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 "앞으로의 지향점 '넥스트 모빌리티', 이동의 과정 새 기술로 혁신할 것"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10일 "앞으로의 지향점을 '넥스트 모빌리티'로 선언하고, 이동의 과정을 새 기술로 효율화해 혁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삼성동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첫 테크 콘퍼런스 '넥스트 모빌리티(NEXT MOBILITY): NEMO 2022'를 10일 개최, 모빌리티 영역을 기술 집약적 산업으로 확장해 나가고자 하는 기업 비전을 선보였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개회사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가 걸어온 길을 되짚어보고, '넥스트 모빌리티' 구현에 대한 비전을 소개했다. 류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는 2015년 카카오 T 택시 런칭 이후 약 7년 간 모빌리티 산업에 모바일, 인공지능, 플랫폼, 데이터 등의 기술을 도입하며 일상 속 '이동의 혁신'을 이어왔다"며 "지속적인 수요 공급 매칭 기술 고도화를 통해 2017년 대비 2021년 택시 배차 소요 시간을 59% 감축, 현재는 평균 8초면 원하는 택시 배차가 가능해졌다"고 평가했다. 또한 안전한 이동에도 힘써, 고령의 부모님, 자녀들만 이동시킬 때도 카카오 T를 통해 이동경로, 결제정보, 기사님 정보를 확인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으며, 국내 최초로 모빌리티 서비스에 도입한 '자동결제' 기능은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필수 비대면 서비스가 됐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 "카카오모빌리티의 기술은 ESG 측면의 가치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며 "전기차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카카오내비에서는 전기차 전용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고, 택시 분야에서는 전기차의 운행 가능 거리를 고려한 인공지능(AI) 전기택시 배차 서비스를 준비 중이며, 전기차 전환을 독려해 이미 가맹 전기 택시 1500여 대가 연간 1만 5000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절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류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 혼자서 이같은 과업을 달성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미래 기술 개발에 전폭적인 투자를 지속하는 동시에 우수한 기술 역량을 갖춘 국내외 파트너사, 공급자들과 상생 협력해 미래를 준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 택시'가 첫 선을 보인 2015년 4월 이후 7년 여의 시간 동안 하나의 플랫폼에서 택시, 대리, 바이크, 기차, 항공 등 모든 이동 수단을 통합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최대 완성형 MaaS 앱 '카카오 T'를 통해 이동 편의성을 높이고, 자율주행을 포함한 모든 이동을 아우르는 것을 목표로 성장해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테크 콘퍼런스에서 그동안 택시 호출, 길안내 등 이동 과정을 지원하는 서비스로만 제한적으로 인식돼 온 모빌리티가 기술 집약적 산업으로서 무한 확장하고 있음을 조명하고, ▲유승일 최고기술책임자(CTO)를 필두로 한 카카오모빌리티의 주요 개발자들을 비롯해 ▲자율주행 업계의 아이콘인 미국 오로라사의 CEO인 크리스엄슨(Chris Urmson) ▲볼로콥터사 CEO 플로리안 로이터(Florian Reuter) 등 모빌리티 글로벌 리더들과 함께 융합된 혁신 패러다임을 새롭게 제시했다. 또한 LG, 삼성전자, GS리테일 등 국내 대기업과 우아한형제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토르드라이브, 번개장터 등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 및 기술 스타트업도 대거 참여해, 모빌리티 산업이 고도화된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이동의 목적을 분석하는 것은 물론, 빅데이터 기반으로 이동 전 최적의 모빌리티 수단을 먼저 제시하거나 사람이 직접 이동하지 않아도 사물과 서비스가 찾아오게 하는 등 미래 라이프 환경도 변화시키고 있음에 주목한 바 있다. 이번 NEMO 2022 행사장에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측위센서와 시공간 동기화 기술로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는 모바일 맵핑 시스템(MMS) ▲카카오모빌리티 자체 기술로 구축된 자율주행 차량 ▲카카오모빌리티의 서비스 및 기술 고도화에 활용되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시각화한 '모빌리티 아틀라스' 등을 전시했다. 또 미래 자율주행차 컨셉모델인 'LG 옴니팟(LG OMNIPOD)'이 최초로 실물을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