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만 맛볼 수 있다"… 제철코어 열풍 속 '한정판 전쟁'
겨울 성수기를 맞아 식품·외식업계가 '제철코어(Seasonal Core)'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계절 한정 제품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특정 계절에만 즐길 수 있는 희소한 먹거리를 소비하는 '경험 중심형 소비'가 2030세대를 중심으로 확산하면서, 붕어빵부터 굴국밥·겨울면까지 계절 식품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조사에 따르면, 전국 13~69세 남녀 1200명 중 74%가 "계절별로 특색 있는 음식이나 활동을 즐긴다"고 답했다. 또한 "특정 계절에만 즐길 수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찾아 즐긴다"(52.6%), "기후 변화로 제철 경험이 더 희소해질 것 같다"(73.4%)는 응답이 이어졌다. 특히 20~30대의 제철코어 향유 비율이 각각 49.8%, 47.7%로, 트렌드를 견인하는 주 소비층으로 자리잡았다. ◆붕어빵은 못 참지! '붕어빵'은 제철코어 열풍의 상징적인 사례다. 생활 플랫폼 당근이 지난해 선보인 '붕어빵 지도'는 이용자가 직접 판매점을 등록하는 방식으로, 지역 단위 붕어빵 문화를 산업화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붕세권(붕어빵+역세권)'이란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겨울철 한정 간식이 전국적 현상으로 확산됐다. CJ제일제당은 유기농 말차 브랜드 '슈퍼말차'와 협업한 '비비고 말차 붕어빵'을 선보였다. '비비고 붕어빵' 시리즈는 2023년 하반기 출시 이후 현재까지 누적 판매량이 440만개를 넘어섰으며, 지난해 겨울 성수기 월 평균 판매량은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편의점 GS25는 판매 매장을 5000곳으로 확대했고, 이디야커피는 팥·슈크림 붕어빵을 포함한 겨울 간식 4종이 출시 20일 만에 15만개 팔려나갔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붕어빵은 'K-스트리트 푸드' 대표 품목으로 성장 중이다. 오리온 '참붕어빵'은 미국 코스트코 입점 이후 수출액이 전년 대비 10배 늘었고, 오뚜기도 12월 말차·고구마·팥·슈크림 4종 붕어빵을 미국 시장에 출시한다. ◆"겨울 한정 따뜻한 한 끼" 신메뉴 봇물 외식·식품업계는 겨울을 맞아 '한정 시즌 메뉴'로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프랜차이즈 본아이에프의 국탕류 전문점 '본가네국밥(본설렁탕)'은 겨울 보양식 콘셉트로 통영굴국밥, 통영굴떡국을 선보였다. 신선한 국내산 통영 굴에 두부·계란을 더해 따뜻하면서도 깊은 맛을 강조했다. hy는 '잇츠온 멸치 들깨 칼제비'와 '잇츠온 바지락 칼국수'를 출시했다. 멸치 육수와 들깨가루의 고소한 풍미, 바지락의 진한 국물 맛을 강조한 제품으로, "겨울엔 따뜻한 국물 한 그릇이 시즌 코어 메뉴로 자리잡는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풀무원은 냉장면 시장 겨울 시즌 공략을 강화했다. 스테디셀러 '가쓰오우동'을 리뉴얼하고, 신제품 '김치우동전골'을 출시했다. '10배 더 풍성한 건더기'와 한식 메뉴 콘셉트를 앞세워 프리미엄 국물면 시장을 겨냥한다. 편의점 세븐일레븐은 온장고용 캔 사케 '간바레오또상'을 출시하며 일본식 '아츠캉'(따뜻한 사케) 문화를 도입했다. ◆팥 인플레이션·이상기후 변수도 다만 계절 원물 중심 제품의 특성상 원재료 수급 불안은 리스크로 지적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9월 국산 붉은팥 가격은 40㎏당 78만4200원으로 전년 대비 1.5배 이상 올랐다. 폭염·가뭄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생산량이 줄면서 '팥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것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현재는 제조단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지만, 제철 원물 중심 제품이 늘어날수록 가격 변동성 관리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제철코어가 단기 유행이 아닌 구조적 소비 흐름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제철코어 상품은 재고 부담은 적지만, 매 시즌 완판이 기대되는 고효율 상품군"이라며 "소비자가 '지금만 맛볼 수 있는 것'에 가치를 두는 만큼, 브랜드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