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전국 전월세 거래량 전년比 0.4%↓

전국 전월세 거래량이 9월에 이어 10월에도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를 나타냈다. 2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3년 10월 전월세 거래 동향 및 실거래가'에 따르면, 전월세 거래량은 전국 11만8960건으로 집계됐다. 가을 이사철의 영향으로 전월보다 26.3% 증가한 수치다. 다만,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0.4% 소폭 감소했다. 전월세 거래량은 올 들어 5월을 제외하고는 줄곧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하지만 9월과 10월 매매시장 회복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수도권은 작년보다 2.3% 줄어든 8만628건 거래된 가운데, 서울과 경기가 각각 2.7%, 3.2% 빠진 3만8050건, 3만4843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서울 강남3구의 감소폭이 커 거래량이 6484건에 그쳤다. 서울·경기와 달리 인천은 4.0% 증가한 7735건으로 조사됐다. 지방 역시 3만8342건으로 3.7% 증가했다. 전세가는 서울 강남·송파구 및 세종시 등에서는 상승세가 이어졌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76㎡가 전달 3만3853만원에서 3억4438만원으로,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84㎡가 6억2250만원에서 6억2750만원으로 상향조정됐다. 또 세종시 한솔동 푸르지오 114㎡는 8월 2억1333만원에서 10월 2억3000만원으로 올랐다. 이에 반해, 서울 강북권과 수도권지역 등 일부 단지에서는 전세가가 다소 하락했다. 서울 성북구 대우그랜드월드1차 84㎡가 2억8000만원에서 2억7500만원으로 내렸고, 판교신도시 봇들마을 이지더원 84㎡도 3억8000만원에서 3억5000만원으로 한 달 사이 3000만원 하향조정됐다. 한편,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전년 동월 대비 9.3% 줄어 5만3798건 거래됐다. 반면, 아파트 외 주택은 6만5172건으로 8.3% 늘어 비아파트 주택에서 전월세 거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 유형별로는 전체 주택은 전세 60.7%, 월세 39.3%로 조사됐다. 또 아파트는 전세 66.3%, 월세 33.7%로 파악됐다. 전월세 실거래가에 대한 세부정보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홈페이지(rt.mltm.go.kr) 또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털(www.onnar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3-11-20 15:36:42 박선옥 기자
건설주택포럼 19일 '주택시장 활성화' 관련 세미나 개최

사단법인 건설주택포럼은 19일 논현동 건설회관 중회의실에서 '주택시장 활성화를 위한 주택정책의 새로운 틀 모색'을 위한 정책 세미나를 갖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허윤경 박사가 '주택정책 패러다임 변화와 새로운 틀의 필요성'에 대한 발표를 먼저 한 뒤, 이어 ▲건설산업전략연구소 김선덕 소장이 '주택제도 개선의 이슈와 영향' ▲명지대 김준형 교수가 '하우스푸어와 렌트푸어 대책의 한계와 향후 해결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사회는 한성대학교 부동산학과 백성준 교수가 맡았다. 토론은 한만희(前 국토교통부 차관) 서울시립대 국제도시과학대학원장이 좌장을 맡아, 한국주택금융공사 연구원 김덕례 박사, 국토교통부 김재정 주택정책관, 이상근 건설주택포럼 명예 회장, 박치범 변호사, 명지전문대 부동산학과 서후석 교수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된다. 건설주택포럼 윤주선 회장(한호건설 대표)은 "주택 시장이 어려운 때 활로를 찾고 대안을 모색하는 주제들이어서 시의적절한 세미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미나는 오후 2시 등록 후 2시30분 서종대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과 도태호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의 축사, 주제발표, 토론 등으로 이뤄진다. 세미나 후에는 건설주택포럼 정기총회가 있을 예정이다. 한편, 사단법인 건설주택포럼은 주택·건설 전문가 석박사급 100여명으로 이루어진 민간 포럼이다.

2013-11-18 11:42:35 박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