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3월 아파트 입주 전국 8천여 가구…'서울은 497가구 뿐'

3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지난 2월보다 1만5000여가구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울은 7700여가구가 줄었다. 3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3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15곳에서 8714가구다. 2월 입주물량인 2만299가구와 비교해 1만1585가구가 줄었고 지난해 3월 1만3920가구에 비해서는 5206가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서울에서만 총 2곳 497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2월 8250가구 입주와 비교하면 7753가구나 빠졌다.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서 '용마산역 코오롱하늘채'가 오는 20일부터 입주예정이고 용산구 문배동에서는 '용산 KCC 웰츠타워'가 오는 28일부터 입주할 예정이다. 지방은 총 13곳에서 8217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부산이 3곳 1384가구로 가장 많고 경남 1곳 1308가구, 울산 1곳 1112가구, 충북 2곳 1029가구, 충남 1곳 1024가구, 경북 1곳 952가구, 광주 2곳 750가구, 세종 1곳 538가구, 강원 1곳 120가구 순이다. 2월 1만2049가구에 비해서는 3832가구 줄었다. 정태희 부동산써브 리서치팀장은 "기존 3월 입주 예정 단지 중 2월로 입주를 앞당긴 단지들이 많아 3월 입주물량이 2월 대비 크게 줄었다"며 "봄 이사철 전세난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2015-03-03 16:09:59 김학철 기자
용산 싱크홀 원인두고 서울시·시공사 책임공방

"부실한 흙막이 공사" vs "도로침하 85% 노후화된 관로" 지난 20일 용산 아파트 공사장 인근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 원인을 두고 서울시와 시공사 간 묘한 기싸움이 진행 중이다. 서울시는 인근 용산푸르지오써밋 아파트 공사 현장의 부실한 흙막이 공사를 사고 원인으로 보고 있지만 시공사인 대우건설 측은 공사가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3일 서울시 관계자는 용산 인도침하는 사고 발생 후 가진 최초 현장 조사 결과에서 밝혔듯이 공사장 지하 터파기 중 지하수와 토립자 유출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최초 추정했던 원인과 달라진 바 없다"며 "굴착면 흙막이 누수로 인한 지반 침하가 거의 확실하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아파트 공사현장 주변도로에 추가 동공 발생 여부를 밝히고자 지반탐사를 시행했고, 그 결과 공사장 인근 5곳에서 지반층이 느슨하거나 균일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했다. 시 관계자는 "공사 현장 인근 도로에서 동공으로 의심되는 신호를 상당수 발견했다"며 "정밀검사는 용산구와 한국지반공학회에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터파기 공사가 진행된 지하 10~12m까지 동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이에 한국지반공학회는 지난달 26일부터 보링조사 등 정밀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조사기간은 약 2개월 정도로 예상, 4월께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시는 조사 결과 시공 및 감리부실 등 시공사의 책임이 확인되면 공사중지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반면 대우건설은 진행 중인 정밀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원인을 속단하기 이르다는 입장이다. 대우건설 측 관계자는 "인도침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지반공학회에서 아직 조사 중이고 조사에 필요한 굴착 장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며 "사고 일대 지반부터 상하수도관까지 종합적으로 검사 중이다. 최초 토지 조성 시 특이사항 등 다각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이번 사고와 유사한 도로 침하의 원인은 약 85%가 노후화된 상하수도관에서 물이 샌 경우"라며 "용산 일대가 매립이 많이 이뤄진 곳이라 물이 많을 수밖에 없는 지역인데 공사만을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편 사고 현장 인근에는 대우건설과 삼성물산이 대규모 주상복합아파트를 짓고 있다. 대우건설이 시공 중인 주상복합건물은 지하 9층, 지상 38~39층 2개동 규모로 2017년 8월 입주 예정이며 삼성물산이 시공 중인 건물은 지하 9층, 지상 최고 40층 2개동 규모로 같은 해 5월 입주예정이다.

2015-03-03 15:41:40 김학철 기자
기사사진
삼성물산, 몽골 건설안전 최우수 현장상 수상

삼성물산이 몽골에서 건설안전 최우수 현장상을 받았다. 삼성물산(대표 최치훈)은 최근 몽골 샹그릴라 현장(Shangri-La Hotel Phase 2 PJT)이 몽골 노동부에서 주관하는 '2014년 몽골 건설안전 최우수 기여 현장상'을 수상했다고 3일 밝혔다. 몽골 건설안전 최우수 기여 현장상은 몽골에서 공사하는 전 현장을 대상으로 국가 안전검사기관의 점검을 통해 종합적인 평가하는 것으로, 삼성물산은 전체 최고상인 최우수 현장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에는 친조릭(S. Chinzorig) 몽골 노동부장관과 차관을 포함해 몽골지역 안전담당자 130여 명이 참여했으며, 시상식 이후 삼성물산 샹그릴라 현장을 둘려보며 안전관리의 노하우를 공유했다. 친조릭 장관은 시상식 축사에서 "삼성물산 샹그릴라 현장 안전관리 문화를 전체 몽골현장이 공유해 몽골 건설수준과 안전문화를 선진 수준으로 높이길 기대한다"며 "삼성물산이 몽골 건설기능인력 양성에도 기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샹그릴라 현장 이상수 소장은 "앞으로도 우리 현장은 물론, 파트너사와 협력업체에 안전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안전을 최우선가치로 공사를 마무리 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샹그릴라 프로젝트는 몽골 울란바토르 대사관 밀집지역에 지상 34층 레지던스를 비롯해 24층 오피스, 5층 규모의 극장과 상업시설을 건설하는 복합개발 공사다. 2016년 공사가 완공되면 몽골 최고 높이의 건축물이 될 전망이다.

2015-03-03 14:49:46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부산 '이안 사직동'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신규 조합원 모집

부산 사직동 일대에서 지역주택조합아파트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사직 지역주택조합은 부산 동래구 사직동 566-3번지 일원에서 '이안 사직동'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신규 조합원을 모집한다고 3일 밝혔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7층 8개동, 전용면적 59~84㎡ 총 627가구로 구성됐으며 대우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았다. '이안 사직동'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는 3.3㎡당 700만 원 대 후반부터 공급가격이 책정될 예정이다. 신규 조합원 가입은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등에 6개월 이상 거주한 무주택 세대주 또는 전용면적 85㎡이하 1주택 소유자면 가능하다. 이안 사직동은 부산지하철 3호선 사직역과 환승역인 미남역을 도보로 이용가능한 더블역세권 단지다. 단지 인근에는 부산 사직야구장을 비롯해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CGV영화관, 홈플러스, 롯데백화점 등이 있다. 사업지가 위치한 동래구 일대는 부산에서 교육환경이 우수한 곳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동래고를 비롯해 사직고, 동인고, 용인고 등이 위치했고 인근에는 금강초, 온천중, 사직여고, 부산교대 등이 있다. 지난해 2월 공급된 인근의 '사직역 삼정그린코아 더 베스트'는 232가구 일반 공급에 1만1680건의 청약신청이 몰리면서 평균 50대 1, 최고 145대 1로 1순위 마감됐다. 12월에 공급한 '유림 노르웨이숲'도 225가구 모집에 7500명이 청약접수, 평균경쟁률 33대 1, 최고 101대 1로 1순위 마감을 기록했다.

2015-03-03 11:07:25 김학철 기자
기사사진
[명사의 집]허창수 전경련 회장…이촌동 펜트하우스 꼼수 절세

허창수 전경련 회장, 이촌동 펜트하우스 절묘한 세테크 35억 모친 아파트, 증여 아닌 매매로 취득 10억원 절세 부자들만이 할 수 있는 꼼수 절세 방법이 있다. 거액의 부동산을 자식에게 물려줄 때 상속이나 증여 대신 매매로 처리하는 것이다. 매수자인 자식이 소득증명을 충분히 할 수 있을 만큼 돈이 있으면 최고세율이 50%에 이르는 증여 방법을 굳이 선택할 필요가 없다. 매도자인 부모가 양도차익분이 있으면 양도소득세만 내면 된다. 세무당국은 부모와 자식 간 부동산 매매의 경우 통상 증여로 간주해 증여세를 물리지만, 매수자 측이 풍부한 자금동원력으로 입증하며 매매라고 주장하면 상대적으로 저율인 양도소득세만 매길 수밖에 없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회장 자리를 세번째 연임 중인 허창수 GS그룹 회장도 이런 세테크에 능통한 것으로 보인다. 2일 부동산등기부등본을 살펴보니, 허 회장은 전경련 회장 취임 이듬해인 지난 2012년 서울시 용산구 이촌동의 한 아파트 꼭대기 층 펜트하우스를 어머니인 구위숙씨한테서 사 보유하고 있다. 아파트 구입대금은 35억2500만원이었다. 증여로 취득했을 때보다 최소한 11억원 정도의 절세효과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 허 회장의 어머니 구 씨는 2003년 4월 이 아파트를 샀다. 당시 구 씨는 아들 허 회장 소유의 성북구 성북동 고급주택에 거주 중이었다. 이후 2003년 11월 허 회장은 어머니가 구매한 아파트로 주소를 변경했다. 변경 전 허 회장의 주소는 서초구 서초동 고급빌라였다. 허 회장은 이 아파트를 증여나 상속이 아닌 매매를 통해 취득했다. 세무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허 회장이 만일 증여로 아파트를 물려 받았다면 약 13억여원의 증여세를 내야 했다. 당시 이아파트에 설정돼 있던 채권최고액 6억5000만원의 근저당을 감안한 액수다. 마철현 세무사는 "매도인 즉, 구씨가 1주택자라고 가정하면 당시 부과받은 양도소득세는 1억원에서 1억5000만원 상당일 것이다. 2003년 최초 취득가액에 따라서는 양도세가 7000만~8000만원 정도밖에 안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허 회장이 어머니 구 씨에게 양도세 만큼의 금액을 되돌려 줬을 것을 가정하면 허 회장 입장에선 10억원이 넘는 세금을 아낄 수 있었다. 구 씨는 돈 한 푼 들이지 않고 펜트하우스 아파트를 자식에게 물려주게 된 셈이다. 마 세무사는 "가족간 매매는 세무서와 국세청에서 실제 돈을 주고 받은 사실이 있는지 엄격히 조사하고 따진다"며 "2012년 당시 35억원이 넘는 아파트를 가족 간에 매매 거래를 했다는 게 가능한 일인지 모를 정도로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2015-03-03 05:00:00 김학철 기자
기사사진
토지 경매…공시지가 대비 낙찰가비율 130% 육박

지난해 부동산 경매시장에서 낙찰된 토지물건의 공시지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127.80%인 것으로 조사됐다. 2일 부동산경매정보사이트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지난해 낙찰된 전국 토지물건 1만9961건의 공시지가 대비 감정가 비율은 195.94%로 전국 9개 도 가운데 충청북도가 가장 높았다. 충청북도는 1057건이 거래되며 공시지가 대비 감정가는 220.3%, 낙찰가는 299.2%를 기록했다. 이는 공시지가가 1억원인 충북지역의 토지가 2억2000만원에 감정됐고 이를 낙찰받은 입찰자들은 3억원 가까운 금액을 써냈다는 의미다. 올해 발표된 공시지가 변동률을 시·도 별로 살펴보면, 세종(15.50%), 울산(9.72%), 제주(9.20%) 순으로 상승했다. 경매 낙찰된 토지물건의 공시지가 대비 감정가와 낙찰가 비율 격차는 충북, 경남, 경북 순으로 컸다. 충북지역의 경우 올해 공시지가 증가율은 4.26%로 전국 평균 증가율 4.14%를 웃돌았는데 특히 세종특별자치시는 15.5%의 증가율을 보였다. 공시지가 대비 감정가와 낙찰가 비율이 두번째로 컸던 경상남도는 공시지가 대비 감정가 비율은 209.37%, 낙찰가 비율은 270.82%로 조사됐다. 올해 경남 공시지가 증가율은 7.05%였고 울산은 9.72%에 육박했다. 정다운 부동산태인 연구원은 "공시지가 대비 낙찰가 비율의 변화 추이를 보면 부동산 가격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적정한 입찰가 산정에 도움이 된다"며 "투자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 더욱 중요한 것은 낙찰 후 가치를 셈 해볼 수 있는 실거래가 정보"라고 조언했다.

2015-03-02 17:51:12 김학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