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최흥식 서울시향 대표 "조직안정화 통해 세계 톱10 오케스트라 만들 것"

정명훈 감독과 재계약 논의중…재원 다양화위해 후원·협찬사 발굴 최흥식(63) 서울시립교향악단 신임 대표가 "재단법인 출범 10년이 지난 서울시향이 요즘 성장통을 겪고 있다"며 "이 고비를 잘 넘겨 세계 톱10에 드는 오케스트라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지난 7월1일 대표를 맡아 취임 40일을 넘긴 최 대표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경찰 조사나 고소고발 등 여러 사건이 빨리 마무리되기를 희망한다"며 "서울시향을 사회적, 정치적 대상으로 보지 말고 음악으로 평가해달라"고 강조했다. 서울시향은 지난해 말 박현정 전 대표의 직원 성희롱·막말 논란과 그 과정에서 불거진 정명훈 예술감독의 연봉과 처우 등으로 논란이 일었다. 지금도 일부 시민단체가 제기한 정 예술감독의 업무비 횡령 혐의 고발사건에 대한 경찰의 수사가 진행 중이다. 올해 말 만료되는 정 예술감독의 재계약 문제도 마무리되지 않았다. 정 예술감독과의 재계약 문제에 대해 그는 "현재 논의 중이라 자세한 말을 하지 못한다. 다만 9월 말까지는 결정이 될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최 대표는 "고품격 클래식을 통해 서울시민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이 서울시향의 모토"라며 "무료 시민공연과 교육프로그램을 확대해 많은 시민과 함께 하고 시민 모두가 아끼는 서울시향을 만들겠다"는 희망을 전했다. 이어 "신뢰, 배려, 공헌, 열정을 바탕으로 조직의 안정화를 꾀하고, 후원·협찬사 발굴을 강화해 안정적이고 자주적인 재원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이를 통해 내년 서울시향의 공연 횟수를 140회까지 늘리고 해외 투어를 활성화해 서울시향을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로 만들어 가겠다"고 덧붙였다. 최 대표는 연세대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프랑스 릴 제1대학과 파리 도핀대학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금융연구원 원장과 하나금융연구소 대표이사, 하나금융지주 사장을 역임한 경영 전문가다. 클래식에도 조예가 깊다.

2015-08-11 16:10:16 김민준 기자
기사사진
[생활법률] 뺑소니 가해자 불명, 보상금 청구 어떻게?

[생활법률] 뺑소니 가해자 불명, 보상금 청구 어떻게? [메트로신문 이홍원 기자] 뺑소니 사고를 당한 피해자가 가해자를 알 수 없는 차량에 치이거나 사망했을 때 국가에서 피해보상금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보상금은 어디서 어떻게 청구해야 할까. 자동차 사고의 경우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 손해보상청구권에 관한 절차가 우선 적용되므로 먼저 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에는 뺑소니차에 치어 사망하거나 다친 경우 보상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이 있다. 특히 동법 제14조 1항에는 '정부는 보유자를 알 수 없는 자동차의 운행으로 말미암아 사망하거나 부상한 자에 대해 피해자의 청구에 따라 책임보험금의 한도에서 그가 입은 손해를 보상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에 따라 뺑소니 피해자는 정부에 보상금 청구가 가능하다. 이때 제출할 서류가 있다. 사고 당시 진단서 또는 검안서, 사망으로 인한 청구에 있어서는 청구인과 사망한자와의 관계를 알 수 있는 호적등본 등의 증빙서류, 경찰서장 발행의 보유자불명 교통사고 사실확인원 등 사고발생의 일시장소 및 그 개요를 증빙할 수 있는 서류, 그 외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는 증빙서류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서류들을 보험회사에 제출하면 된다. 그러나 뺑소니차에 부상을 입은 것인지 의심스럽다는 이유로 보험회사에서 보상금의 지급을 거부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는 소송을 통해 구제받는 방법 밖에 없다. 보험회사는 국가의 위임을 받아 사업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송의 상대방은 국가가 된다.

2015-08-11 16:06:08 이홍원 기자
기사사진
사형제 폐지 7번째 도전…특별법 법사위 상정

사형제 폐지 7번째 도전…특별법 법사위 상정 이상민 위원장 "이번엔 방치하지 않겠다"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사형제 폐지를 위한 7번째 도전이 11일 국회에서 막이 올랐다. 이상민 법제사법위원장은 여야 의원 172명이 서명한 '사형 폐지에 관한 특별법'을 상정하고 "지금까지 사형제 폐지에 관한 법이 상정만 됐다가 논의되지 못하고 자동폐기 됐지만 이제는 방치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형제 폐지법안은 지난 15대국회 이후 20년 동안 6번 발의됐지만 모두 폐기됐다. 이번에는 국회 의결 정족수를 넘는 의원들이 찬성하는 만큼 진지한 논의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특별법은 사형을 감형이나 사면 없는 종신형으로 대체하자는 내용이 주요 골자다. 이날 대표발의자인 유인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생명을 다른 가치와 비교 대상이 될 수 없고 실존의 근거로 절대적 가치를 가진다"며 "사형제가 범죄를 억제하지 못한다는 것이 통계로 드러난 만큼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신설해 사형제를 대신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유신시절인 1974년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연맹) 사건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2심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된 사연이 있다. 그가 사형제 폐지에 적극 나선 배경이다. 하지만 공안사건으로 사형이 구형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흉악범 사건이 사형제 폐지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1997년 12월 마지막 이뤄진 사형 집행도 '지존파'라는 흉악범 사건이었다. 지존파 일당 23명은 연쇄살인 후 인육을 먹은 엽기행각을 벌였다. 이후 유영철·오원춘 등의 흉악범이 계속해 나왔지만 사형선고를 받았을 뿐 집행되지는 않았다. 우리나라는 사실상의 사형제 폐지국가로 불린다. 다만 범죄 억지를 위해 제도 자체를 유지하고 있다. 여야를 불문하고 검사 출신의 의원들은 이 같은 이유로 사형제 폐지에 반대하고 있다. 이날도 검사 출신의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은 "세상이 달라졌다. 지금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사형을 할 수 있는가"라며 재차 반대 입장을 밝혔다.

2015-08-11 15:54:04 송병형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 "The Lotte Group, endless Shin Kyuk-ho's health abnormality…what is the purpose?"

"The Lotte Group, endless Shin Kyuk-ho's health abnormality…what is the purpose?" The Japanese-owned Korean business goliath Lotte Group has repeatedly used the issue of CEO Shin Kyuk-ho's health as a springboard for attempts to remove him from power. This is highlighted by the so-called "Revolt of Brother," which occurred on the 27th of last month following a spot inspection by CEO Kyuk-ho on the 22nd of May, which resulted in his citation of several issues requiring immediate attention. CEO Kyuk-ho's citations were disputed by the company, which disapproved of his sudden reappearance onto the scene via a dramatic spot inspection after a long absence. Lotte Group put CEO Kyuk-ho's requests on hold pending Chairman Dongbin's approval, exposing the breach in chain of command which now provides the cornerstone of the Lotte Group's current power struggle. This represents one of the first times the Lotte Group has called into question CEO Kyuk-ho's mental competency. Lotte Group's official response did, however, refrain from openly supporting Chairman Dongbin saying instead that, "The group's stance is not aligned with Chairman Dongbin's stance. Rather, we are simply criticizing CEO Shin's apparent lack of judgment as well as his unwillingness to follow proper protocol."/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롯데그룹, 끊임없는 '신격호 건강이상설' 제기…목적은? 한·일 롯데그룹이 신격호(94) 총괄회장의 '건강이상설'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한·일 롯데의 이 같은 태도는 지난달 27일 '형제의 난' 이전과 상반되는 모습이다. 신 총괄회장이 지난 5월22일 제2롯데월드를 방문해 현장조사를 했던 당시 롯데그룹은 신 총괄회장이 여전히 그룹의 업무보고를 받고 있으며 총기가 여전하다는 입장이었다. 이를 두고 업계 관계자는 "신동빈 회장의 거취에 따라 신 총괄회장이 정상이었다가 비정상이었다가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전에 일본 재계에서 제기된 신 총괄회장의 한정치산 선고 작업의 일환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롯데그룹은 "그룹의 입장이 신동빈 회장의 입장은 아니다"며 "단순히 신격호 총괄회장이 정당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한 행위에 대해서만 판단력의 부재를 지적한 것"이라고 답했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IMG::20150811000173.jpg::C::480::}!]

2015-08-11 15:37:15 김서이 기자
기사사진
[건강] 가슴성형해도 모유수유 가능하다

[메트로신문 최치선 기자] 가슴성형이 늘면서 모유수유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하지만 둘 사이에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슴성형의 경우 크게 빈약한 가슴을 보완하는 가슴확대와 거대유방증 같이 정상치를 넘는 크기의 가슴을 줄여주는 가슴축소로 구분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수술 자체가 모유수유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즉, 가슴확대술의 경우 보형물을 넣는 부위가 모유가 나오는 유선과는 떨어져 있다. 그리고 가슴을 축소할 때도 늘어진 피부와 일부 유선조직을 제거하면서 수유량에 약간의 변화는 있을 수 있지만 수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것은 아니다. 바노바기성형외과 반재상 원장은 "가슴수술이 모유수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인식이 많지만 실제로는 크게 상관이 없고, 오히려 모유수유가 힘든 함몰유두의 경우 수술을 통해 기능을 회복시킬 수도 있다"며 "다만 심미적인 만족뿐 아니라 본래의 기능적 측면까지도 고려해야 하는 고난도의 수술인 만큼 사전에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본인의 상태에 따른 수술여부 및 방법 등을 꼼꼼하게 알아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슴성형수술은 가슴확대와 가슴축소처럼 가슴크기를 조절하는 수술이 대표적이다. 가슴확대술은 겨드랑이나 가슴 밑선, 유륜 주위 등을 절개해 작은 가슴을 보완해줄 보형물을 넣는다. 가슴의 구조물 안쪽으로 보형물을 넣기 때문에 모유수유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 보형물을 삽입하는 위치는 모유가 나오는 유선조직과는 떨어져 있다. 보통은 가슴근육인 대흉근 안쪽에 삽입하는데 체형에 따라서는 유선조직 아래에 보형물을 넣기도 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근막으로 경계가 지어져 있기 때문에 유선조직과 분비경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간혹 삽입한 보형물이파손돼 모유수유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걱정하는 경우도 있지만 안전성이 입증된 보형물을 사용한다면 별다른 문제는 없다. 반대로 가슴축소술은 가슴의 크기가 600cc이상의 거대유방이고 큰 가슴 때문에 생활에 불편함이 있는 경우에 시행한다. 늘어난 피부와 지방뿐 아니라 유방조직 일부도 함께 제거하기 때문에 가슴확대술에 비해서는 모유수유 가능여부에 대한 걱정이 클 수도 있다. 하지만 가슴축소를 위해 유선조직 일부를 제거한다고 해서 모유수유 자체가 아예 불가능해지는 것은 아니다. 다만 수유량 등 일정부분에 영향을 줄 수도 있기에 모유수유 계획이 있다면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한편 모유수유를 돕는 가슴수술도 있다. 바로 함몰유두 교정술인데, 함몰유두란 한쪽 또는 양쪽 유두가 돌출되지 않고 유방 안 쪽으로 들어간 상태를 말한다. 선천적으로 유두 아래의 결합조직과 유선의 발달이 저하됐거나 유두를 당기는 섬유밴드 때문에 생기기도 한다. 또 유방의 염증, 유방암 등과 같은 후천적인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하는데 한국 여성의 3% 정도가 함몰유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함몰된 부위는 유선에서 배출된 분비물의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쉬워 세균이 번식하거나 염증이 생기기 쉽다. 유두가 감염되면 유두염, 유방염 등이 생길 가능성이 높고, 형태상 모유수유에도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교정수술을 통해 원활한 모유수유는 물론 청결관리와 미용적 측면까지도 개선할 수 있다. 함몰유두 교정수술은 수유를 할 경우와 수유를 하지 않는 경우에 따라 수술법이 나뉜다. 모유수유와 관계없는 경우에는 수술 시 짧은 유선을 섬유조직과 함께 절단하고, 앞으로 모유수유를 할 계획이라면 유선을 다치지 않도록 섬유조직을 절단한다. 이렇게 유두를 당기고 있던 부분을 제거한 뒤에는 제거한 조직을 대신해 유륜 부위에서 진피 피판을 만들어 유두 아래 넣어주거나 인공 진피로 채운다. 반재상 원장은 "함몰유두 교정수술뿐만 아니라 가슴확대와 축소 수술도 모유수유 계획에 따라 방법적인 부분이 달라질 수 있다"며 "모유수유 계획이 있다면 수술 전에 분명하게 의사를 밝혀 모유수유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 가슴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도움말 : 바노바기성형외과 반재상 원장

2015-08-11 15:31:23 최치선 기자
기사사진
'부탁해요 엄마' 유진 "드라마 통해서 싸우는 것 배우겠다"

'부탁해요 엄마' 유진 "드라마 통해서 싸우는 것 배우겠다" [메트로신문 하희철기자] '부탁해요 엄마'의 유진이 드라마에 임하는 각오를 내비쳤다. 11일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열린 KBS2 새 주말드라마 '부탁해요 엄마' 제작발표회에서 유진은 "언제나 진심으로 연기를 한다. 대본 보면서 우리 엄마가 나한테 이런다면 진심으로 서운할 것 같다. 주위 분들게 물어봤다. 자긴 집에서 못살고 뛰쳐나갈거라는 대답이 나왔다. 내가 오바하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라며 "모든 딸들이 공감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진심으로 연기하게 될 것 같다. 드라마 통해서 싸우는 것 배울 예정이다. 먼 미래에 내 딸이 그렇게 될 수 있으니까 먼저 배워놓을 것 같다"고 말했다. 출산 후 복귀하는 심정에 대해서는 "엄마의 마음을 알게된 게 제일 달라졌다. 아이 낳기 전에도 아이를 좋아했고 키우는 강아지나 고양이가 예뻤다. 낳아보니 상상할 수 없는 부분이었다. 엄마의 마음을 느꼈다는 것 자체가 달라졌다. 그래서 연기의 폭도 넓어질 것 같다. 얘기만 들었지 실제로 경험해보니 그 이상이었구나 싶다. 엄마의 사랑은 내가 어떻게 해도 갚을 수 없는 사랑이었다는 걸 깨닫게 되면서 효도를 해야하는 이유도 알게 됐다"고 말했다. '부탁해요 엄마'는 '엄마처럼 살기 싫다'는 딸 진애(유진 분)와 '너 같은 딸 낳아봐라'라고 하는 엄마 산옥(고두심 분)이 보여주는 모녀간의 갈등을 통해 가족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작품이다. 틈만 나면 엄마 곁을 떠나고 싶어하는 진애가 또 다른 엄마인 시어머니 영선(김미숙)을 만나게 되면서 가족이 되어가는 과정을 그렸다. 출산 후 돌아온 유진의 안방복귀작이다. 이상우가 유진의 남편이자 고부 사이에서 갈피를 못잡는 아들 역을 맡았고 김갑수는 능력은 없지만 입만 산 아버지를 연기한다. 이외에도 오민석, 손여은, 최태준, 조보아가 출연한다. '브레인', '공부의 신'을 집필한 윤경아 작가와 '구미호-여우누이뎐', '로즈마리'를 연출한 이건준PD가 호흡을 맞춰 첫 주말드라마에 도전한다. '파랑새의 집' 후속으로 15일 밤 7시 55분 KBS 2TV에서 첫방송된다.

2015-08-11 15:22:19 하희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