다제 등의 발매가 가시화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전략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알테오젠은 이번 계약을 포함해 총 글로벌 6개사와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또 다양한 특허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ALT-B4 기술의 권리를 확장하고 있다. 박순재 대표는 "세계적인 혁신치료제 개발사인 아스트라제네카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하이브로자임 플랫폼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된 것은 당사로서도 대단한 발전"이라며, "물질 및 특허권리 등 다양한 분야의 실사를 거쳐 안정성을 확인하고 체결한 계약인 만큼, 빠른 개발을 통해 많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치료 옵션이 될 것을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2025-03-17 17:28:34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U.S. Solar Growth Continues... Will Hanwha Solutions and OCI Seize the Rebound Opportunity?

The demand for solar installations in the United States is on the rise, bringing the industry back to life. With the Inflation Reduction Act (IRA) incentives and increased demand working in tandem, there is growing optimism for a rise in installation volumes this year. As a result, domestic solar companies are accelerating their efforts to target the U.S. market, aiming for a rebound. According to industry reports on the 17th, the total solar installation capacity in the U.S. last year reached 50GW (gigawatts), marking a 21%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Notably, the installation volume in the fourth quarter reached 18.8GW, a 32% increase year-over-year. This growth is believed to be driven by the tax credit benefits provided by the IRA. On the other hand, the China Photovoltaic Industry Association has forecast that domestic solar installation demand in China will be between 215 and 255GW this year, a slowdown compared to last year's 278GW. This is due to the Chinese 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s announcement of a reduction in subsidies for renewable energy projects, which is expected to lead to a decline in demand. Solar cell and module manufacturers in China are expected to face a contraction in the domestic market, with industry restructuring anticipated. As a result, supply excess in the U.S. is expected to ease, leading to a rebound in raw material and product prices, and a growing demand for Korean products in the U.S. market. In this context, the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South Korea's solar industry is expected to improve positively. Domestic companies are actively seeking business opportunities, including speeding up the establishment of production bases in the U.S. In particular, about 90% of Hanwha Solutions' solar business production and sales come from the United States, and with the recent improvement in U.S. solar supply and demand, growth expectations are rising. Hanwha Solutions holds the number one market share in the U.S. residential solar market at 31%, and this market dominance is expected to be an additional factor for further benefits. Moreover, Hanwha Solutions' operation of the TPO (Third-Party Ownership) business, which involves installing distributed solar systems in homes for rental and capturing investment tax credits (ITC) and bonus benefits, is another element that could enhance profitability. While solar installations in typical residential homes are not as common in South Korea, the trend of increasing residential solar installations in the U.S. suggests that the impact of this business will grow significantly. OCI Holdings is also expected to benefit positively as it accelerates its vertical integration in the U.S. solar industry. OCI Holdings' U.S. subsidiary, OCI Energy, has signed a joint venture agreement with Israeli solar company Arava Power for a 260MW-scale SolarRoper project. The SolarRoper project is a large solar power plant being developed on a 2.1 million square meter site in Wharton County, south of Houston, Texas. Through this, the project will benefit from a 30% tax credit under the IRA (Inflation Reduction Act), with an additional 10% energy community bonus, allowing for a maximum reimbursement of up to 40% of the investment. An industry insider commented, "As the U.S. intensifies its sanctions on Chinese product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outh Korean products will gain competitiveness in the U.S. market. However,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will reconsider the CHIPS Act (Semiconductor Support Act), potentially reducing investment subsidies, and since solar module wafers are included in semiconductor wafers, we need to closely monitor the potential impact on the industry."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3-17 17:09:52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아직 '이재명 대항마' 못 정한 보수층… 李, 여권 주자들 양자대결에서도 앞서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야 정당 지지율이 접전을 벌이고 있으나, 차기 대권 주자 지지율에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독주하는 모양새다. 이 대표에 대한 진보 지지층의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에 반해, 보수 지지층은 아직 뚜렷한 후보를 선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17일 발표된 리얼미터(에너지경제신문 의뢰) 여론조사에 따르면 여야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에서 이재명 대표는 46.9%를 기록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18.1%로 뒤를 이었다. 뒤이어 홍준표 대구시장(6.5%),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6.3%), 오세훈 서울시장(6.2%),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2.4%) 순이었다. 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2.2%, 김동연 경기지사는 1.2%,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0.8%,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0.4%를 기록했다. 야권 후보 지지율을 모두 합치면 51.4%이며, 여권 후보의 총합은 39.5%다. 기타·없음·잘모름은 9.1%로 나타났다. 탄핵심판 선고가 가까워지자 야권 지지층의 결집력이 높아지고, 여권 지지층은 여러 후보가 분산된데다 응집력도 떨어진 상태로 풀이된다. 차기 대선 양자 가상대결에서도 이재명 대표는 여권의 주자들을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이재명 대표와 김문수 장관의 양자 대결에서 이 대표는 51.7%, 김 장관은 30.7%로 21.0%포인트(p) 차이를 보였다. 이 대표와 오세훈 시장 양자 대결은 이 대표가 51.8%, 오 시장은 25.6%로 26.2%포인트 차이였고, 홍준표 시장과의 대결에서는 이 대표 52.3%, 홍 시장 25.0%로 27.3%포인트 격차였다. 이 대표와 한동훈 전 대표의 대결에서는 이 대표 51.8%, 한 전 대표 18.6%로 33.2%포인트 차이였다. 여야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를 살펴보면 이재명 대표가 1위이며, 나머지 야권 후보들은 7~10위를 기록하고 있다. 2~6위는 여권 후보들이 지지율을 나눠 갖고 있다. 양자 대결에서는 전반적으로 이 대표의 지지율이 50%를 넘으며, 여권 주자들과 20~30%포인트의 격차를 벌리는 셈이다. 이 같은 상황은 야권 지지층의 경우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뭉쳐 있지만, 여권은 아직 '이재명 대항마'를 선택하지 못해서 생긴 결과로 보인다. 다만 현재 나타난 조사 결과를 보면 '이재명 대항마'가 선택되더라도 야권 지지세가 더 높은 상황이다. 한편 이날 여론조사는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2∼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5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무선 자동응답(RDD)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7.2%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3-17 16:12:52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이재명 대표, 세계적 석학 '유발 하라리'와 AI 주제로 대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오는 22일 오후 6시 이스라엘의 세계적인 석학 유발 하라리 히브리대 역사학과 교수와 AI(인공지능)를 주제로 대담을 나눌 예정이다. 8년 만에 방한하는 하라리 교수는 국회 사랑재에서 이 대표와 대담을 진행하며 이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될 예정이다. 하라리 교수는 '사피엔스', '넥서스' 등의 베스트셀러 작가로도 유명하다. 민주당에 따르면 하라리 교수의 저작 넥서스(Nexus, 연결고리)의 'N'을 이용한 '이재명N하라리'가 이번 대담의 타이틀로 두 사람이 협력·결합하는 지점에서 서로 새로운 영향을 주고받는 '연결점'을 시사한다. 딥러닝, 블록체인 등 미래기술을 전공한 서울대, 카이스트, GIST, 부산대, AI특성화고 등 다양한 배경의 젊은 이공계 출신 관객 30여 명도 참석하여 현장에서 질의응답을 주고 받을 계획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지난 대선 당시 마이클 샌델과의 대담에 이어 이번에는 하라리 등 세계 석학과의 대화를 통해 '차기 지도자'로서 이재명만의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 대표는 작년 12·3 비상 계엄 이후 월스트리트저널·뉴욕타임즈·더이코노미스트·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외신과도 잇따라 인터뷰에 나서고 있다. 외신 인터뷰와 외국 석학과의 잇따른 인터뷰를 통해 국제 사회가 주목하는 '준비된 미래 지도자(A Proven Leader)' 이미지를 부각시키겠다는 전략이다.

2025-03-17 15:53:12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中 바이두, 최신 AI 모델 2종 공개..."성능 우수·이용료 저렴"

압도적인 가성비를 자랑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선보인 중국 딥시크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또 다른 중국 빅테크 기업인 바이두가 딥시크의 절반 비용에 유사한 성능을 제공하는 AI 모델을 공개해 다시 한 번 전 세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중국의 빅테크 기업 바이두는 지난 16일 최신 인공지능(AI) 모델인 '어니(ERNIE) 4.5'와 '어니 X1'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바이두는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인공지능 모델들은 딥시크의 '딥시크 R1', 오픈AI의 'GPT-4.5'와 성능이 유사하거나 뛰어나며, 가격은 훨씬 저렴하다고 주장했다. 바이두에 따르면 어니 4.5는 자체 개발한 멀티모달 기반 AI 모델로,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통합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멀티모달 AI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의미한다. 바이두는 "어니 4.5는 이해·생성·추론·기억 능력이 향상됐고 환각 현상이 감소됐으며, 논리적 추론 및 코딩 기능이 개선됐다"며 "높은 지능과 상황 인식 능력을 갖춰 인터넷 밈(온라인상 유행하는 콘텐츠)과 풍자만화를 쉽게 이해한다"고 설명했다. 바이두는 어니 4.5가 DROP(독해 및 추론), CLUEWSC(중국어 자연어 이해 평가) 등의 벤치 마크에서 GPT-4.5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으며, 가격은 GPT-4.5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어니 X1은 바이두 최초의 멀티모달 심층 사고 추론 모델이다. 바이두는 "어니 X1은 딥시크 R1과 동등한 성능을 반값에 제공한다"면서 "특히 중국어 지식 질의응답, 문학 창작, 원고 작성, 논리적 추론, 복잡한 계산에 탁월하다"고 덧붙였다. 어니 X1은 ▲고급 검색 ▲주어진 문서에 대한 질문과 답변 ▲이미지 이해 ▲AI 이미지 생성 ▲코드 해석 등 다양한 도구를 지원한다. 기업 사용자와 개발자는 바이두의 AI 클라우드 플랫폼인 '첸판(Qianfan)'을 통해 어니 4.5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에 직접 접근할 수 있으며, 입력 가격은 100만토큰당 최저 4위안(약 800원), 출력 가격은 16위안(약 3200원)이다. 어니 X1 서비스도 곧 첸판 플랫폼에서 제공될 예정이다. 입력 및 출력 가격은 각각 100만토큰당 2위안, 8위안으로 책정됐다. 바이두는 "어니 4.5와 어니 X1의 출시와 함께 바이두는 AI,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AI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더 스마트하고 강력한 차세대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바이두는 중국 빅테크 기업 중 가장 먼저 챗GPT 스타일의 챗봇을 출시했음에도, 어니 대형 언어 모델(LLM)의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AI 시장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 딥시크 모델에 필적하는 새 인공지능 모델을 내놓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5-03-17 15:43:30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벚꽃에서 야경까지…“서울 봄나들이는 한양도성 순성코스로”

서울시가 춘분(春分)을 앞두고, 본격적인 봄을 맞아 시민들에게 올봄 방문하기 좋은 한양도성 순성(巡城) 코스를 추천한다. 서울시는 17일 관내 봄나들이 코스로 남산부터 낙산, 백악, 인왕 등 4개 구간으로 이어지는 한양도성 순성코스를 소개했다. 순성(巡城)은 도성을 한 바퀴 돌며 경치를 구경한다는 의미다. 주요 구간별 봄철 볼거리로는 ▲벚꽃명소 남산구간(남산공원,한양도성 유적전시관) ▲야경명소 낙산구간(한양도성박물관, 낙산공원) ▲전망명소 백악구간(팔각정 전망대) ▲문학명소 인왕구간(윤동주 시인의 흔적, 윤동주 문학관) 이 대표적이다. 특히 남산공원은 서울시민들에게 오랜 사랑을 받아 온 도심 속 최대 녹지 공간으로, 한양도성 유적전시관에서는 한양도성의 역사와 함께 완주 인증서도 발급받을 수 있다. 마채숙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나들이하기 좋은 봄을 맞이해 더 많은 시민들이 한양도성을 찾아 역사와 자연이 함께하는 휴식을 즐기시기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한양도성이 도심 속 살아있는 역사공간이자 휴식공간으로 시민들이 언제든지 안심하고 찾을 수 있는 즐거운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3-17 15:41:26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