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 업계, '탈모치료제' 신제품 봇물..."외용제부터 경구제까지 총공세"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탈모치료제 시장으로 속속 뛰어들고 있다. 국내 탈모 인구가 증가하면서 탈모를 관리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 시장이 커지자 발 빠르게 공략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우선 '미녹시딜' 성분의 탈모 외용제가 지속 등장하고 있다. 미녹시딜은 탈모 치료를 돕는 성분으로 두피 내 말초혈관을 확장하고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모근 세포를 활성화하는 기전을 갖췄다. 지난 15일 유한양행의 일반의약품 '유한미녹펜겔5%'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허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해당 품목은 제네릭 의약품으로 주성분은 미녹시딜 50mg이다. 18세 이상 남성의 탈모증 치료에 쓰인다. 제형은 무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투명한 겔로 알려졌고, 용법도 모발과 두피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 환부에만 바르는 방식이다. 이처럼 유한양행의 탈모 치료제 출시가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내 탈모 치료제 시장에서는 폼 제형 탈모 치료제가 경쟁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5월 현대약품과 JW신약은 각각 '마이녹실폼5% 에어로솔'과 '마이딜5% 폼 에어로졸'을 선보였다. 현대약품은 기존 탈모 제품군에 '마이녹실폼5% 에어로솔'을 새롭게 추가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현대약품은 앞서 마이녹실 액, 마이녹실 겔, 복합 마이녹실 등 다양한 미녹시딜 외용제를 구축해 왔다. 이번 신제품은 알루미늄 캔으로 설계됐고 폼 제형을 구현한다. 도포 시 흘러내림과 끈적임, 두피 잔여감 등이 개선됐다. JW신약도 '마이딜5% 폼 에어로졸'을 출시해 종합 탈모 관리 브랜드를 완성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경구용 탈모 치료제, 모발 관리 샴푸를 비롯한 화장품 등에서 외용제로 탈모 관리 전반에 걸쳐 브랜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이어 6월에는 동아제약이 바르는 탈모 치료제 '카필러스 폼 에어로솔'을 내놨다. 고밀도 제형이 액체나 겔 제품 대비 모발의 뭉침과 떡짐 현상을 줄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 박하향까지 더해져 사용 후 청량감을 전달한다. 해당 신제품들은 모두 남성형 탈모증과 여성형 탈모증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남성은 최소 2~4개월 이상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1일 총 사용량은 2g을 초과하지 않는다. 여성은 최소 3~6개월 꾸준한 사용이 요구되며 1일 총 사용량은 1g으로 제한된다. 태극제약은 일찍이 미녹시딜 성분을 처방한 롤온 제품으로 브랜드 차별화를 이뤄냈다. 태극제약 대표 제품 '미녹시딜 바이그루트겔5%'은 펜을 연상시키는 외형 디자인에 마사지볼을 탑재하고 있다. 헤어 라인 등 국소 부위에서 간편하게 활용 가능하다. 한편, 동국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등은 '먹는 탈모 치료제'으로 경쟁력을 높이며 탈모 치료 분야로 진출해 있다. 동국제약의 판시딜은 모발과 손톱의 구성 성분인 케라틴, L시스틴, 모발 영양 성분 약용효모, 비타민 등 6가지 성분을 복합 함유한다. 한올바이오파마의 판그로는 모발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 비타민B, 아미노산 등을 원활히 공급함으로써 다양한 원인에 의한 탈모 증상을 완화해 준다. 이밖 국내 제약 업계 관계자는 "현대 사회에서 탈모에 대한 관심은 계속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며 "특히 젊은 세대에서도 탈모 고민은 늘고 있고, 유전적 요인, 호르몬 외에 외부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도 탈모 원인으로 꼽히고 있어 보다 세분화된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020~2023년 기준 국내 탈모 환자는 연간 약 30만 명에 달하며 연평균 증가율은 2.5%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