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포스코이앤씨, 태양광 이동식 근로자 쉼터 도입

포스코이앤씨가 국내 최초로 태양광 이동식 건설 근로자 쉼터 'ECO&REST'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포스코이앤씨는 최근 계속되는 폭염 속에 야외 근로자의 온열질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휴게 공간 부족 및 전력 수급 문제를 겪고 있는 건설현장의 니즈를 반영해 친환경 근로자 쉼터를 개발했다. 설계와 디자인은 포스코이앤씨 직원과 외부 이해관계자가 함께 참여하는 탄소중립협의체인 P-GRT(POSCO E&C Green Round Table)와 사내학습동아리 COP(Community of Practice)를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했다. 'ECO&REST'의 냉·난방 등 에너지원은 태양광 패널로 생산된 에너지를 100% 활용했으며 현장근로자들이 심리적 안정감을 얻도록 스포트 조명과 내부 마감을 통해 편안한 카페 분위기를 적용했다. 창호 확장을 통한 개방감도 확보해 현장 근로자들에게 쾌적한 휴식 환경을 제공하게 됐다. 태양광 이동식 근로자 쉼터 제작에 사용되는 재원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기금을 활용하며 이달 말까지 전국 9개 인프라 현장의 11개 협력사에 공급할 예정이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현장 근로자를 위한 폭염예방설비 지원, 음료 케이터링 서비스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 중이다"라면서 "현장 특성에 맞는 소형 모듈러 휴게실 등을 추가 개발해 ESG경영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8-02 11:37:21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8월 지방서 1만4000여가구 분양...전월 대비 42.5%↑

이달 지방에서 1만4067가구가 분양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 효과에 상반기부터 이어진 회복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지방 주요 입지에 대규모 단지들이 출격을 예고하면서 분양 물량은 전월 대비 약 1.43배 가량 증가했다. 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지방(서울·경기·인천 제외)에서는 1만4067가구(임대 제외)가 분양했거나 분양할 예정이다. 지난달 분양 물량(9871가구) 대비 42.5%(4196가구) 늘어났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광역시 4596가구 ▲강원도 3121가구 ▲대전광역시 1974가구 ▲경상북도 1417가구 ▲부산광역시 1062가구 ▲충청북도 644가구 ▲경상남도 532가구 ▲전라북도 291가구 ▲전라남도 226가구 ▲제주도 204가구 순이다. 업계에서는 전국적으로 분양시장이 회복되고, 청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설사에서도 미뤄오던 분양을 서둘러 개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에서 시작된 청약 흥행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등 반등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 실제로 최근 지방에서 청약을 받은 신규 단지들의 청약 성적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전북 전주시에 분양한 '전주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디에스틴'은 110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9393건이 접수돼 1순위 평균 85.39대 1의 경쟁률로 전 주택형이 마감됐다. 강원도 춘천시에 분양한 '춘천 레이크시티 아이파크'는 477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1만3237건이 접수돼 1순위 평균 27.7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부산 남구에 분양한 '대연 디아이엘'은 1206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1만8837건이 접수돼 1순위 평균 15.6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상황이 이러한 가운데 각종 부동산 지표는 상승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6월 지방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2만2221건으로, 지난 1월(1만1509건) 대비 93.1%(1만712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7.2에서 86.4로 9.2포인트 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이달 지방에서 신규 분양이 이례적으로 집중되는 만큼 그동안 청약 통장을 아껴왔던 수요자들에게 내 집 마련의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아직까지는 입지나 상품에 따라 양극화가 지속되고 있어 주요 입지에 브랜드 아파트로 공급되는 단지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현대건설은 이달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 일원에 '힐스테이트 신용 더리버'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19개동, 전용면적 74~135㎡ 총 1647세대로 이중 206세대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포스코이앤씨는 이달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청리 일원에 '더샵 오창프레스티지'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6층~지상 최고 49층, 6개동, 아파트 644가구, 오피스텔 225실 총 869세대 규모다. 이 가운데 아파트 전용면적 99~129㎡ 644가구를 먼저 분양한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8-02 11:31:06 김대환 기자
LH, 무량판구조 보강작업 8월 중 마무리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아파트 무량판구조 결함 보강작업을 8월 중 마무리할 방침이다. 지난 5월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이후 LH 발주 현장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파주 운정신도시 등 15개 지구에서 무량판구조 결함이 나타났다. 그 중 준공한 지구 9개, 시공중인 지구는 6개(분양아파트 5곳, 임대아파트 10곳)로 보강작업을 진행, 일부 지구에서는 보강을 마친 상태다. 현재 3개지구 보강을 완료했고, 3개지구는 보강공사중, 9개지구 보강예정이다. LH 관계자는 2일 "구조계산이 미흡한 경우가 있어 슬래브 보완 등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달 중 무량판구조에 나타난 보완작업을 모두 마무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보완작업이 마무리될 경우 더이상 안전, 부실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현재 무량판구조 아파트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가 지나치다는 지적이다. '무량판구조'가 '순살아파트'로 불려지면서 국민적 불안,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는 것. 대통령까지 전수조사를 지시하며 '무량판구조'를 질타하고 나서자 건설업계는 그야말로 패닉상태에 빠졌다. 건설업계 및 관련학계는 무량판구조가 곧 부실시공이라는 인식은 오해라는 입장이다. 현재 무량판구조가 공공아파트는 물론 민간아파트에도 많이 적용되고 있는 이유는 비용이 적게 들고 공사기간이 짧기 때문이다. 또 층간소음문제에서도 유리하다. 따라서 업계는 '무량판구조=부실시공'이란 인식은 옳지 않다는 지적이다. 무량판구조 아파트가 모두 부실하지 않다는 것. 무량판구조는 기둥-슬래브구조로 보가 없는 방식이다. 통상 아파트는 기둥-보로 이뤄져 있는 라멘식구조를 많이 적용해 왔다. 무량판구조는 공사시간, 공사비, 층간소음에서 라멘식보다 유리하다. 다만 철근 보완 등 구조계산이 필수다. 건물 하중 분산이 안돼서다. 최근 무량판구조가 확연히 많아진데는 코로나19를 꼽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자재비 급등, 인력 수급 등에 차질을 빚으면서 무량판구조가 많아졌다"며 "게다가 공사비를 올려받을 수 없는 상황도 한몫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현 상황을 건설사업자의 도덕적 해이 등 부실시공 문제로 몰아가는 것은 문제가 많다고 반론한다. 현재 무량판구조로 문제가 발생한 아파트의 경우 기술적 보완을 거치면 문제가 없다는게 관련학계의 의견이다. 사후 문제 시 기술적 보완이 가능하다는 것. 송창영 광주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수학적·공학적으로 내하력을 계산, 단면 증설이나 탄소섬유 시트·강판 등으로 보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부 현장에서는 공개된 명단에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건설업계 전체가 부실로 몰아갈 경우 해외건설 수주 등 대외 신인도에서 불리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08-02 08:18:08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쾌적한 주거환경 선호…'쾌적아파트' 관심

새 아파트를 고르는 기준이 바뀌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5년 미래 주거 트렌드'에 따르면 미래 주거 선택 요인에서 '쾌적성'이 33.0%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직방' 설문조사에서도 2020년 이후 주거 공간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이른바 '숲세권'과 같은 쾌적성이 31.6%로 많은 선택을 받았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첫손에 꼽는 사람이 늘면서 도심 속 호수공원 옆에 조성되는 아파트인 '호품아'(호수를 품은 아파트)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흔히 호수공원을 품은 아파트는 '숲세권', '공세권', '슬세권' 아파트로 불린다. 숲이나 호수, 공원이 인접해 있거나 슬리퍼와 같은 편한 복장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호수 옆 아파트는 전망이 좋고, 녹지가 풍부해 환경이 쾌적하다. 계절마다 아름답고 색다른 자연환경을 누릴 수 있다. 건강과 힐링, 여가 등 삶의 질을 중시하는 주거문화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호수공원 옆에 들어서는 아파트는 몸값이 치솟고 있다. 멀리 나가지 않고도 집 근처에서 수변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 운동시설, 자전거도로 등을 이용해 산책과 휴식, 조깅이 가능해 수요가 몰리는 것. ◆ 호수 품은 단지, 집값 강세 실제로 호수를 품은 아파트(호품아)의 인기는 부동산시장에서 확인된다. 부동산 침체 속에서 바닥을 다지고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1일 KB부동산 아파트 시세에 따르면 동탄신도시 동탄호수공원에 인접한 '동탄린스트라우스더레이크 전용면적 98㎡형 아파트는 지난 3월 11억3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지난해 12월 대비 4000만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교호수공원에 옆에 들어선 주상복합아파트 '힐스테이트광교'도 지난 3월 전용 97㎡형 아파트(23층)가 전월 대비 7000만원이 오른 13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군산 역시 호품아 아파트가 프리미엄을 입증하고 있다. 은파호수공원을 중심으로 '군산호수공원아이파크'와 '은파오투그란데레이크원'이 높은 경쟁률로 분양을 완료했. 프리미엄 역시 수 천만원에서 억대가 넘는 물량도 있다. ◆ 호품아 단지 어디서 나오나 호수공원 옆에 들어서는 아파트 호품아 단지가 인기를 끌면서 수요자들의 관심은 앞으로 분양할 단지로 쏠리고 있다. HL디앤아이한라㈜는 전북 군산 은파호수공원 인근에 들어서는 '군산 지곡 한라비발디 2차 은파레이크뷰'를 선보인다. 군산시 지곡동 일대에 들어선다.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257만㎡ 규모의 은파호수공원이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은파'는 해질녘 물결이 반짝이는 아름다운 모습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맑은 호수와 울창한 숲이 어우러져 경치가 좋고, 특히 봄이면 호수공원 일원에 만개한 벚꽃은 장관을 이룬다. 단지 주변에 생활편의시설도 밀집돼 있다. 군산 지곡 한라비발디 2차 은파레이크뷰는 지하 2층~지상 29층, 4개 동에 ▲84㎡(전용면적 기준) 162세대 ▲110㎡ A타입 24세대 ▲110㎡ T타입 105세대 등 총 291세대로 건설된다. HL디앤아이한라㈜ 분양 관계자는 "대규모로 조성된 은파호수공원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리면서 "산책과 힐링, 여가 등 여유롭고 건강한 삶을 중시하는 전북이나 군산 지역의 수요자라면 노려볼 만 하다"고 말했다. 제일건설은 8월 중 인천 계양구에서 '제일풍경채 계양 위너스카이' 전용면적 59~84㎡ 총 1440세대(아파트 1343세대, 오피스텔 97실)를 선보인다. 단지 바로 옆 효성문화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 현대건설도 8월 중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 일원에서 '힐스테이트 신용 더리버' 전용면적 74~135㎡ 총1647세대 중 206세대를 일반분양한다. 단지 서측으로 영산강이 흐르고 있으며 신용빛고을근린공원, 거징이쉼터, 군왕봉구장, 광주시민의숲 등이 가깝다. 힐스테이트 신용 더리버는 2024년 3월 입주를 앞둔 후분양 단지다. DL이앤씨는 오는 9월 서울 강동구 천호동에서 한강공원을 품은 'e편한세상 강동 프레스티지원' 전용면적 44~115㎡ 총 535세대 가운데 전용 44~84㎡ 중소형 평형 263세대를 일반분양할 계획이다.

2023-08-01 16:24:25 박승덕 기자
기사사진
부동산 강제·임의경매 증가...서울 경매 낙찰가율 최고치

전세 사기와 역전세 현상에 따른 깡통전세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부동산 강제·임의경매 신청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에서 신청된 부동산 강제경매개시결정등기는 5787건으로, 전달(5390건) 대비 7.4%(397건) 증가했다. 지난 1월(4954건)보다 16.8%(833건) 늘었다. 임의경매개시결정등기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전국에서 신청된 부동산 임의경매개시결정등기는 8860건으로, 1개월 만에 0.8%(69건) 증가했다. 지난 1월(6622건)과 비교하면 33.8%(2238건) 늘었다. 경매는 강제경매와 임의경매로 나뉜다. 강제경매는 채권자가 소송 등을 통해 판결문을 확보한 후 법원에 신청하는 경매로, 금융회사 등의 저당권자가 재판 없이 곧바로 신청하는 임의경매와 차이가 있다. 임의경매는 저당권, 근저당권, 전세권 등 담보물권을 가진 채권자가 채무자로부터 채무금액을 변제기일까지 변제받지 못하는 경우 담보권을 실행해 자신의 채권을 회수하는 법적 절차를 말한다. 통상 임의경매 집행은 원리금을 3개월 이상 갚지 못하면 진행된다. 강제경매와 다르게 재판 없이 법원에서 바로 신청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온전히 돌려주지 못하는 상황이 늘어나면서 강제·임의경매 등기 신청 건수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의 '임대차 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 6월 전국에서 발생한 전세 보증 사고 금액은 약 4442억원으로 전달(3251억원) 대비 36.6%(1191건) 늘었다. 같은 기간 사고 건수는 1444건에서 1965건으로 36.1%(521건) 증가했고, 사고율은 7.2%에서 9.5%로 2.3% 상승했다. 임의·강제경매 신청 사례가 증가하면서 경매 매물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지역의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법원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86.2%로, 전월(80.9%) 대비 5.3%포인트 오르면서 지난해 10월(88.6%)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특히 '강남 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경우 지난달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이 90.4%로 집계되면서 1월(90.5%) 이후 반년 만에 다시 90%대로 올라섰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강남권의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서울 평균치를 끌어올렸다"면서 "일반으로 경매에선 두 번쯤 유찰돼야 관심을 갖는데 요즘 강남권에선 한 번만 유찰돼도 수요자들이 몰리는 현상이 목격된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8-01 13:57:37 김대환 기자
국토부, 상반기 항공교통량, 전년 대비 31.0% 증가

올해 상반기 항공교통량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지난 2019년의 84% 수준을 기록했다. 항공 수요 증가로 지난 4월 기점으로 하루 평균 2000대를 넘어서며 항공교통량이 상당부분 회복했다. 국토교통부가 1일 내놓은 상반기 항공교통량 집계 결과 우리나라 하늘길을 이용한 항공기는 전년 대비 약 31.0% 증가한 하루 평균 1941대(상반기 총 35만1000여 대)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1∼6월까지 국제선은 월평균 약 5.2%씩, 국내선을 포함한 전체 교통량은 월평균 약 4.1%씩 상승해 지난해 월평균 증가 추이(1.6%)를 크게 상회했다. 이 중 한-중 노선 항공교통 수요는 아직 더딘 상태다. 일본과 동남아 지역 중심의 신규 취항·증편 등에 따라 국제선이 전년 대비 70%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전체 국제 교통량 중 약 46%가 수도권과 제주 남단을 잇는 동남아·남중국 방면을 진출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항공교통 수요는 국제 항공편의 증가로 전년 대비 약 10% 감소했으나 2019년 국내 교통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공항별로는 국제선 회복에 따라 전년 대비 인천공항(63.7%↑)과 김해·대구공항의 교통량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제주·김포공항 등 국내선 위주의 대다수 공항은 항공교통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중국노선의 항공 수요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면 코로나 이전 교통량을 넘어설 것"이라며 "항공교통량 변동 추이를 모니터링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08-01 13:18:34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개포자이프레지던스 단지 내 상가 '개포 자이스퀘어' 분양

'개포자이 프레지던스'의 단지 내 상업시설인 '개포 자이스퀘어'가 분양 중이다. 31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개포자이 프레지던스는 3375세대 규모다. 입주민 고정 수요와 인근 2만여 세대의 배후수요를 갖추고 있어 상권 활성화가 예상된다. 지하 3층부터 지상 4층까지 총 102실로 구성된 개포 자이스퀘어는 독립형 상업시설로 127대의 넓은 주차공간과 차별화된 외관 설계를 적용해 일반 단지내 상가와 차별화했다. 중정조성으로 N동과 S동 두개의 동으로 구성된 개포자이스퀘어는 1층 기준 최대 3m 천정고를 확보해 점포의 개방감을 높였으며, 집객력이 우수한 대면 상가 배치를 통해 이용자의 편리성은 물론 각 점포별 업종과의 시너지 효과가 예상된다. 지난 3월부터 입점을 시작한 개포자이스퀘어는 편의점, 학원, 병원, 부동산, 미용실 등 생활밀착형 업종이 입점해 운영중이며 지하1층에 대형마트가 6월중순 오픈해 상가 이용객의 발길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지하1층에 1금융권 입점이 확정돼 상가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여력이 풍부한 인접 배후세대를 둔 개포자이스퀘어는 분양과 동시에 임차인 모집을 진행하고 있다. 임차인 모집 대상은 일반분양 호실인 1층과, 지하 1층의 업종 대상이다.

2023-07-31 15:50:57 박승덕 기자
2030년까지 매년 공업화주택 3000가구 발주

오는 2030년까지 매년 모듈러 주택 3000가구가 발주된다. 국토교통부는 공업화주택의 공급 활성화와 모듈러공법 등 첨단 건설기술 확산을 위해 공업화주택 공급 로드맵을 마련, 시행할 계획이라고 31일 밝혔다. 공업화주택은 현장 외의 장소에서 제조된 부재를 현장에 운반해 조립하는 건설방식인 OSC공법으로 건설되는 주택으로 공사기간 단축, 시공품질 향상, 안전사고 저감 등 장점이 많다. 영국,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는 주택건설산업 혁신의 아이콘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물량이 적어 기존 철근콘크리트(RC) 공법 대비 공사비가 높은 편으로 공공 지원 없이 널리 보급되기에 한계가 있다. 국토부는 공업화주택의 사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 공법 특성을 고려해 기존 규제를 개선하고 공공임대주택 발주물량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공공발주기관은 2030년까지 연간 3000가구 발주를 목표로 매년 발주계획을 수립, 공업화주택 시장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고, 민간의 자발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을 유도할 방침이다. 또 제도개선의 측면에서 설계, 감리 등 각종 건설절차에 대해 공업화주택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도록 종합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내화기준, 친환경건축 인증제도, 인센티브 규정 등이 공업화주택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개선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모듈러 등 OSC공법은 건설인력 고령화, 인건비 상승 등의 상황에서도 신속한 주택공급에 기여하고, 건설업의 첨단화와 친환경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다"며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공업화주택 공급을 확대해 국내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07-31 13:48:56 이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