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상반기 최고 인기 대구·부산, 하반기에도 2만가구 분양

지난 상반기 청약마감률 1·2위를 기록하며 높은 인기를 누렸던 대구·부산지역에서 하반기 2만여 가구의 신규공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하반기 부산 1만4782가구, 대구 5639가구 등 총 2만421가구가 분양을 준비 중이다. 이 중 부산에서는 교통 및 주거환경이 우수한 지역주택조합, 재개발 사업장이 눈에 띈다. 가장 먼저 부산진구 당감동 일원에서 '서면 지역주택조합'(가칭)이 8월 초 분양을 계획하고 있다. 전용면적 59~84㎡, 828가구 규모로, 월드건설산업이 시공 예정사다. 부산지하철 2호선 동의대역과 가야역을 도보로 이용 가능하고, 다양한 편의·상업시설 등이 밀집한 서면과 가깝다. 가야초, 가남초, 개성중, 가야여중, 가야고, 경원고 등이 인접해 있다. 9월과 10월에는 남구 대연동 대연7구역과 2구역을 재개발한 아파트가 분양에 들어간다. 대연7구역에서는 SK건설이 총 1117가구 중 전용 59~111㎡, 780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또 대연2구역에서는 롯데건설이 총 3149가구 중 59~121㎡, 1893가구를 공급한다. 두 단지 모두 부산지하철 2호선 대연역과 못골역이 가깝다. 부산지하철 1호선 부산대역 인근 금정구 장전3구역에서는 삼성물산이 10월 '래미안 장전'을 선보인다. 전체 1959가구 가운데 전용 59~114㎡, 1356가구가 일반분양 몫이다. 단지 앞으로 온천천과 온천천수변공원이 위치했고, 홈플러스, CGV 등의 편의시설을 갖췄다. 금정초, 금빛초, 장전중 등이 통학권 내 위치했다. 이외에도 사하구 구평동 'e편한세상 사하', 북구 화명동 '동원로얄듀크', 서구 서대신동1가 '대신 푸르지오' 등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대구에서는 반도건설이 2개 단지 분양을 준비 중이다. 9월 달성군 달성2차산업단지에서 전용 69~84㎡로 이뤄진 813가구를, 11월 동구 신천동에서 재건축 아파트인 '신천동 반도유보라'를 분양한다. 총 807가구 규모로 전용 39~84㎡, 640가구가 일반분양된다.

2014-07-30 16:11:23 박선옥 기자
8~10월 전국 6만4307세대 입주 예정…46% 증가

국토교통부는 올해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간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를 공개했다.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6만4307세대(8~10월, 조합 물량 제외)로 지난해 동기대비 46.0%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월별로 살펴보면, 8월 2만6273세대, 9월 1만7453세대, 10월 2만581세대로, 8월의 경우 이사 비수기에도 불구 전년에 비해 139.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전월세시장에 긍정적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 수도권 입주물량은 1만9685세대(서울 9398세대 포함)로 지난해 동기대비 17.8% 증가했고, 이 중 서울 내곡·세곡2지구 및 경기 수원호매실·고양원흥 등 공공물량이 수도권 전체물량의 47.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은 4만4622세대로 지난해 동기대비 63.2% 증가했으며, 특히 세종은 엠코타운(1940세대), 세종푸르지오(1970세대) 등 같은 기간 지방에서 가장 많은 8841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다. 규모별로 살펴보면, 60㎡이하 2만3281세대, 60~85㎡ 3만5681세대, 85㎡초과 5345세대가 입주예정으로, 중소형(85㎡이하)주택은 전년동기대비 60.4% 증가, 대형(85㎡초과)주택은 26.7% 감소했다. 주체별로는, 공공 1만4957세대, 민간 4만9350세대로 조사됐다. 아파트 입주단지에 대한 세부정보는 전월세 지원센터 홈페이지(jeonse.lh.or.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14-07-30 15:25:15 김두탁 기자
상장 빅5 건설사, 실적 안정 '본격화'

지난해 최악의 실적을 거둔 건설사들이 올 들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작년 어닝 쇼크를 기록한 대우건설, 대림산업, GS건설이 부실을 털어내고 실적 향상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대림산업, GS건설 등 상장 5대건설사가 상반기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은 작년에 이어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 중 건설업계 맏형 격인 현대건설은 상반기 매출 7조9934억원, 영업이익 4672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이 쿠웨이트 자베르 코즈웨이 해상교량, UAE 사브 해상원유처리시설 공사의 본격 진행으로 작년 상반기에 견줘 26.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역시 철저한 리스크 관리 및 지속적인 원가절감 추진 노력으로 23.2% 늘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도 매출 7조2342억원, 영업이익 2403억원의 실적을 거뒀다.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25.4%, 63.8% 성장했다.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 캐나다 온타리오 신재생 발전사업 등 해외 사업장의 공사 본격화 및 수익 반영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작년 상반기 2176억원의 이익을 올리고도 연간 1119억원의 영업손실을 봤던 대우건설은 올 들어 2225억을 벌어들였다. 전년 동기보다도 2.2% 소폭 증가한 것은 물론, 지난 하반기 부진을 말끔히 씻어낸 실적이다. 매출은 4조5838억원으로 5.6% 늘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부동산 침체기에도 활발하게 분양사업을 전개해온 주택·건축부문이 상반기 회사의 성장을 견인했다"며 "국내 주택공급 1위 업체로서 하반기 주택경기가 살아난다면 다시 한 번 도약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림산업은 작년 동기에 견줘 6.8% 줄어든 4조6469억원의 매출과 39.9% 빠진 1417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그러나 작년 4분기 3195억원 적자라는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냈다. 대림산업 측은 "별도기준 부채비율이 2분기 기준 106.5%, 순차입금 3627억원으로 대형건설사 중 가장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조원에 가까운 손실을 본 GS건설은 상반기 71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지만 2분기 111억원의 이익을 내며 7분기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특히 신규수주액이 7조846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06% 증가했다. GS건설 관계자는 "2013년 말 293%까지 올라갔던 부채비율이 상반기 243%까지 개선됐으며, 파르나스호텔 매각 또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재무 안정성은 한층 강화될 전망"이라며 "무엇보다 올해 이뤄진 양질의 해외수주로 내년 수익구조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2014-07-30 14:57:11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대학생·신혼부부, 행복주택 6년까지 산다

대학생·사회초년생·신혼부부는 임대주택인 '행복주택'에 6년까지 살 수 있다. 또 행복주택 물량의 80%는 젊은 계층에게 공급된다. 국토교통부는 30일 행복주택의 입주자 선정 기준을 담은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마련해 31일부터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우선 행복주택의 80%는 대학생·사회초년생·신혼부부 등 젊은 계층에게 공급된다. 나머지 가운데 10%는 취약계층에, 10%는 노인계층에 돌아간다. 다만 산업단지에 공급하는 행복주택의 경우 산단 근로자에게 80%를 공급하고, 행복주택 사업으로 주택이 철거된 사람이 있을 때는 그 사람에게 행복주택을 우선 공급한다. 행복주택 공급 물량의 50%는 기초단체장이 우선 선정할 수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나 지방공사가 행복주택 사업을 직접 수행할 경우 우선 선정 범위가 70%까지 확대된다. 물론 지자체장이 재량껏 선정할 때도 기본적인 행복주택 입주 자격은 갖춰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생은 행복주택이 들어선 시(특별·광역시 포함)·군 또는 그와 맞닿은 시·군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미혼 무주택자여야 한다. 아울러 본인·부모의 합계 소득이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461만원) 이하이면서 국민임대주택 자산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사회초년생은 행복주택이 있는 시·군 및 그와 맞닿은 시·군에 직장을 둔 취업 5년 이내 미혼 무주택 세대주여야 한다. 또 본인 소득이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의 80% 이하이면서 공공임대주택의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대학생·사회초년생·신혼부부의 거주 기간은 6년으로 제한된다. 이때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이 행복주택에 살다가 취업하거나 결혼할 경우에는 최대 10년까지 살 수 있다. 그러나 노인·취약계층과 산단 근로자는 주거 안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 장기(최장 20년)거주를 허용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행복주택이 건설되는 지역은 경제활동인구가 유입되면서 지역 활력이 살아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정안에 의견이 있는 사람은 9월 10일까지 우편이나 팩스, 홈페이지 등을 통해 국토부에 의견을 제출하면 된다.

2014-07-30 14:07:01 박선옥 기자
현대건설, 9월 세종發 하반기 분양 시작

일반아파트 1418가구, 조합아파트 1422가구 현대건설이 9월 세종시 2-2생활권 P2특별건축구역을 시작으로 하반기 2800여 가구 분양에 돌입한다. 현대건설은 하반기 일반 1418가구, 조합 1422가구 등 총 2840가구(임대 제외)를 분양한다고 30일 밝혔다. 왕십리3구역, 북아현1-1구역, 금호20구역 등 서울 재개발 현장 3곳과 세종시 1곳 등 총 4개 사업장이다. 이 가운데 세종시 2-2생활권 P2 특별건축구역은 포스코건설과 현대건설이 총 1700여 가구의 대단지를 공급할 예정으로, 현대건설 분양분은 852가구다. 초·중·고교 및 BRT(간선급행버스) 정류장이 가깝고, 중심상업지구와 접해 있어 편의시설 이용이 쉽다. 특히 설계공모를 통해 토지공급이 이뤄진 특별건축구역인만큼, 창의적인 디자인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10월 조합원, 11일 일반분양이 계획된 왕십리뉴타운3구역은 전체 2097가구 규모로 현대·포스코·SK건설 컨소시엄이 진행한다. 또 오피스텔도 별도로 공급할 예정으로, 현대건설이 현대건설이 아파트 839가구와 오피스텔 104실을 맡았다.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1·2호선 신설동역, 2·6호선 신당역, 2·5호선·중앙선·분당선 왕십리역이 가까운 교통의 요지다. 이마트, CGV, 왕십리 민자역사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향후 단지내 대형 편의시설도 입점할 예정이다. 11월과 12월 분양할 북아현 1-1구역과 금호20구역은 일반분양 외 조합원분양만 계획하고 있다. 북아현 1-1구역은 총 1226가구 중 616가구를, 금호 20구역은 606가구 중 429가구를 조합에 분양한다. 이들 구역의 일반분양은 내년으로 계획됐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올해 'MOVE & FIT' 이라는 상품 콘셉트 하에 고객 눈높이에 맞는 상품을 제공해 입주민들의 만족도를 극대화했다"며 "특히 지난 6월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가 평가한 '2014 THE PROUD 대한민국 명품지수' 주거부문에서 5년 연속 1위에 선정되면서 이번 하반기 공급 물량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2014-07-30 12:57:25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전국 미분양주택, 상반기 1만 가구 줄어

올 상반기 전국 미분양 주택 가구수가 1만여 가구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3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5만257가구로, 작년 말 6만1091가구 대비 1만834가구 줄었다. 수도권이 3만3192가구에서 3만212가구로 2980가구, 지방이 2만7899가구에서 2만45가구로 7854가구 빠졌다. 각 시·도별로 미분양 감소폭이 가장 컸던 곳은 경기도로 4218가구가 줄었다. 작년 말 2만4760가구, 6월 말 2만632가구를 기록했다. 고양시가 1634가구 소진되며 영향을 가장 많이 미쳤고, ▲화성시 1491가구 ▲수원시 1193가구 ▲파주시 914가구 ▲용인시 824가구 순으로 미분양에 감소에 도움을 줬다. 다만, 상반기 공급이 많았던 하남시(990가구), 평택시(790가구), 시흥시(658가구)는 증가했다. 다음으로는 충남이 3566가구에서 1353가구로 2213가구 감소했다. 천안에서 가장 많은 996가구로 해소됐고, ▲아산시 934가구 ▲서산시 137가구 ▲보령시 124가구 순으로 미분양이 판매됐다. 이 기간 미분양이 증가한 곳은 서천군(37가구)이 유일했다. 이밖에 울산이 3310가구에서 1115가구로 2195가구, 부산이 4259가구에서 2640가구로 1619가구 소진됐다. 이에 반해 인천은 5275가구에서 1704가구가 증가해 6979가구 미분양이 늘었다. 남구가 1323가구로 가장 많았고, 연수구와 중구에서도 각각 390가구와 241가구의 미분양이 발생했다. 지방에서는 전남에서 1357가구의 미분양이 발생했다. 목포와 광양에서 각각 210가구, 169가구가 줄었지만 나주와 여수에서 987가구, 703가구 증가했다. 조은상 부동산써브 팀장은 "상반기 미분양이 즐어든 데는 전세난에 분양시장 호조세가 맞물리면서 새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신규분양 물량이 계속 늘고 있어 미분양이 증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2014-07-30 11:24:26 박선옥 기자
주택산업연구원 "월세임차가구 부담 완화할 대책 필요"

월세임차가구 증대는 공급 부족을 초래하고, 이에 따른 임차료 상승으로 인한 주거비 부담 증대로 월세가구의 생활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차상위계층을 포함한 상대적 지원소외계층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월세임차가구 지원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다양한 대책 마련을 제안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전세가격의 상승이 지속되면서 월세로의 전환도 가속화되고 있어, 월세임차가구 중심의 주거비 지원이 있어야 주택시장 및 수요 변화에 순응하는 맞춤형, 미래지향적 주거복지정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특히 임차수요 증대 시대에 대비하는 주거지원정책의 시작은 주거비 부담 완화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액공제 대상을 영세사업자로 확대하고, 세액공제 한도도 증대(연간 월세 합계의 20%)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정 소득 이하(부부합산 5000만원)의 임차인에게 임대하는 경우, 임대인의 세제감면 혜택도 확대하고, 특히 리모델링을 활용할 경우, 투자비 10%를 세액공제하고, 감가상각 기준을 완화해, 임차인 주거 질을 높이는 것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임대주택 공급량을 증대시키는 것 뿐 아니라 지원 혜택이 임차인에 많이 집중되도록 다양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임차 중심 시장으로 변하는 수요 변화에 맞는 맞춤형 주거복지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원은 월세의 연간 합계인 월세지원을 제안했다. 기본 구조는 국민주택기금이 대한주택보증의 보증을 통해, 월세가구의 연세 부담 일부 혹은 전부를 할인하여 임대인에게 지급하고, 임차인은 상환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지원 대상으로 전세자금지원과 동일한 부부합산 5000만원 기준에 신용등급 6등급 이하인 가구로 한정하고, 중장기 임차시장 확대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면 가능한 방식으로, 임대인이 납부한 소득세 일부를 국민주택기금 월세지원 재원으로 활용한다면 연속적 지원을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맞춤형 지원 필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장 상황에서 월세임차가구 중심의 지원 정책은 정부가 고려할 만한 정책으로 필요성도 증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2014-07-30 11:00:00 김두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