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지난달 아파트 경매시장, 역대 1월 중 가장 치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찰 경쟁률이 2000년 이후 1월 기준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12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입찰경쟁률은 7.45대 1을 기록했다. 입찰에 참여한 사람이 전월(6.77대 1)에 비해서는 0.68명, 전년 같은 달(7.05대 1)에 비해서는 0.4명 늘어난 것이다. 이는 이 회사가 통계자료 구축을 시작한 200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이전 최고점은 2011년 1월의 7.31대 1이었다. 이처럼 입찰경쟁률이 높아진 이유로는 아파트 경매물건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감소한 반면, 여전히 8000명이 넘는 입찰자들이 전국 법원을 찾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월 전국 아파트 경매진행 건수는 2788건으로 처음으로 3000건을 밑돌았다. 1월 기준 전국 아파트 경매진행 건수는 2010년 5815건을 기록한 이후 2012년 4616건, 2014년 3988건 순으로 5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치열해진 입찰경쟁률을 반영하듯 지난달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 역시 1월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월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은 87.83%로 지난해 1월(83.32%) 대비 4.51%포인트 상승했고, 이전 최고점인 2002년(87.75%)보다도 0.08%포인트 높았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전세물건이 줄어든 상황에서 전세난 여파로 내 집 마련을 위해 경매 법원을 찾는 사람들은 꾸준한 상황"이라며 "당분간 입찰경쟁률과 낙찰가율은 지속적으로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5-02-12 16:25:32 박선옥 기자
건설사 분양 '눈치보기' 작전…"상반기에 집중"

제도개선·재건축 등 수도권에 물량 공세 올해 국내 분양 시장은 지난해의 열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주요 건설사들은 지난해보다 많은 물량을 준비하며 분양시기를 놓고 눈치싸움을 벌이는 중이다. 최근 대한주택건설협회 조사에 따르면 올해 전국적으로 336개 업체가 총 15만3696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대비 72% 증가한 수치로 수도권에 절반이 넘는 7만8811가구가 집중됐다. 지역별로는 서울 4310가구, 인천 1만685가구, 경기 6만3816가구 순이다. 특히 주요 건설사들은 상반기에 재개발 지역과 경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물량을 투입해 분양 실적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업계에서는 본격적인 이사철이 시작되는 성수기 3월부터 청약제도 개편에 따른 1순위 자격 요건이 완화 돼 청약에 나서려는 수요자들이 크게 늘어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 전세 실수요자들의 매매 전환 움직임은 분양 시장에 열기를 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3년간 대규모 택지개발이 없을 것이라는 정부 발표에 따라 현재 개발 중인 2기 신도시에 관심이 쏠리는 것과 4월부터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되는 것도 호재다. 이에 건설사들은 적절한 분양시기를 놓고 고심하는 모습이다. 올해 3만1000여가구를 공급 계획 중인 대우건설은 확정된 1만여 가구에 대한 공급 일정만 공개한 상태다. 사업 확정이 유력하지만 최종 사인을 남겨둔 건들이 대부분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한 일정이나 세부 사항이 공개되는 것을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쪽에서 꺼려하는 눈치"라며 "협약 완료 직전인 것부터 협약 중인 건 등 완료되는 대로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올해 수도권에만 약2만 가구가 공급되며 지방과의 비율은 6대4 정도"라며 "상반기에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중심의 분양이 진행된다. 지방은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위주"라고 밝혔다. 대림산업의 경우 올해 1만7154가구를 일반분양할 계획이다. 3월 용인 수지지역에 1517가구를 시작으로 상반기에만 1만1000여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 중 7600여가구가 서울·경기에서 분양된다. 이와 관련해 현대엔지니어링의 한 관계자는 "상반기에 수도권 쪽으로 분양이 몰려있고 점차 밑으로 내려가고 있다"며 "서울·광교·기흥·천안·부산 등 순으로 분양이 예정돼 있는데 상반기 수도권 분위기를 살펴보고, 뒤 일정을 조율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2015-02-12 15:51:16 김학철 기자
기사사진
초고층 전문가들 "제2롯데월드 구조·지반 모두 안전"

해외 전문가, "버즈할리파보다 안전" 제2롯데월드 안전관리위원회가 12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시공기술 발표회를 열고 제2롯데월드의 구조와 지반 모두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발표회에는 제2롯데월드의 구조설계를 맡은 미국 레라(LERA)사의 창업자 레슬리 얼 로버트슨, 토목설계를 맡은 영국 에이럽(ARUP)사의 홍콩지사 부사장 제임스 시즈 왕초, 대한건축학회 홍성걸 서울대 교수, 한국콘크리트학회 부회장 박홍근 서울대 교수, 한국건축기술사회 서규석 회장 등이 참석했다. 영국 에이럽사의 제임스 홍콩지사 부사장은 롯데워드타워의 지반을 현재 최고층 건물인 아랍에미리트(UAE)의 버즈할리파와 비교·설명했다. 제임스 부사장은 "초고층 건물은 무거운 하중으로 침하되기 마련인데, 롯데월드타워의 지반은 버즈할리파의 예상 침하량 절반 수준으로 견고한 편"이라며 "지반 침하량을 조사한 결과 롯데월드타워는 예측 값 39㎜의 4분의 1도 안 되는 9㎜의 침하량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건물을 짓기 전 타워로 인해 주변 지역의 침하가 얼마나 일어날 수 있는지 연구를 마쳤다"며 "최대치인 39㎜가 침하될 경우 주변에서는 2㎜의 내려앉는 것으로 예측돼 사실상 영향이 없다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조설계를 맡은 LERA사의 창업자 레슬리 얼 로버트슨은 "롯데월드타워는 건물 최상부에서 순간 최대풍속 128m/sec에 견디고 건물은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한 LA의 지진하중보다 더 큰 하중에도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됐다"며 "구조물의 연속붕괴방지설계라는 개념을 적용해 추가적인 안전성도 확보"고 밝혔다. 구조 안전성에 대해 박홍근 교수는 "롯데월드타워는 4대의 위성과 기초 하부 지반부터 꼭대기까지 671개 센서가 작동,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적용됐다"며 "현재 지반 침하와 수평 변형을 측정한 결과 설계 단계 시 예상 값보다 낮은 수준으로 관리된 상태"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한편, 제2롯데월드 안전관리위원회는 초고층 프로젝트 공사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매달 전문가를 초청해 시공기술 발표회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에는 각각 균열과 소음·진동에 대한 발표회가 있었으며 앞으로는 초고층 공사, 초고층 안전관리, 측량, 양중, 특수구조물 공사, 엘리베이터 공사 등에 대해 점검·설명하는 자리를 가질 계획이다.

2015-02-12 14:04:01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 서산' 3월 중 892가구 분양

충남 서산에 힐스테이트 아파트가 처음으로 들어선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서산 테크노밸리 A4블록에 공동주택사업인 '힐스테이트 서산' 아파트를 3월 중 분양한다고 12일 밝혔다. 아파트는 지하3층~지상24층, 13개동 총892가구 규모며 전 가구 전용면적 75㎡와 84㎡로 구성된다. 주택형별로는 ▲전용 75㎡타입 280가구 ▲ 전용 84㎡A타입 232가구 ▲전용 84㎡B타입 380가구 등으로 서산 테크노밸리 내 분양되는 단지 중 단일브랜드로는 최대규모다. 전가구에 펜트리룸이 제공되고 전용 84㎡B타입을 제외한 모든 가구에는 4bay설계를 적용했다. 전용 84㎡A의 경우 소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선택형 부분임대를 서산시 최초로 도입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이 테크노밸리는 서산시 최초 자급자족형 첨단복합도시로 한화케미칼 등의 대기업을 포함, 300여개의 기업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석원 힐스테이트 서산 분양소장은 "커뮤니티시설, 내부설계, 디자인 등 브랜드에 걸맞는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실속 평면과 판상형 4bay 위주로 구성을 한 만큼 서산지역 실수요자 및 투자자들이 많이 찾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견본주택은 서산시 예천동 1255-1에 위치하며 입주는 2017년 9월 예정이다.

2015-02-12 11:07:06 김학철 기자
2월 주택경기 기대감 소폭 하락…여전히 상승국면

주택시장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소폭 하락했다. 하지만 여전히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주택산업연구원은 2월 주택경기실사지수(HBSI)를 조사한 결과 주택시장 전반의 동향을 나타내는 주택사업환경지수 전국 전망치가 122.2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전달보다 0.6포인트 하락한 것이지만 여전히 주택경기가 상승 국면에 있음을 뜻하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이 전달보다 각각 4.2포인트, 1.4포인트 내린 130.3과 120.4을 기록했다. 지방은 1.0포인트 상승한 108.0이었다. 서울·수도권은 전달보다 지수가 하락했지만 전국 지수를 상회할 뿐 아니라 기대감의 절대적은 수준도 지방보다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130.3), 경기(128.0), 경남(121.7), 부산(120.9), 세종시(120.5) 등이 부동산 경기를 이끌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분양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분양 관련 지수는 일제히 상승했다. 2월 분양계획지수는 14.8포인트 오른 120.6, 분양실적지수는 16.5포인트 뛴 125.5를 나타냈다. 다만 분양이 늘면서 미분양지수도 7.5포인트 상승한 68.5로 집계됐다. 주택건설 수주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수 중에서는 재개발지수만 소폭(0.4포인트) 오른 96.0을 기록했고, 재건축지수(2.8포인트 떨어진 99.0)와 공공택지지수(4.0포인트 하락한 112.4)는 하락했다. 김지은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월이 주택시장의 비수기다 보니 소폭 하락했지만 그 폭이 오차 범위 내여서 여전히 주택경기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3월의 지수를 보면 상승 또는 하락의 방향성이 좀 더 뚜렷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2015-02-11 22:03:02 박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