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피피비스튜디오스, 3분기 최대 실적 달성…'K뷰티렌즈' 성장 확대

글로벌 뷰티테크 기업 피피비스튜디오스가 국내외 유통망을 확장하며 최대 분기 실적을 내 수익 성장 기반을 다졌다. 피피비스튜디오스는 올해 3분기 실적으로 연결 기준 매출은 160억원, 영업이익은 30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0% 이상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매출은 4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이상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호실적은 해외 사업을 강화한 성과다. 피피비스튜디오스는 최근 일본 최상위권 콘택트렌즈 기업 'PIA'와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 서브 브랜드 '츄 렌즈'는 일본 대표 유통 매장 돈키호테에 신규 입점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피피비스튜디오스는 이미 지난해부터 미국 로스앤젤레스와 마이애미에 각각 뷰티렌즈 브랜드 '하파크리스틴' 단독 매장을 운영해 왔다. 피피비스튜디오스 측은 "미국 시장 확대를 위한 선제적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상반기 손익분기점(BEP)을 넘어서며 본격적인 수익성 단계에 진입하는 등 질적 성장이 본격화됐다"고 설명했다. 내부 운영체계 정비와 경영 효율화도 실적 개선을 뒷받침했다. 국내 CJ올리브영 샵인샵을 포함한 신규 가맹점 10곳이 3분기 중 새로 문을 열며 가맹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커졌다. 특히 브랜드 지점과 일반 안경원 모두를 공략한 이중 채널 전략이 주효했다. 대표 브랜드 '하파크리스틴'을 중심으로 새로운 고객 경험을 확장하는 동시에 안경원 운영 서비스 '윙크'를 지속 강화하고 있다. 안경원에는 고객 관리 효율화를, 소비자에게는 매장 정보 제공 및 방문 편의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장준호 피피비스튜디오스 대표는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조직과 사업을 새롭게 다듬으며 핵심 역량에 집중한 결과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며 "향후에도 브랜드와 가맹 안경원의 동반 성장은 물론, 렌즈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바탕으로 뷰티와 IT를 융합해 뷰티테크 기업의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11-07 09:49:55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美 증시 충격에 코스피 4000선 밑으로

코스피가 개장과 동시에 4000선 밑으로 후퇴했다. 인공지능(AI) 고평가 여파와 고용 시장 불안 등으로 뉴욕 증시가 약세를 보이면서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0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36.97포인트(0.92%) 하락한3989.48을 기록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 대비 1.56% 급락한 3963.72에 출발하면서 개장과 동시에 4000선이 무너졌다. 장 초반 4000선을 다시 회복했으나 9시 15분께부터 다시 4000선 밑으로 떨어졌다. 기관이 711억원, 외국인이 1872억원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홀로 2491억원을 순매도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4.43%)가 가장 크게 떨어졌으며, HD현대중공업(-1.90%), 두산에너빌리티(-1.51%), 현대차(-1.49%) 등이 모두 하락세다. 반도체주인 삼성전자(-0.10%)와 SK하이닉스(-0.84%), 삼성전자우(-0.78%) 등도 모두 내렸으며, LG에너지솔루션(0.53%)과 KB금융(0.56%)만 올랐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12.22포인트(1.36%) 내린 885.95를 나타내고 있다. 기관은 68억원, 개인은 434억원을 팔고 있다. 반면, 외국인은 751억원을 사들이는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들은 일제히 내림세다. 삼천당제약(-3.07%)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으며, 에코프로비엠(-2.09%)와 에코프로(-1.39%), 에이비엘바이오(-1.72%), HLB(-1.58%) 등이 모두 하락했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국내 증시는 미국 증시에서의 AI 기술주 하락, 외국인 중심의 차익실현 기조 지속 등의 영향으로 전일에 이어 상승 탄력이 제한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라며 "특히 최근 원·달러 환율 레벨이 1450원대까지 근접하며 상방 압력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외국인의 수급 방향성도 일시에 반전되기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다. 6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98.70포인트(-0.84%) 내린 4만6912.30에 종료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75.97포인트(-1.12%) 내린 6720.32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445.80포인트(-1.90%) 내린 2만3053.99에 마쳤다. 3대 주요 지수가 모두 하락한 것이다. 이 연구원은 "미 증시는 뚜렷한 방향성이 부재한 가운데 등락을 거듭하는 장세가 지속되며, 전반적으로 악재에 민감도가 높은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며 AI 고평가 우려, 고용 시장 불안 등이 모두 겹쳤다고 봤다. 이날 발표된 10월 미국 감원 규모(챌린저 보고서)는 15만3000명으로 전월(5만4000명) 대비 183%, 전년 대비 175% 급증했다. 이는 월간 기준 2008년 4분기 이후 최대치 수준이다. 이와 더불어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은 추가 금리 인하에 전반적으로 신중한 태도를 보임에 따라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의 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점증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 요인이다. 이러한 가운데 AI 기술주에 부여된 밸류에이션 논란도 현재 진행형인 만큼 증시 탄력이 제한된다는 의미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주간 거래 종가 대비 0.4원 오른 1448.1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11-07 09:39:51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업비트, 대학생 서포터즈 ‘업투’ 4기 모집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대학생 대상 서포터즈 프로그램 '업투(UpTo)' 4기 참가팀을 모집한다고 7일 밝혔다. 미래세대의 건강한 투자 문화 형성과 디지털자산 분야의 차세대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운영되는 '업투(UpTo)'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이 디지털자산 산업을 직접 경험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이번 업투 4기는 개인이 아닌 3~4명의 대학생으로 구성된 팀(총 10팀, 30여 명 내외)으로 참가 신청을 받는다. 소속 대학 상관없이 자유롭게 팀을 구성할 수 있다. 업투 4기는 'Team UP for the Next Block'을 슬로건 아래 ▲브랜드 콘텐츠 기획·제작 ▲캠퍼스 프로젝트 등 오프라인 행사 기획 및 실행 ▲업비트 주요 행사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들은 오는 12월 말 발대식을 시작으로 2026년 3월까지 약 4개월 동안 활동한다. 참가자 전원에게는 월 20만원의 활동비가 지급되며, 우수 참가팀 및 개인에게는 총 1200만원 규모의 포상금과 업비트 인턴십 체험 기회가 주어진다. 또한 웰컴키트, 수료증, 업비트 공식 채널 게재 기회 등 다양한 혜택도 제공된다. 업비트와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 분야에 관심 있는 국내외 대학생(2026년 2월 졸업 예정자 제외)이라면 이달 25일까지 '업투'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최종 합격자는 서류 전형 및 온라인 면접 심사를 거쳐 12월 5일 발표된다. 윤선주 두나무 최고브랜드임팩트책임자(CBIO)는 "업투 서포터즈는 젊은 세대와 함께 브랜드 문화를 만들어가는 참여형 프로젝트"라며 "이번 4기를 통해 대학생들이 팀워크와 창의력을 발휘하며 세계적 디지털 자산 문화를 선도하는 국가대표 거래소 업비트의 브랜드 가치를 직접 체험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5-11-07 09:15:32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락앤락, '대학생 서포터즈' 플로깅 활동…환경 중요성 알려

락앤락의 친환경 대학생 서포터즈 그린메이트가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플로깅 활동을 하며 환경의 중요성을 알렸다. 7일 락앤락에 따르면 2013년 시작한 그린메이트는 400여명 이상의 수료자를 배출하며 국내 대표 친환경 대학생 서포터즈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행사에는 25기 그린메이트가 공원 일대를 함께 걷고 쓰레기를 수거하며, 환경 보호 인식 확산을 위한 SNS 미션을 수행했다. 4개 조로 나뉘어 여의도공원 산책로 주변을 중심으로 플로깅 활동을 펼친 후 '일상 속 친환경 습관'을 주제로 영상·카드뉴스·숏폼 등 콘텐츠를 제작해 SNS에 공유했다. 그린메이트로 활동하고 있는 덕성여대 서윤덕 학생은 "쓰레기를 줍는 단순한 활동을 넘어 환경 문제를 몸소 느낄 수 있었던 뜻깊은 경험이었다"며 "오늘의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들어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조금 느리더라도 지구와 환경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계속 이어가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락앤락은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ESG 경영에 힘을 쏟고 있다.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감축 이행, 친환경 소재 제품 개발을 비롯해 자원순환 캠페인 'Love for Planet', 몽골 사막화 방지 사업 'Love for Mongolia' 등을 통해 자원순환과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5-11-07 06:34:35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KCC글라스, 국내 최초 조류 충돌 방지 유리 '세이버즈' 출시

KCC글라스가 국내 최초로 조류 충돌 방지 기능을 갖춘 유리 '세이버즈(SAVIRDS)'를 출시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및 친환경 건축 수요 대응에 나선다. 7일 KCC글라스에 따르면 세이버즈는 특수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 기법을 활용해 유리의 표면에 조류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패턴을 새긴 제품이다. 가로 5cm, 세로 5cm 간격으로 새겨진 8mm 크기의 원형 패턴이 조류가 유리를 통과할 수 없는 장애물로 인식하도록 해 충돌을 막는다. 실제 세이버즈는 '미국조류보호협회(ABC, American Bird Conservancy)'에서 진행한 시험에서 기준 이상의 요건을 충족해 국내 유리 제품 중 최초로 해당 협회로부터 조류 충돌 저감 효과를 인증받았다. KCC글라스의 세이버즈 출시는 유리로 인한 야생조류 피해의 심각성이 커지고 관련 법규가 강화되는 데 따른 대응이다. 국립생태원이 2019년 환경부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연간 약 800만 마리의 조류가 건축물 유리 및 방음벽 등에 충돌해 폐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22년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고 공공기관 건축물에 야생동물 피해 저감 조치를 의무화한 바 있다. 현재는 유리에 조류충돌방지필름이나 조류충돌방지스티커를 부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자외선 등 외부 요인에 따른 변색이나 탈락 등 내구성 한계로 인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와 달리 세이버즈는 유리 자체에 패턴을 새김으로써 반영구적으로 패턴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약 없이 일반 유리와 동일한 재단 및 가공이 가능하다. 특히 패턴이 새겨진 면의 반대 면에는 로이(Low-E) 코팅(유리의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한 은 코팅)을 적용해 높은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야생조류를 보호함과 동시에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에도 효과적이다. KCC글라스 관계자는 "국내 유리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으로서 제품 상용화와 함께 야생조류 보호에 대한 소비자 인식 증진 활동도 병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11-07 05:35:19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농업테마파크 제주 '그린스케이프' 방문객 100만명 '훌쩍'

제주에 있는 미래농업 테마파크 '그린스케이프' 방문객이 100만명을 넘어섰다. 7일 대동그룹에 따르면 제주대동이 제주시 애월읍 새별오름 인근에 조성 중인 21만평 규모의 '그린스케이프(GREENSCAPE)'가 1년 6개월 여만에 누적 방문객 100만명을 돌파했다. '그린스케이프'는 2024년 4월과 5월 각각 문을 연 국내 최초 미디어 아트 기반 키즈 카페인 '아르떼 키즈파크'와 직접 스마트팜에서 식재료를 재배해 공급하는 팜투테이블(Farm to table) 콘셉트의 '제주당 베이커리카페'를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확장하고 있다. 제주대동은 성과 달성의 배경으로 ▲제주 자연을 담은 건축물 ▲ 날씨와 무관하게 즐길 수 있는 실내 체험 공간 및 콘텐츠 ▲제주 천연 억새를 즐길 수 있는 그레이트필드 ▲새별오름, 이달오름으로 연결되는 산책로 ▲체험 기반의 관광 콘텐츠 활성화 등을 꼽았다. 특히, 중산간에 위치해 상대적으로 관광객 유치가 쉽지 않은 '그린스케이프'의 지리적 한계를 '체험'과 '힐링'을 결합한 차별화된 콘텐츠로 극복한 점이 100만 돌파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올해 '그린스케이프'는 농작물 콘셉트의 제빵과 스마트팜 작물 레스토랑 메뉴, 수려한 내외관 등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제주당 베이커리카페'를 중심으로 21만평의 거대한 부지를 활용해 유명 브랜드 팝업 스토어나 제주 작가들의 전시, 문화 행사를 진행하며 관광객과 지역민 모두에게 사랑받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제주 내 소상공인, 수공예품작가, 6차 산업 기업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그린스케이프 마켓'은 지난 5월 시작 이후 제주 지역 브랜드와 관광객을 연결하는 상생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 내년에는 '그린스케이프 마켓' 운영을 강화하고, 제주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신제품 개발 및 출시로 지역 상생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단단히 구축할 계획이다. 여기에 모회사인 대동의 그린바이오 작물이나 제주 특산물을 활용한 푸드 상품을 새롭게 개발하고 상품화를 통해 매출 신장에도 나설 계획이다. 제주대동 임예환 사업본부장은 "그린스케이프는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미래농업, 문화, 예술이 공존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연간 방문객 100만명을 목표로 제주 자연과 지역 자원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관광 모델을 만들고, 제주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2025-11-07 04:35:03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기보, 제주銀·한국평가데이터와 기술 유망 中企 지원한다

기술보증기금이 제주은행, 한국평가데이터와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포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6일 기보에 따르면 이번 협약은 지난 8월 기보와 6대 지역거점은행 간 체결한 '지역은행과의 생산적 금융지원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로, 각 기관이 보유한 기업 지원 역량을 바탕으로 기술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지역 주력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맞춤형 금융지원 체계를 구축하기위해 마련했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한국평가데이터의 성장잠재력 서비스(KOGPS)를 활용해 기술 성장기업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기보의 보증제도와 제주은행의 금융 플랫폼을 연계해 데이터 기반 금융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각 기관은 ▲정책금융상품 공동개발 ▲디지털 기반 기업금융서비스 확대 ▲정보공유 및 이행성과 점검 등 다방면의 협력체계를 구축, 지역 유망 중소기업의 자금 접근성과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생산적 금융생태계 조성에 공동으로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김종호 기보 이사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벤처·스타트업 육성과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기반이 마련됐다"며 "기보는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해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뒷받침하고, 기술 유망 중소기업이 지역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11-07 04:34:31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체험기]갤럭시 XR 직접 써보니...하드웨어·XR·조작 '우수', AI 연동은 '아쉽'

기자의 첫 VR·XR 기기는 중국 브랜드 'PICO'의 제품이었다. 스마트폰을 전면부에 끼워 디스플레이를 대신하는 방식이었는데, 무겁고 조작감도 형편없었다. 시야는 제한적이었고 장시간 착용하면 뒷목이 뻐근했다. 의자에 눕듯 사용하려 해도 각도 조절이 어려웠으며 전용 컨트롤러는 종종 작동 오류를 일으켰다. 화질 또한 기대 이하였다. 해당 VR 기기는 '최신 기술'이라기보다 '불편하기만 한 장난감'에 가까웠다. 첫 만남이 유쾌하지 않아서였을까, 이번 갤럭시 XR 체험에서 가장 주목한 부분은 기본적인 '착용감'과 '사용감'이었다. 다행히도 두 기기 간의 수준 차이는 비교하기 민망할 정도로 컸다. 갤럭시 XR의 공식 무게는 545g이었지만 딱 기분 좋은 수준의 묵직한 착용감이 느껴질 뿐 '무겁다'라는 느낌은 전혀 받지 못했다. 뛰어난 무게 중심 덕에 고개를 빙글빙글 돌리거나 한 방향을 오랫동안 바라봐도 피로감이 거의 없었다. 조작감 또한 인상적이었다. '핀치(pinch·꼬집기)' 제스처를 통한 조작은 처음 접하는 방식임에도 한 두번만에 빠르게 익숙해질 수 있을 정도로 직관적이었다. 손등과 손바닥, 손가락을 별개로 인식해 별도의 컨트롤러 없이도 스마트폰과 비슷한 수준의 쉬운 조작이 가능했다. 몇 번의 적응을 거치자 SF 영화의 등장인물마냥 이리저리 휙휙 자료를 넘기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했다. 별도의 콘트롤러 없이도 유연하게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는 점은 뚜렷한 강점이었다.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 그리고 MR(혼합현실) 기능 역시 기대 이상이었다. 기기 옆면을 두 번 터치하자 360도 시야각이 열리며 현실과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의 VR 공간이 펼쳐졌다. 산 정상을 테마로 한 환경을 불러오자 고소공포증이 있는 기자는 실제로 약한 현기증을 느꼈다. '현실 같은 체험'이 만들어낸 특별한 감각이었다. 가상 공간을 빠져나와 단 두 번의 '꼬집기'로 유튜브를 실행하자 현실 공간 위로 유튜브 영상이 겹쳐 떠올랐다. 현실-가상 간 괴리가 거의 느껴지지 않아, 눈 앞에 있는 '실제 사람'과 '영상 속 인물'이 AR을 통해 마치 한 공간에 함께 있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인공지능(AI)과의 연동 기능은 충분히 흥미로웠으나, 다소 아쉬운 지점도 있었다. 제미나이를 통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을 찾아가 줘'라고 명령하자 곧바로 상세한 음성 설명과 함께 관련 정보가 눈앞에 팝업됐다. 구글 맵과 연동해 스트릿 뷰를 살펴보거나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 기능을 통해 눈앞 사물이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즉시 얻을 수도 있었다. 다만 읽고 있는 외국어 지문을 막힘 없이 해석하거나, 사용자가 보고 있는 물건이나 장소에 대해 전문가 수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피드백하는 것에는 제약이 따르는 등, 'AI 어시스턴트' 기능에서는 다소 모자람이 있었다. '제미나이 기능을 탑재한 XR 기기'라는 것은 분명했으나 'XR기기만이 제공할 수 있는 AI 경험'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받았고, '첨단 AI 어시스턴트 XR 기기'를 기대한 입장에서 조금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종합적으로 갤럭시 XR은 '착용감과 사용감' 두 가지 영역에서 확실한 강점을 가지고 있다. 물리적 공간의 제약 없이 고화질 콘텐츠를 감상하고, 손끝으로 직접 세상을 조작하는 경험은 충분히 특별했다. 향후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AI 기능이 확장된다면 '차세대 현실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희준기자 nauta@metroseoul.co.kr

2025-11-06 18:05:26 정희준 기자
기사사진
삼성·LG, TV시장 침체 속에서도 AI·프리미엄 전략으로 승부수

글로벌 TV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TV·가전 사업 부문에서 동시에 적자를 기록했다. 업계는 인공지능(AI)과 프리미엄 전략을 앞세워 돌파구를 모색하는데 분주하다. 아울러 하드웨어 판매를 넘어 광고·구독·데이터 등 플랫폼 중심의 수익 모델로 체질 전환에 나서는 모습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글로벌 TV 출하량은 4975만대로 전년 동기 5233만대 대비 4.9% 감소했다. TV교체 주기의 장기화, 관세 우려로 인한 선수요 증가,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 영향력이 감소된 것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상반기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시행을 앞두고 북미 시장 주요 브랜드들이 선제적으로 재고 축적에 나서면서 전년 동기 대비 출하량이 약 2% 증가한 바 있다. 이에 따른 기저효과로 올해 3분기에는 출하량이 다소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TV 시장 침체 여파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3분기 TV·가전 실적에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삼성전자의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한 7조 300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생활가전(DA) 사업부를 포함한 영업손실은 1000억원을 기록해 1년 전 대비 적자전환했다. 같은 기간 LG전자의 TV사업을 담당하는 MS사업부는 매출이 전년 동기 9.5% 줄어든 4조6525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손실은 3026억원으로 전분기 1917억원 영업손실 대비 적자 폭이 커졌다. 이에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등 프리미엄 제품에 집중해 수익성 강화에 나서는 동시에 AI기능, TV전용 플랫폼 등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차별화를 모색하고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TV 전 라인업에 AI 플랫폼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초대형·프리미엄 중심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는 동시에 중저가 모델에도 AI업스케일링과 개인화 기능을 확산할 계획이다. 특히 대화형 인공지능 '비전 AI 캠패니언'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자체 OS인 '타이젠' 기반 무료 채널 서비스 'TV 플러스'를 통해 광고형 수익 모델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LG전자는 TV사업 운영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 역량을 집중하는 분위기다. 특히 광고 사업 고도화와 콘텐츠 확대를 통해 자체 플랫폼인 '웹OS' 사업 기반을 확장 중이다. 웹OS 플랫폼을 탑재한 기기는 올해 기준 2억 6000만대를 넘어섰다. LG전자는 2030년까지 웹OS 탑재 기기를 2배 이상으로 늘리고 광고 및 콘텐츠 매출 비중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TV사업의 주요 변수로는 패널 가격 변동, 교체 수요 둔화, 콘텐츠 소비 패턴 변화 등이 꼽힌다"라며 "기업들은 생산거점 다각화와 기업 간 거래(B2B) 사업 비중 확대 등으로 대응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

2025-11-06 18:00:23 차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