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윤동주 시인 80주기 추모식, 14일 연세대서 열린다

연세대학교는 오는 14일 오전 11시 루스채플 예배당에서 윤동주 시인과 송몽규 선생의 80주기 추모식을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대학 창립 140주년과 함께 윤동주 시인의 고귀한 삶과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연세 정신의 의미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동주 시인은 연세대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한 대표적 동문으로, 재학 시절부터 민족의 아픔을 담은 순수하고 고결한 문학 세계를 구축하며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자리매김했다. 추모식은 정미현 교목실장이 집례하며, 윤동섭 연세대 총장을 비롯해 이경률 총동문회장, 윤형주 유족 대표가 추모사를 통해 윤동주 시인의 삶과 정신을 기릴 예정이다. 특별히 이번 추모식에서는 윤동주 시인의 문학적 감성을 음악과 낭송으로 전할 예정이다. 임지선 교수의 작곡 작품인 '새야 새야' 주제에 의한 판타지아를 유영욱 교수와 임지영 교수가 연주하고, 바리톤 양준모 교수가 '별헤는 밤'을 들려준다. 또한, 동문 출신 아나운서가 윤동주 시인의 시를 낭송해 깊은 감동을 선사할 계획이다. 추모식 외에도 윤동주 시인의 삶과 문학, 그리고 연희전문학교에서의 독립운동 역사를 되돌아보는 다양한 행사가 연세대에서 연이어 개최된다. 주요 행사로는 연극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윤동주기념관 야간 개관, 윤동주 포럼, 광복 80주년 특별전 '연희전문과 독립운동' 등이 예정돼 있다. 연세대는 "행사를 통해 윤동주 시인의 뜻과 정신을 이어가며 연세 구성원들과 동문들, 나아가 우리 사회에 큰 감동을 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윤동주 시인은 1938년부터 1941년까지 연희전문학교 재학 시절, 핀슨관에서 생활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핀슨관은 그가 지내던 공간으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등록문화재 제770호로 지정됐다. 현재 핀슨관은 윤동주기념관으로 운영되며, 그의 육필 원고(등록문화재 제712호)와 유품 등이 국내외 최초로 전시되고 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2-10 10:07:0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인하대, 송용진 수학과 명예교수 강의실 현판식 개최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최근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써 온 송용진 수학과 명예교수의 뜻을 기리기 위해 '송용진 강의실' 현판식을 열었다고 10일 밝혔다. 송용진 명예교수는 지난 30여년 동안 인하대 수학과에서 재직하며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써왔다. 위성 수학 분야의 권위자이며, 지난 1999년부터 국제수학올림피아드 한국 대표단을 이끌어 오면서 다양한 연구 성과를 남기고 수학 영재 교육에 기여해왔다. 이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2020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행사에서 정부 포상인 과학기술훈장 혁신장을 받는 등 인하대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공헌했다. 송용진 명예교수는 대외적으로 대학 위상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인하대 수학과와 학교 발전을 위해 현재까지 총 1억원의 발전기금을 기부했다. 이번 현판식에는 인하대 조명우 총장을 비롯해 백성현 교학부총장, 김웅희 대외부총장, 박헌진 자연과학대학 학장, 최광석 수학과 학과장, 수학과 교수진, 학생 대표 등이 참석해 송용진 명예교수를 위한 강의실 현판식을 축하했다. 조명우 총장은 송용진 명예교수의 헌신과 공로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감사패를 전해주기도 했다. 인하대는 앞으로도 대학 구성원들의 기부 문화가 더욱 확산되고, 학생들이 보다 나은 교육 환경에서 학문에 정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송용진 수학과 명예교수는 "그동안 제자들이 보다 좋은 환경에서 학문에 정진하고, 캠퍼스 생활을 풍요롭게 즐길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기부를 이어왔다"라며 "앞으로도 인하대의 발전을 위해 여러 방면에서 힘쓰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조명우 인하대 총장은 "송용진 교수님의 열정과 헌신이 있었기에 인하대 수학과가 지금과 같은 학문적 위상을 가질 수 있었다"라며 "교수님의 따뜻한 마음이 깃든 강의실에서 우리나라 발전에 기여할 수많은 인재가 배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2-10 09:06:0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하이퍼클로바X 아니어도 된다" 최수연, 파리 일정에 관심 쑥↑

네이버가 인공지능(AI) 기술 사업 전략 변화의 신호를 켜면서 최수연 네이버 최고경영자(CEO)의 해외 일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네이버는 자체 대규모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개발하며 이를 토대로 한 미래 AI 전략을 세웠다. 그러나 자체 기술력의 한계와 더불어 치열해지는 국내 IT업계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타사의 LLM 도입이 필요하다는 쪽으로 선회했다. 9일 네이버에 따르면 최수연 CEO는 10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AI 행동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일정은 없으나 업계에서는 최 CEO가 글로벌 AI 기업 수장들이 한 데 모이는 만큼 관계자들과 만나 AI사업과 관련한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네이버가 자사 LLM만을 이용하는 전략에서 외부 LLM을 활용하는 전략으로 선회한 사실은 지난 7일 네이버 4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알려졌다. 최 대표는 "글로벌 빅테크 LLM 등 외부 다양한 LLM과 협업 가능성을 열어뒀다"면서 "아직 서비스 제공에 타사 LLM을 활용한 사례는 없지만 상대적으로 유연성을 갖고 외부 LLM 도입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B2B 사업 등 폐쇄형 모델이 필요한 영역과 B2C 사업 등 빠른 변화 대처가 필요한 영역으로 나눠 하이퍼클로바X와 챗GPT 등 타사 LLM을 함께 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네이버는 올해 온 서비스(On-Service) AI 전략을 세우고 핵심 비즈니스 영역에 AI 기술을 접목할 예정이다. AI로 검색 결과를 요약하는 'AI 브리핑', 초개인화 AI 커머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 광고 특화 AI 플랫폼 'AD부스트(Voost)' 등이 대표적이다. 타사 LLM의 활용 가능성이 커지면서 최 대표의 파리 일정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해당 행사에는 오픈AI, 앤스로픽, 미스트랄AI 등 전세계 주요 기업 대표들이 모두 참석할 예정이다. 그런 만큼 최 대표가 타사 AI 기업 대표와 협업 또는 활용에 대해 논의할 창구가 열렸다는 뜻이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2-09 17:03:54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딥시크, 한 달천하로 끝나나…비용·보안·성능 모두 '흔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공개한 AI 모델 'R1'이 출시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시장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저렴한 비용과 오픈소스 전략을 내세워 주목을 받았지만 비용 인상, 보안 논란, 성능 문제 등이 겹치면서 각국 정부와 주요 기업들이 차단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9일 <메트로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딥시크는 기존보다 대폭 인상된 서비스 요금을 발표했다. 회사는 홈페이지를 통해 "2025년 2월 8일 오후 4시(협정세계시)부터 딥시크 API의 할인 혜택이 종료되고 정가로 복구된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딥시크 V3'의 API 사용료는 이전보다 5배 인상된다. ◆API가격 5배 인상…가격경쟁력 '흔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이미 만들어진 AI 기능을 자신들의 프로그램이나 앱에 넣을 수 있게 해주는 도구로, 사용하려면 허가가 필요하다. 기존보다 최대 5배 인상된 API 요금으로 인해 딥시크의 AI 모델의 요금은 경쟁사들과 비슷하거나 일부는 더 비싼 수준으로 책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가격 경쟁력은 크게 하락했다. 가격 인상에 따라 딥시크 V3의 100만 토큰당 입력 비용은 0.014달러에서 0.07달러로, 출력 비용은 0.28달러에서 1.10달러로 증가했다. 반면, 구글이 지난 5일 출시한 '제미나이 2.0 플래시-라이트'는 입력 0.075달러, 출력 0.3달러로 딥시크보다 저렴하며, 멀티모달 기능도 제공한다. 오픈AI는 여전히 딥시크의 AI 모델에 비하면 비싼 편이지만, 최근 API 비용을 2~4배 낮췄으며, 최신 추론 AI 모델 'o3-미니'를 챗GPT 무료 버전에 탑재해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딥시크가 모델 제작 비용이 557만 달러로 저렴하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인프라 비용이 제외된 수치로 실제로는 메타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보안 논란… 정부·기업 차단 움직임 비용 문제 외에도 보안 취약성 논란이 불거졌다. 딥시크의 AI API가 중국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이 딥시크 규제 또는 차단 검토 등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딥시크 모델이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쉽게 '탈옥(사용자가 AI 모델에 보안 및 윤리 가이드라인을 무력화하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AI가 당초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된 응답을 이끌어내는 것) 테스트'에 허점을 보인다는 점도 위험 요소로 꼽힌다. 앤트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지난 6일(현지시간) 차이나토크 팟캐스트에서 "딥시크는 우리가 테스트한 모든 모델 중 보안 수준이 가장 낮았다"며 "(예를 들어) 생물학 무기에 대한 정보를 제한 없이 생성하는 등 안전성 테스트에서 심각한 문제를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여기에 사용자 데이터가 중국 국영 통신사로 전송될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사이버 보안 회사 페루트시큐리티는 딥시크 코드에서 중국 국영 통신사 차이나모바일의 온라인 등록소(CMPassport)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는 경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반 차리니 페루트시큐리티 CEO는 "중국 정부의 통제를 받는 서버와 직접 연결되는 링크를 확인했다"며, 딥시크가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으로 전송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차이나모바일은 고객 데이터 무단 접근 우려로 2019년 미국에서 운영이 금지됐고, 2021년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된 데 이어 2022년 국가 안보 위협 목록에 추가된 바 있다.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에는 채팅 및 검색 기록, 키 입력 패턴, IP 주소, 다른 앱의 활동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명시돼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데이터가 중국으로 전송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딥시크가 고유한 사용자 디지털 지문을 생성해 웹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용자 급감… 생존 가능성 불투명 이러한 우려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딥시크 차단을 검토하면서 이용자 수가 급감하고 있다. 9일 아이지에이지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딥시크 앱의 일간 활성 사용자 수(DAU)는 지난달 28일 19만1556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정부 차원의 차단 움직임이 본격화된 4일에는 7만4688명으로 급감했다. 6일에는 6만1184명까지 떨어져, 9일 만에 68.2%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신규 설치 건수도 17만1258건에서 1만62건으로 95% 줄었다. 정부 차원의 경고도 이어지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특정 생성형 AI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모든 정부 부처 및 광역 지방자치단체 17곳에 공문을 보내 AI 사용 시 민감 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충분한 검증 없이 AI 생산물을 활용하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지시했다. 일부 부처는 내부망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 당국과 은행권, 주요 민간 기업들도 유사한 조치를 검토 중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및 보안 취약점에 대한 기술적 조사에 착수했으며,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에 관련 질문을 공식 전달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가격, 성능, 보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딥시크가 연구용 오픈소스 모델로만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한 전문가는 "딥시크가 별다른 업데이트를 내놓지 못한다면, 몇 개월 뒤에는 소수 기업이 온프레미스 방식으로 활용하거나 일부 스타트업의 연구용 모델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2025-02-09 16:40:16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Naver Joins the '10 Trillion Club' for the First Time, Driven by Search Ads and Commerce, Pushed Forward by Fintech and Cloud."

Naver has become the first domestic internet platform to join the "10 trillion won annual revenue club." The strong performance of its key revenue sources, including search ads and its e-commerce business, played a significant role.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9th, Naver recently announced that its annual consolidated revenue for last year reached 10.7377 trillion won, marking an 11.0%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ts annual operating profit rose by 32.9% to 1.9793 trillion won, and its annual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increased by 24.9% to 2.6644 trillion won. In the fourth quarter of last year, Naver's consolidated revenue grew by 13.7% year-on-year, reaching 2.8856 trillion won, while operating profit for the same period rose by 33.7% year-on-year to 542 billion won. Naver's performance last year is interpreted as being driven by the growth of its Search Platform (search advertising) and Commerce sectors, while its Fintech and Content sectors provided additional support. The revenue by sector is as follows: ▲Search Platform: 3.9462 trillion won ▲Commerce: 2.923 trillion won ▲Fintech (Finance + Technology): 1.5084 trillion won ▲Content: 1.7964 trillion won ▲Cloud: 563.7 billion won The Search Platform sector saw a significant increase in advertising revenue, driven by targeted ad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homepage feed on the portal screen. This led to a 9.9% year-on-year growth in annual revenue. In the fourth quarter, the sector's revenue grew by 14.7%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the Commerce sector, Naver achieved a remarkable 14.8% year-on-year increase in annual revenue, even as most e-commerce platforms struggled. Last year, Naver launched "Naver Plus Store" in its commerce division and strengthened its partnership between Naver Plus Membership and its e-commerce services. Additionally, the company successfully enhanced the efficiency of its commerce advertising, maximizing profitability. Launched in October of last year, the Naver Plus Store, which emphasizes ultra-personalization,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analyze individual preferences and interests, recommending products, benefits, promotions, and shopping-related content. The full profitability of this service is expected to be confirmed in the first and second quarters of this year. In the Fintech sector, Naver Pay grew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Smart Store, and external payment volume also increased, leading to a 11.3% year-on-year growth in annual revenue, with a 12.6% increase in revenue for the fourth quarter. Despite the prolonged economic downturn, the fourth-quarter payment volume reached 19.3 trillion won, an 18.3%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In the Content sector, the exclusion of Naver Z from consolidated subsidiaries, combined with the growth in paid subscribers for a camera application linked to AI webtoon content, led to a 3.7% year-on-year increase in annual revenue. The Cloud sector recorded the highest growth. The increase in paid IDs for NeuroCloud and Lineworks, along with strong sales from the digital twin project in Saudi Arabia, resulted in a 26.1% year-on-year growth in annual revenue, with a 41.1% increase in fourth-quarter revenue. Naver aims to generate synergy across all its business areas in 2025, focusing on the organic integration of search advertising and commerce. Naver plan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its search advertising business through AI engines and expand its presence on external media. In addition, in the commerce sector, Naver intends to launch the personalized shopping service "Naver Plus Store" as a separate app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to enhance the lock-in effect among users of its commerce platform. Choi Soo-yeon, CEO of Naver, stated, "This year will be a crucial period for implementing the On-service AI strategy across all of Naver's services. By enhancing the platform with AI technology, we will create new value and business opportunities, ultimately strengthening Naver's unique competitive advantage." He added, "In the commerce sector, through the launch of the new Naver Plus Store app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we will expand the search-based shopping experience into a more personalized, exploration-based experience, offering a more intuitive and powerful shopping experience." Meanwhile, on the 7th, Naver proposed an agenda for its upcoming shareholder meeting scheduled for February 26, which includes appointing Naver's founder, Lee Hae-jin, Global Investment Officer (GIO), as an internal director. Lee Hae-jin had resigned from the position of Chairman of Naver's board of directors in 2017.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09 16:05:5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10조 클럽 첫입성' 네이버, 검색 광고·커머스 끌고 핀테크·클라우드 밀고

네이버가 국내 인터넷 플랫폼 최초로 '연 매출 10조 클럽'에 들었다. 주력 수익원으로 꼽히는 검색 광고에 커머스(전자상거래) 사업의 호조가 큰 역할을 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최근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간 매출이 연결기준으로 10조737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11.0% 증가한 수준이다.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2.9% 증가한 1조9793억 원을, 연간 EBITDA(이자·세금·감가상각 전 영업이익)는 전년 대비 24.9% 증가한 2조 6644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3.7% 성장한 2조8856억원을,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3.7% 성장한 542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네이버의 이 같은 지난해 실적은 서치플랫폼(검색 광고)부문과 커머스 부문이 실적 상승을 이끄는 가운데 핀테크 부문과 콘텐츠 부문이 뒤를 받쳤다는 해석이다. 부문별 실적은 ▲서치플랫폼 3조9462억원 ▲커머스 2조9230억원 ▲핀테크(금융+기술) 1조5084억원 ▲콘텐츠 1조7964억원 ▲클라우드 5637억원 순이다. 서치 플랫폼은 타깃 맞춤형 광고와 포털 화면의 홈피드 도입 등으로 광고 매출이 크게 늘어 연간 매출액이 전년 대비 9.9% 느는 데 성공했다. 4분기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14.7% 늘었다. 커머스 부문은 현재 대부분의 e커머스가 고전을 면치 못하는 상황 속에서 연간 매출액이 전년 대비 14.8% 늘어나는 쾌거를 이뤘다. 지난해 네이버는 커머스 부문에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출시하고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과 커머스의 제휴를 강화했다. 여기에 더해 커머스 광고 효율성을 높이면서 수익성을 극대화 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10월 내놓은 초(超) 개인화를 전면에 내세운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개인별 취향과 관심사를 분석해 상품과 혜택, 프로모션, 쇼핑 관련 콘텐츠까지 추천하는 서비스다. 해당 서비스의 본격적인 수익성은 올 1, 2분기 중 확정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핀테크 부문은 스마트스토어의 성장세에 따른 네이버페이의 성장과 외부 결제액의 증가로 연간 매출액이 11.3%, 4분기 매출은 12.6% 증가했다. 장기화 한 경기 불황에도 4분기 결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18.3% 늘어난 19조3000억원에 이르렀다. 콘텐츠 부문은 네이버제트가 연결 기준 자회사에서 제외하면서 웹툰 AI 콘텐츠에 연계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앱의 유료 구독자 확대로 연간 매출액이 전년 대비 3.7% 늘었다. 클라우드 부문은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뉴로클라우드와 라인웍스의 유료 ID 수 확대, 사우디아라비아 디지털 트윈 사업의 매출이 높은 성과를 이루면서 연간 매출액은 26.1%, 4분기 매출은 41.1% 성장했다. 네이버는 2025년에도 검색 광고와 커머스를 중심으로 전사업 분야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시너지를 내겠다는 포부다. 검색 광고 사업은 AI 엔진을 통한 광고 효율의 극대화와 함께 외부 매체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커머스 분야는 상반기 중 개인 맞춤형 쇼핑 서비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별도 앱으로 출시해 커머스 부문 이용자의 록인(Lock-In) 효과를 도모할 계획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올해에는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걸쳐 온서비스(On-service) AI 전략을 본격 구현하는 중요한 시기로, AI 기술 기반으로 플랫폼을 고도화하며 새로운 가치와 사업 기회를 창출해 궁극적으로 네이버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면서 "커머스에서는 상반기 새롭게 출시될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을 통해 검색 중심의 쇼핑 경험을 개인화된 탐색 중심으로 확장해 보다 직관적이고 강력한 쇼핑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7일 네이버는 다음달 26일로 예정된 주주총회에 네이버 창업주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를 사내 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했다. 이해진 GIO는 2017년 네이버 이사회 의장직을 사임한 바 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2-09 16:01:05 김서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