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새로운 세상 만들 준비됐나"…지지자들 "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남부수도권의 핵심인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구축을 내세우며 본격적인 부울경 공략에 나섰다. 부울경은 이 후보가 이번 대선에서 공석 선거운동 첫 일정으로 정할 만큼 전략지로 꼽는 지역이다. 이 후보는 27일 부산진구 서면 쥬디스태화 인근에서 집중유세를 열고 "이곳이 김영삼, 노무현 그리고 걸출한 문재인 대통령이라는 큰 정치인 만든 부산 맞나. 새로운 세상 만들 준비 됐습니까. 준비됐나"라며 지지자들의 호응을 이끌었고, 지지자들은 "됐다"라고 답했다. 이 후보는 "단기간에 성남시를 대한민국 최고의 도시로 만들어서 대선에 불려 나온 이재명이다. 경기도도 2년 만에 전국 최고의 시·도로 만들었다고 평가받았다"며 "3년 만에 경기도에 130조원 투자 유치했다. 부산에 그 정도 했으면 부산은 지금 디비졌을(뒤집어졌을) 것이다. 부산 경제를 포함해 대한민국 경제 확실하게 살려놓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제는 지방 중심의 균형성장 정책을 취해야 나라가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할 수 있다"며 "지방에 더 많은 예산을 내려줘 지방의 자율권을 더 키워야 하고, 지방에 SOC(사회간접자본) 투자를 더 늘려야 한다. 지방 교육기관을 더 지원하고 지방에 사람들이 정주해 행복해서 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김경수 지사가 먼저 시작하고, 문재인 대통령께서 적극적으로 지원한 것인데, 부울경 메가시티 꼭 해야 한다"며 "동북아로 뻗어가는 해양, 항만, 철도, 하늘길의 첫 출발지인 부산도 새로운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메가시티 중에서 경북·대구, 부울경 그리고 전남·광주 다 묶어서 남부 지역의 새로운 수도권을 하나 만들자, 싱가포르처럼 독립된 하나의 경제권을 만들자는 데 동의하느냐"며 "그러면 팍팍 찍어달라.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다. 저는 약속의 95% 이상 지켰다. 불가능한 약속 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 수도권 일극 체제로는 미래가 없다. 이제는 국가 간 경쟁에서 도시 간 경쟁으로 바뀌는데 어떻게 수도권 한 개 가지고 다른 나라 거대 시티와 경쟁할 수 있겠나"라며 "우리 안에도 경쟁이 있어야 하지 않겠나. 그래서 균형발전, 자치분권의 강화, 부산 북항 재개발, 2030 부산엑스포, 가덕신공항 제가 확실하게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또, 부산을 국가재정을 투입한 문화의 도시로 확실하게 키워놓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앞으로는 문화 컨텐츠가 미래의 핵심 산업이 될 것"이라며 "지원을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김대중 대통령의 원칙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블랙리스트 같은 것 하면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문화인은 간섭하면 안 된다. 문화는 저항과 반발이 기본이다. 순종하는 것은 문화가 아니다"라며 "제가 문화 예산 확실하게 늘리고, 부산국제영화제 국가 예산으로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이와 함께 부산 엘시티 개발 문제도 언급하며 국민의힘을 겨냥했다. 이 후보는 "부산 엘시티 그냥 허가해 줘서, 부산도시공사가 가지고 있던 땅 원가로 팔아 그 사람들이 100% 1조원 그냥 공짜로 먹었지 않나"라며 "그렇게 했던 집단이 그래도 민간개발 못하게 하고 악착같이 공공개발하고 회수해서 70%, 5800억원 뺏었더니, 저 보고 '왜 다 못 지켰냐'라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엘시티를 잘했나, 대장동 개발을 잘했나"라며 "이런 후안무치하고 적반하장 일삼는 마인드로 국가권력을 제대로 행사할 수 있겠나"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재명 후보는 집중유세 직후 '품격있는 글로벌 해양 도시 부산, 이재명이 약속합니다' 대국민 협약식을 통해 ▲가덕도 신공항 2029년 개항 ▲부울경 메가시티 1시간 생활권 실현 ▲해운산업 메카·수소경제 허브로 육성 ▲핀테크·디지털자산거래 중심지 육성 ▲글로벌 문화·예술·관광 도시로 육성에 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