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폭싹 속았수다' 팬엔터, '너의 이름은.' 미디어캐슬 인수…'종합 스튜디오' 발돋움

'폭싹 속았수다'의 제작사 팬엔터테인먼트가 '너의 이름은.' 열풍을 이끈 미디어캐슬을 인수했다. 17일 팬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최근 영화사 미디어캐슬을 인수, 특별한 시너지를 예고했다. 이로써 팬엔터테인먼트는 영화 투자, 제작, 수입, 배급을 아우르는 '종합 스튜디오'로 발돋움함과 동시에 사업 영역 확장에 포문을 열었다. 미디어캐슬은 2022년 557만 관객을 동원하며 국내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중 흥행 1위를 차지한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스즈메의 문단속'을 필두로, 392만 관객을 동원한 애니메이션 '너의 이름은.', 120만 관객을 모으며 일본 실사 영화 최고 흥행작에 등극한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등 다수의 화제작의 수입과 배급을 맡아 남다른 선구안과 뛰어난 역량을 보여준 영화사다. 또한 미디어캐슬은 현재 '괴물'로 칸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한 사카모토 유지 각본의 신작 영화 '첫 번째 키스'로 관객들을 만나고 있으며, 오는 19일 일본 유명 TV 시리즈의 극장판 영화 '고독한 미식가 더 무비' 개봉을 앞두고 있다. 아울러 '일하는 세포', '그랑 메종 파리' 등 일본 박스오피스를 휩쓴 화제작들 역시 국내에 선보일 계획이다. 팬엔터테인먼트는 드라마 '미생', '나의 아저씨'의 김원석 PD, '동백꽃 필 무렵'의 임상춘 작가의 만남으로 화제가 된 아이유, 박보검 주연의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로 글로벌 열풍을 이끄는 중이다. 해당 작품은 12개국에서 1위를 차지하며 팬엔터테인먼트의 존재감을 다시 한번 빛내고 있다. 이번 인수 역시 '폭싹 속았수다'는 물론 앞서 드라마 '겨울연가', '해를 품은 달', '쌈, 마이웨이', '동백꽃 필 무렵' 등을 제작한 드라마 명가 팬엔터테인먼트가 드라마 제작 영역뿐만 아니라 영화 투자, 제작, 수입, 유통, 배급을 아우르는 '스튜디오'로 발돋움하는 첫걸음이라 더욱 관심이 뜨겁다. 특히 팬엔터테인먼트가 정우, 정수정, 신승호 주연의 '오디션109'의 투자 및 제작에 나서면서 본격적으로 영화 사업에 시동을 건 사실이 알려져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바, 미디어캐슬 인수를 통해 해외 영화 수입 및 유통, 배급까지의 영역 확장에 더욱 남다른 기대가 모인다. 이번 인수에 대해 팬엔터테인먼트는 "드라마 '겨울연가'를 통해 일본 내 한류(K-wave)의 시작을 알렸던 팬엔터테인먼트와 '너의 이름은.', '스즈메의 문단속' 등을 통해 한국 내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의 흥행 신화를 써낸 미디어캐슬의 만남은 한-일 양 측 시장에서 서로 win-win 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팬엔터테인먼트는 드라마 '겨울연가'를 영화의 러닝타임으로 재편집, 4K 고화질 업스케일링 작업을 통한 극장용 화질 및 필름룩을 구현해 제작 중인 영화 버전의 '겨울연가'를 미디어캐슬을 통해 일본 개봉 및 유통을 진행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2025-03-17 09:12:30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교육감, "아이비(IB) 월드스쿨 인증, 경기교육 변화의 시작이자 기념될 만한 일”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14일, 경기도 공립 최초 '디플로마 프로그램(Diploma Programme, DP) 월드스쿨'로 인증받은 죽산고등학교(학교장 유광종)를 방문해 축하의 뜻을 전하고 학교 구성원의 노고를 격려했다. 안성시에 위치한 죽산고등학교는 지난 2023년 6월 아이비(IB) 관심학교로 시작해 같은 해 10월 후보학교가 되었으며, 약 14개월간의 준비를 거쳐 지난 1월 '월드스쿨' 인증을 받았다. 도교육청은 2025년 3월 기준으로 죽산고등학교를 포함한 ▲월드스쿨 7교(초 4교, 중 1교, 고 2교) ▲후보학교 44교 ▲관심학교 123교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에는 후보학교 중 12교의 인증을 완료하고, 후보학교 40교와 관심학교 100교를 추가로 선정하여 수업과 평가의 전문성 심화와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힘쓸 방침이다. 인증 선포식에는 임태희 교육감을 비롯해 도교육청 주요 관계자와 학교 교직원, 학부모 다수가 참석해 죽산고등학교의 월드스쿨 인증을 함께 축하했다. 행사는 축하 공연을 시작으로 ▲임태희 교육감 축사 ▲도전하는 미래 주제로 펼치는 임 교육감과 죽산고 교육가족의 대화 ▲월드스쿨 인증 제막식 ▲학교 환경 탐방 및 기념 사진 촬영 순으로 진행했다. 임태희 교육감은 "죽산고에서 1년 반 기간에 아이비 월드스쿨 자격을 획득한 것은 학교 선생님 여러분의 많은 노력과 함께 학생이 새로운 수업방식에 적극 힘쓴 결과"라면서 "죽산고등학교의 월드스쿨 인증은 경기교육 변화의 시작이자 기념될 만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이비 교육은 새로운 시각에서 문제점을 바라보고, 협동으로 문제의 해법을 찾으며, 다양한 사안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등 생각의 힘을 키우는 교육"이라면서 "아이비 교육이 아무도 경험하지 못한 미래를 살아갈 여러분에게 더 필요한 교육, 큰 에너지를 주는 교육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 교육감은 "경기도 공립고등학교 최초로 '디플로마 프로그램(DP) 월드스쿨'로 인증받은 여러분의 노력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축하의 말을 전했다. 한편 죽산고등학교와 통합 운영하고 있는 죽산중학교도 오는 4월 '월드스쿨' 인증 심사를 받기 위해 준비 중이다. 향후 죽산중학교가 인증을 받으면 죽산중고등학교는 중학교 과정(MYP)과 고등학교 과정(DP)을 함께 운영하는 전국 최초의 통합운영학교가 된다.

2025-03-16 18:53:31 유진채 기자
기사사진
Large Corporations Expanding Beyond Traditional Boundaries with 'Functional New Materials'… From Home Appliances to Aquaculture Equipment and Healthcare.

"Functional materials" are breaking industry boundaries, expanding beyond the electronics sector to various industries such as smart aquaculture, healthcare, and electric vehicle batteries. Major companies like LG Electronics and Samsung Electronics are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new markets by leveraging differentiated material technologies. On the 16th, LG Electronics announced that it is collaborating with smart aquaculture company 'EcoAquafarm' to apply its antimicrobial functional material, 'Furotec,' in smart fish farms. The two companies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on the 13th at LG Electronics' Gasan R&D campus in Geumcheon-gu, Seoul, to strengthen hygiene in land-based aquaculture plant manufacturing using Furotec. Furotec is an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functional material. When added to plastics, paints, and rubber, it suppresse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preventing odors, contamination, and discoloration. Its fine particles, about 4μm (micrometers) in size, which are 1/10 the size of flour particles, exhibit high antimicrobial performance, offering excellent cost-effectiveness and versatility. Furotec will be applied in fish farm processing room floors, walls, storage areas, packaging materials, and processing equipment to inhibit the growth of bacteria and fungi and help maintain the freshness of salmon. LG Electronics received approval from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last year for Furotec as a Food Contact Substance (FCS), allowing its application in food packaging materials. The company plans to expand its business into various B2B markets, including smart aquaculture, food processing and distribution, healthcare, and construction materials. Samsung Electronics significantly expanded the use of recycled materials in the 'Galaxy S25 series' launched this January. All exterior components of the Galaxy S25 and S25+ are made from recycled materials, including recycled glass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device, and recycled aluminum on the side keys, volume keys, and SIM tray. Notably, the Galaxy S25 established a circular system to recycle cobalt extracted from its own used batteries. To date, 200 tons of recycled cobalt have been used in Galaxy smartphones. Additionally, in collaboration with Lotte Chemical, Samsung has introduced a circular economy model to recycle discarded semiconductor wafer trays into plastic raw materials, applying recycled polycarbonate to several components of the Galaxy S25. Chemical and materials companies are actively expanding their functional material technologies. LG Chem developed a thermal runaway suppression material at the end of last year that can fundamentally prevent electric vehicle battery fires. This material is a composite substance whos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with temperature, acting as a "fuse" to block the electrical flow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rising temperatures. LG Chem has completed safety verification tests for thermal runaway suppression materials in mobile batteries and will continue safety tests to apply it to large-capacity electric vehicle batteries. Materials specialist Deep Smatec has developed a polymer thin-film deposition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at room temperature, which is being used in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sector. This technology helps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battery separators by coating them with functional polymers, preventing explosions and fires caused by breakage. It also reduces energy consumption compared to traditional high-temperature processes, while improving the stability and lifespan of the batteries. An industry insider commented, "Functional materials have significant value not only in consumer products but also across various industries. Electronics companies are strengthening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B2B market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3-16 16:23:0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尹 탄핵심판' 역대 최장 심리… 이번주 후반 결론 날까

16일 기준으로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탄핵안)을 접수한 지 93일째가 됐지만, 탄핵심판 선고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과거의 대통령 탄핵심판보다 긴 시간을 숙고하고 있는 헌재가 이번주 중후반에 선고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기일은 지난달 25일 종료됐다. 이날(16일)로 변론을 마친 지 20일째가 됐지만, 선고기일 통지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변론종결 이후 기간으로 봐도 노무현 전 대통령(14일)과 박근혜 전 대통령(11일)을 넘어섰다. 역대 대통령 탄핵심판 중 최장 기간 평의를 갖는 것이다. 헌재는 변론종결 이후 휴일을 제외하고 매일 수시로 쟁점을 논의하는 평의를 열고 있다. 당초 지난주 후반(13·14일)쯤 선고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헌재의 숙고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문제는 헌재의 숙고가 길어지면서 여론 역시 과열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지난주 내내 '빠른 파면 선고'를 요구하며 장외투쟁 등을 벌이고 있다. 여당은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안을 먼저 선고하라며 목소리를 높인다. 이런 가운데 윤 대통령이 석방됐고, 조기 대선을 예상했던 여권 대선주자들의 공개 행보는 사실상 멈추는 등 정치권이 '올스톱'된 상태다. 이에 야권에서는 이번주 초에라도 판결이 나오길 기대하는 모양새다. 현재 정치권에서는 8대 0 인용 만장일치부터 6(인용)대 2(기각), 4대 4 등 다양한 가능성이 거론된 속칭 '지라시(정보지)'가 난무하고 있다. 그러나 탄핵심판 관련 평의는 헌법재판관들만 참석하고 도청 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등 '철통 보안' 상태라, '어떤 재판관이 무슨 의견을 냈다' '몇대 몇이다'라는 정보는 사실상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렇다면 헌재 판결이 늦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각에선 헌재에 윤 대통령뿐 아니라 다수의 탄핵 사건이 동시에 걸려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2016~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때는 다른 탄핵 사건이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해 방송통신위원장, 감사원장, 검사, 법무부 장관, 국무총리 등 탄핵 사건이 여러 건이었다. 경찰청장 탄핵심판 변론기일은 아직 날짜도 잡지 못했다. 다만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최우선적으로 처리하겠다고 밝힌 만큼, 여러 건의 탄핵심판을 동시에 심리한 것은 아니라는 반박도 있다. 이때문에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취소·석방 등이 영향을 준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아울러 현재 8인 체제인 헌재는 '만장일치'로 대통령 탄핵심판 결론을 내려야 한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이진숙 방통위원장 때는 인용과 기각이 4대 4로 나뉘었지만, 최근 선고를 내린 감사원장·검사 3인 탄핵안은 8인 전원이 기각 의견을 내놨다. 이는 윤 대통령 탄핵안도 만장일치로 결론을 내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앞서 헌재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 진행 과정을 결정할 때도 '재판관 전원의 의견 일치'라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이런 차원에서 헌재가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판결의 완결성을 높이기 위해 '파면 사유가 안 된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 의견을 꼼꼼하게 작성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임지봉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전날(15일) 인터뷰에서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용납될 수 없거나 국민의 신임을 배신한 중대한 헌법·법률 위반 행위가 있으면 국민이 직접 선거로 뽑은 대통령도 파면된다"면서 "다만 탄핵 찬반 여론이 워낙 과열하다 보니 재판관들이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는 판결문을 쓰느라 문구를 다듬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법조계에서는 헌재가 이번주 후반쯤인 20·21일 선고를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헌법상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려면 재판관 6명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만약 3명 이상이 기각 의견을 내면 윤 대통령은 업무에 즉시 복귀하게 된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3-16 16:09:22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국회, 18일 홈플러스 사태 현안질의… MBK 김병주는 불출석 예상

국회 정무위원회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조만간 긴급 현안질의를 진행한다. 현안질의에서는 최대 주주인 MBK파트너스의 배임 논란 등 각종 의혹과 책임론이 언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사모펀드의 포트폴리오 회사 경영과 관련해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올 전망이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무위는 오는 18일 '홈플러스·MBK파트너스 사태에 대한 긴급 현안질의'를 진행한다. 앞서 사모펀드(PEF)인 MBK파트너스가 대주주로 있는 홈플러스는 지난 4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 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MBK파트너스는 회생 절차 신청 직전까지 개인과 기업 등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기업어음(CP) 등을 판매해왔다. 이에 여야는 지난 11일 협의를 통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 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 대표,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 강경모 홈플러스 입점협회 부회장 등 5명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MBK 파트너스 측은 기업 회생의 결정적 계기가 된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미리 인지했으면서도 회생 절차 신청 직전까지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떠넘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무위는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홈플러스 노동자와 입점업체들의 피해가 커지며 '제2의 티메프 사태'가 되지 않도록 대응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에 현안질의에선 회생 절차 신청 직전까지 CP를 판매한 것을 집중적으로 추궁하고, 자구 노력 없이 회생절차를 신청한 데 대해서도 지적할 것으로 보인다. 또 MBK파트너스 등 사모펀드 업계 전반의 경영 실태와 관련해 질문이 나올 전망이며, 관련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이번 현안질의에 출석하지 않는다. 김 회장은 지난 14일 정무위원회에 해외 출장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그는 "투자가 완료된 개별 포트폴리오 회사의 경영에는 관여하고 있지 않아 의원들의 질의 사항에 대해 충실한 답변을 드리지 못할 것이 염려된다"고 밝혔다. 김 회장이 출석하지 않을 경우 정무위는 동행명령장을 발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김병주 회장이 국회 정무위에 불출석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비판 여론이 더욱 확산됐다. 이같은 여론을 의식한 듯 MBK는 이날 김 회장이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 개인 재산을 출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정확한 금액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3-16 15:41:05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GC녹십자, Tdap백신 'GC3111B' 임상 승인..."백신주권 공고히 할것"

GC녹십자가 '국산 백신' 개발에 속도를 낸다. 16일 국내 제약 업계에 따르면, GC녹십자는 지난 12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GC3111B' 임상 1/2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 GC3111B는 성인용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예방 혼합백신(티댑, Tdap) 후보 물질이다. 이번 임상에서 GC녹십자는 만 19세 이상 64세 이하의 건강한 성인 120명을 대상으로 GC3111B 접종에 따른 안전성, 면역원성 등을 평가한다. GC녹십자는 해당 임상을 오는 2026년 말까지 완료해 티댑 백신을 국산화한다는 방침이다. 원료의약품 측면에서도 GC3111B 개발은 경쟁력을 갖췄다. GC녹십자는 원료 물질부터 완제의약품까지 모든 공정에 자체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백일해 백산 제조 공정 특허도 확보했다. 앞서 지난 2018년에는 국내 최초로 파상풍·디프테리아 혼합백신(티디, Td) 자국화에도 우선 성공했다. 현재 티댑 백신은 국가필수예방접종 백신으로 분류되는데,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백신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백일해의 경우, 주기적인 접종이 필요한 감염병이다. 가족 내 2차 발병률이 약 80%에 달할 정도로 전염성이 높고 백신 접종을 통한 방어 면역이 10년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GC녹십자는 향후 세계보건기구(WHO)의 사전적격심사(PQ) 인증을 획득하는 등 국제 기구로 국산 백신을 공급하기 위한 절차도 추진할 예정이다. 백신 자급화와 함께 수출을 확대해 국제 보건 시장에서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GC녹십자는 신규 백신 개발 과제에도 역량을 쏟는다. 탄저백신 GC1109, 결핵백신 GC3107A, mRNA 기반 백신 등 파이프라인을 다양하게 구축하고 있다. 탄저백신 GC1109는 탄저균을 방어하는 항원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GC녹십자는 세계 최초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탄저백신을 개발했고, 지난 2023년 10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결핵백신 GC3107A도 올해 국내 품목허가 승인여부 결과를 앞두고 있다. GC녹십자는 백신 부문에서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왔다. 일찍이 국산 백신으로 개발해 내놓은 독감백신 '지씨플루', 수두백신 '배리셀라' 등은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꾸준히 입지를 넓혔다. 이에 따라 GC녹십자는 국산 백신 사업을 다각화해 외형 성장과 수익성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C녹십자는 지난 2024년 실적으로 연결기준 매출 1조6799억원, 영업이익이 32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3.3%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6.7%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426억원으로 적자를 지속했다. 같은 기간, 백신 사업 매출은 2560억원으로 전년 대비 3.72% 줄었다. GC녹십자 측은 "GC녹십자의 백신 개발은 온전한 백신 자급화를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백신 연구개발로 미래 감염병을 대응하고 매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2025-03-16 15:39:06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尹 탄핵심판 '결전의 한주', 정치권 전운 고조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이번주 중후반에 나올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정치권이 탄핵 찬반 투쟁 수위를 극한으로 끌어올려 총력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과에 따라 조기대선 여부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여야의 대선 주자들의 행보도 결정되는 만큼, 이번 주 내내 정치권의 시선은 헌재에 쏠릴 예정이다. 경찰 비공산 추산 기준, 지난 15일 비상행동이 주최한 탄핵 촉구 집회에는 5만여 명이, 자유통일당이 개최한 탄핵 반대 집회에는 3만5000여 명이 운집해 각각 세를 과시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닷새째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요구하는 도보행진에 나서며 여론전을 벌였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16일 국회 본청 앞에서 열린 도보행진 모두발언에서 "헌법재판소는 헌법과 민주주의의 최후 보루다. 하루라도 빨리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를 내려야 한다"며 "헌법과 법률을 중대하게 위반해 헌정질서와 민주주의를 파괴한 윤석열을 파면함으로써 헌정중단 사태를 끝내야 할 책무가 있다"고 밝혔다. '윤석열탄핵국회의원연대' 소속 김준혁·민형배·박수현·위성곤 민주당 의원과 윤종오 진보당 의원은 엿새째 단식 농성을 이어가며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고 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16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주에도 장외투쟁 현재 기조를 유지하고 탄핵심판 선고기일이 결정되면 추가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지도부 차원의 장외투쟁 참여엔 거리를 두고 있지만 개별 의원들의 탄핵 반대 집회 참여는 이어지고 있다. 여당은 최근 최재해 감사원장과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검사 3인에 대한 헌재의 탄핵소추가 기각되면서 윤 대통령 탄핵도 각하 또는 기각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헌재 앞 여당 의원들의 릴레이 시위도 이어지고 있고, 나경원·윤상현·김기현 등 중진 의원들 사이에서 탄핵 기각·각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이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을 29번 발의했는데, 13건이 헌재에 넘어갔고 그 중 8건이 선고됐는데 전부 기각됐다"며 "민주당이 아무런 이유 없이 국정을 마비시킨 것이고 이는 누구의 잘못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어"여기에 대해 누가 책임을 져야 하나. 민주당이 책임져야 한다"며 "아무런 반성의 메시지나 대국민 사과가 없다는 것은 민주당의 후안무치한 집단이라는 것을 여실히 증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한편, 권 원내대표는 헌재의 탄핵심판 결과에 승복하겠다면서 민주당도 승복 메시지를 내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2025-03-16 15:27:28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美, 韓 민감국가 목록 포함에 정치권 우려 한목소리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막판에 대한민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지정국가 목록(SCL)'에 포함시켰다는 게 공식 확인되면서, 정치권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민감국가 목록 등재란 개인 단위는 물론 기업과 국가 수준의 교류까지 제한되는 조치로, 한국이 포함된 범주는 민감국가 목록 중 최하위 범쥐인 '기타 지정국가'다. 한미동맹 역사 상 전례가 없었던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한국의 연구자들이 미 에너지부 관련 시설이나 연구기관을 방문할 때마다 미 에너지부의 사전 허가가 필요하다. 미 정부 관계자는 한미 양국 과학 교류에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공식 언급했으나, 민감국가 목록 포함에 따른 심리적 위축 등의 영향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립외교원장 출신인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은 16일 <메트로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이번 SCL 지정은 윤석열 정부 들어 일련의 사건들이 이어진 결과 나온 '미국의 경고'라고 분석했다. 또한 정치권이 탄핵 정국 속 조기 대선 가능성이 나오자 안보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 정책으로 '자체 핵무장론'을 띄우고 있다며 이를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준형 의원은 "(한국 핵 무장론을 주장하는) 수미 테리 미국외교협회 선임연구원 기소 사건, 한미 '워싱턴 선언' NPT(핵무기확산금지조약) 준수 조약 삽입, 윤 대통령의 국방부 업무 보고 '자체 핵무장론' 언급, 윤 대통령의 한미 공동 핵무장 구상 발표 등 바이든 행정부가 '안 되겠다' 싶어서 내린 조치인 듯 하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정부에서) 한국이 자체 핵무장 의지가 없다고 분명하게 이야기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차기 여권의 대선 후보인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 등은 북한의 핵 능력 고도화에 따른 대응과 트럼프 행정부 대미 협상 카드로 활용하기 위해 한국 핵 무장론에 긍정하는 상황이다. 원내대표 출신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유지와 국민의 안전보장을 위한 자위권적 핵무장 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 국정원 제1차장 출신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민주당은 스스로 핵무장을 금기시하는데, 이 굴레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김준형 의원은 국제 통상이 큰 축을 차지하는 대한민국 경제에서 핵무장 추진에 따라오는 경제적·외교적 손실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국제사회에선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다음으로 핵무장을 할 수 있는 위험 국가를 한국으로 보고 있다"며 "미국이 제공하는 핵우산을 믿을 수 없으니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논리를 국민에게 호소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같은 경우는 통상으로 먹고 사는 나라인데, 큰일 난다"고 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방차관으로 임명된 엘브리지 콜비가 주한미군 철수를 전제로 한 한국의 핵무장 옵션을 제시한 바 있으나, 역설적으로 미국이 한국의 핵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NPT나 유럽 등 다른 국가에 위험 국가로 분류된다. 양쪽에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 그렇게 레버리지로 이야기한다는 것은 위험하다"고 했다. 외교 정상 채널이 가동되기 힘든 탄핵 정국에서도 정부와 의회가 힘을 합쳐 오는 4월 15일 전까지 민감 국가 목록 지정 해제에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다. 민주당 경제안보특위 위원장인 김태년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국가안보, 핵비확산, 지역불안정, 경제안보위협 등 민감국가 지정 사유를 감안하면 해제의 길이 보인다"며 "또한, 국민의힘은 입을 다물어야 한다. 섣부른 핵무장론으로 경거망동했다간 대한민국의 핵잠재력뿐만 아니라 경제전반이 퇴행할 것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현안 간담회에서 민감국가 목록 포함을 두고 "당장 한미 간 기술협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여당은 이번 사안을 엄중하게 보고 있다"며 "정부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계 기관과 긴밀 협의 중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동시에 직무정지 상태에 놓인 대행의 대행 체제에서 이런 외교 통상 문제에 대해 고위급 차원의 신속한 긴밀한 대응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권 원내대표는 당국이 이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한 점에 대해선 비판을 달게 받겠다고도 했다.

2025-03-16 15:09:18 박태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