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기사사진
8월 전국 2만385세대 입주...전월 대비 31%↓

8월에 전국에서 아파트 총 2만385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다. 서울 지역의 경우 올해 하반기 입주 물량이 많아 강남권을 중심으로 당분간 전셋값 약세를 피할 수 없다는 진단이 나온다. 31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에 따르면 내달 입주 예정 물량(임대·연립 제외, 총 가구 수 30가구 이상 아파트 포함)은 총 2만385세대로 조사됐다. 전월(3만542세대) 대비 31%가량 적은 물량이 공급되면서 2개월 연속 아파트 입주물량은 감소했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전월보다 입주 물량이 줄었다. 수도권은 1만460세대, 지방은 9925세대가 입주 예정으로 각각 26%, 35%씩 입주 물량이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6171세대로 입주 물량이 가장 많다. 이어 화성 1874세대, 의정부 1022세대, 가평 977세대 등 순이다. 'e편한세상가평퍼스트원', '가평자이', '군자서희스타힐스', 'e편한세상고천파크루체', '의정부역월드메르디앙스마트시티', '의정부역푸르지오더센트럴', '산내마을12단지디에트르더클래스', '산내마을12단지디에트르더클래스', '봉담2지구B-1BL중흥S-클래스에듀파크' 등 9곳의 단지가 입주한다. 서울은 3071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다. '서초 반포 래미안원베일리'와 '종로 에비뉴청계II' 등 2곳의 단지가 입주한다. 신반포3차와 경남을 통합 재건축한 단지인 래미안원베일리(2990세대)의 경우 내달 말 입주를 시작하면 서초구 내 3번째로 규모가 큰 단지가 된다. 지방은 ▲경남(3014세대) ▲대구(2834세대) ▲부산(1338세대) ▲전남(1213세대) 등 순으로 입주한다. 경남은 창원(1538세대)과 김해(1400세대)에서 대규모 단지가 입주하면서 지난 2020년 7월(4223세대 입주) 이후 가장 많은 물량이 공급된다. 한편, 올해 하반기 서울 입주 예정 물량은 1만6670세대로, 상반기(1만3644세대)보다 많아 강남권을 중심으로 당분간 전셋값 약세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내달 입주하는 래미안원베일리와 오는 11월 입주 예정인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6702세대) 등 서초지역에만 약 1만 세대가 공급되면서 강남권 위주로 전셋값 조정 가능성이 높아진 것.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내년 서울 입주 예정 물량은 1만3841세대로 올해(3만314세대)보다 54%가량 줄어든다. 물량이 줄어들면서 다시 전셋값이 오를 수 있다"면서 "강남구의 경우 내년 입주 예정 물량이 없고 서초구는 641세대만이 입주 대기 중이라 올해 하반기 강남권의 전셋값 약세는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7-31 11:40:30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쌍용건설 ‘2023년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

쌍용건설은 올해 상반기 대졸 신입 공개 채용을 통해 총 20여 명의 신입사원을 채용했다고 31일 밝혔다. 쌍용건설은 지난 4월부터 ▲건축 ▲토목 ▲전기 ▲설비 ▲플랜트 ▲안전 ▲재무회계 등 총 7개 분야에서 서류전형과 온라인 인적성 검사, 영어회화능력 시험, 면접 전형을 거쳐 이달 초 채용을 마무리했다. 이번에 선발된 신입사원들은 쌍용건설 본사와 경기도 가평과 이천의 교육센터 등에서 입문 연수 교육을 받으면서 회사생활을 시작한다. 이번 입문 연수교육에서는 최초로 그룹사 공통 그룹입문 교육이 진행됐다. 쌍용건설이 시공한 현장의 준공비를 찾는 '쌍용여지도' 활동, 중증 장애우의 일상생활을 보조하는 봉사활동 등 다채로운 외부 활동을 통해 신입사원들이 회사에 대한 소속감과 자긍심을 높였다. 연수 이후엔 국내외 현장에 배치돼 각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본격적인 현장실무교육(OJT)도 받을 계획이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최근 10년간 연속으로 신입 및 경력, 인턴사원 등 총 600여 명에 달하는 신규 직원을 채용하고 있다"면서 "그룹공채는 글로벌세아 창립 이래 처음 실시하는 것으로 향후 그룹 채용을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7-31 11:38:28 김대환 기자
삼성물산, 10년 연속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1위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10년 연속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1위에 올랐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6위에서 올해 3위로 약진하며 DL이앤씨와 순위를 바꿨다. 31일 국토교통부는 '2023년 시공능력평가'에서 삼성물산이 20조7296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삼성물산은 2014년 이후 10년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시공능력평가는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때 건설공사 실적과 경영 상태, 기술 능력 및 신인도를 종합 평가하고 시공능력평가액(시평액)을 산출하는 제도다. 발주자는 시평액을 기준으로 입찰 제한을 할 수 있고, 조달청의 유자격 명부제, 도급 하한제 등 운용에 활용한다. 올해 시공능력평가를 신청한 건설업체는 7만7675개사로 전체(8만9877개사)의 86.4%다. 1위 삼성물산에 이어 2위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현대건설(14조9791억원)이, 3위는 2021년 12월 중흥그룹과 인수·합병(M&A) 완료 후 국내외 사업을 활발하게 펼쳐 온 대우건설이 시평액 9조768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6위에서 3계단 뛴 것이다. 4위 현대엔지니어링(9조7360억원)도 지난해 7위에서 3계단 상승했다. 5위는 GS건설(9조5901억원)에 돌아갔다. 3계단씩 하락한 곳도 있다. DL이앤씨(9조5496억원), 포스코건설(8조9924억원)은 각각 지난해 3위, 4위에서 올해 6위, 7위로 내려왔다. 나머지 상위 10위권 중에는 롯데건설(6조935억원)과 SK에코플랜트(5조9606억원)가 지난해와 같이 각각 8위, 9위 자리를 지켰고, 10위는 호반건설(4조3965억원)이 차지했다. 10위권 밖에서는 아이에스동서와 쌍용건설, 반도건설 등의 순위 상승이 두드러졌다. 아이에스동서(1조8324억원)는 지난해보다 열네 계단 오른 23위, 반도건설(1조6572억원)은 여섯 계단 오른 26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글로벌세아에 인수된 쌍용건설(1조5672억원)은 28위로 순위가 다섯 계단 올랐다. 반면 금호건설(2조3463억원)과 삼성엔지니어링(1조3897억원)은 각각 15위→21위, 26위→33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두산건설(1조3168억원)은 35위로 지난해보다 무려 열한 계단이나 떨어졌다. 종합건설업의 업종별 공사 실적을 보면 토건(토목+건축) 분야는 삼성물산 11조4425억원, 현대건설 9조1415억원, 대우건설 7조776억원 등의 순이었다. 토목은 현대건설 1조5813억원, 대우건설 1조5612억원, SK에코플랜트 1조1120억원 등의 순이었고 건축은 삼성물산 10조6290억원, 현대건설 7조5601억원, GS건설 5조5297억원 등의 순이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07-31 11:33:23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전국 미분양 주택 4개월째 감소, 거래량도 증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4개월째 줄었다. 또 주택착공은 줄고, 준공은 늘었다.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늦춘 결과로 풀이된다. 하지만 준공 후 미분양은 꾸준히 늘어 9000호를 넘어섰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6388가구로 집계됐다. 전월보다 3.6%(2477가구) 줄어든 수치다. 미분양 주택은 올 초 7만5000여가구에서 3월부터 4개월 연속 감소, 수도권에서 미분양이 1만599가구로 2.2%(240가구), 지방 미분양도 5만5829가구로 3.9%(2237가구) 줄었다. 미분양 감소에는 우선 분양 물량 자체가 줄어든 때문이다. 지난 6월까지 누적 공동주택 분양은 전국 6만6447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3.0% 급감했다. 수도권 분양이 34.4%, 지방에선 50.9% 감소했다. 수도권과 지방이 감소했지만 서울 분양은 늘었다. 올 상반기 서울의 아파트 분양 물량은 5868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6.6% 늘었다. 인천(-54.2%)·경기(-37.9%)와 다른 흐름으로, 지역별로 차별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국 17개 시도 중에선 서울과 부산(140.9%), 광주(73.4%)에서만 상반기 아파트 분양 물량이 증가했다. 서울을 중심으로 분양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미분양이 전반적으로 줄었다. 다만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9399가구로 전월보다 5.7%(507가구) 증가했다. 이는 2021년 4월(9440가구)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주택 거래량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6월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5만2592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 증가했다. 수도권 주택 매매량이 2만830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0.8%, 지방은 2만8603가구로 0.01%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달 4136건으로, 2021년 8월 이후 1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다. 작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거래량이 회복되고 있지만 주택 인허가·착공 실적은 여전히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택 인허가는 올해 들어 6월까지 누계 기준 18만9213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7.2% 줄었다.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7만2297가구로 24.8%, 지방은 11만6916가구로 28.5% 감소했다. 주택 착공 실적도 6월 누계 9만2490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0.9% 줄었다.서울의 경우 상반기 아파트 착공 물량이 8639가구로 작년 상반기(2만5164가구)보다 65.7% 감소했다. 주택 준공 실적은 6월 누계 기준 전국 18만9225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 증가했다. 수도권 입주가 10.6% 늘었고, 지방은 5.0% 감소했다.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6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21만3265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0.3% 증가했다. 전세 거래량(9만7964건)이 작년 같은 달보다 7.5% 줄었지만, 월세 거래량(11만5301건)은 8.1% 늘었다. 올해 들어 6월까지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5.3%를 기록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07-31 08:52:23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DL이앤씨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 2.2대 1

DL이앤씨의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이 다소 가라앉아 있는 시장 상황에 비해 양호한 청약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에 따르면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에는 특별공급을 제외한 279세대 중 총 614건의 청약통장이 접수돼 평균 경쟁률 2.2대 1을 기록했다. 전용면적 59㎡A에는 49세대 모집에 190건이 접수되며 3.88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74㎡A와 74㎡B의 경우에도 각각 2.01대 1과 2.2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의 총 접수건수인 614건은 최근 분양 단지의 총 접수 건수인 143건과 비교하면 약 4.3배에 달하는 높은 수치다. DL이앤씨는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의 우수한 입지, 상품성, 브랜드와 더불어 앞으로 나오기 어려운 3억원대 분양가 등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한다. 차별화된 전략과 1군 시공사로 향후 보기 드문 분양가 책정, 초기 비용 부담을 낮추는 금융혜택 지원 등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분양 관계자는 "이번 사업지에서 희소가치가 높은 소형을 우선 분양하면서 원주 분양시장 분위기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냈다"면서 "이는 소비자 니즈에 맞춘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이고 높은 계약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은 수요자들의 초기 자금 마련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계약금 10%를 5%씩 2회로 나눠낼 수 있도록 했다. 2회차 계약금 5%에 한해 이자를 지원한다. 중도금은 60%, 잔금은 30%다. 특히 중도금 대출에는 전액 무이자 혜택을 제공한다. 실거주 의무가 없어 계약금 10% 완납 후 분양권 전매도 가능하다.

2023-07-30 13:52:57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DL이앤씨 ‘e편한세상 동탄 파크아너스’, 2회차 완판 관심

DL이앤씨가 경기도 화성시 신동 동탄2택지개발지구에서 분양한 'e편한세상 동탄 파크아너스' 2회차 완판이 임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DL이앤씨는 지난 17일부터 정당계약에 나선 단지가 계약 첫날부터 당첨자들이 몰리며 성황을 이뤘고, 22일 실시한 예비 당첨자 계약에서도 대부분 물량이 주인을 찾으며 조기 완판에 한발 다가선 모습이라고 30일 밝혔다. 해당 단지는 앞서 실시한 1·2순위 청약 접수에서 총 1500명이 몰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잔여 세대 계약까지 완료되면 1회차 437세대를 포함해 총 800세대 모든 물량이 완판된다. DL이앤씨는 반도체와 GTX 등 대형 개발 호재를 품은 동탄2신도시의 미래가치를 선점하려는 수요자들이 전국에서 몰리고 있어 조기 완판이 예상된다. 동탄2신도시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배후주거지로 주목받고 있다. 향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상주 근로자만 4만여 명으로 추산된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A 노선의 일부 구간인 수서~동탄도 내년 상반기 개통 예정이다. 해당 구간 개통 시, 기존 대중교통(버스+지하철) 대비 이동 시간을 60분 가량 단축할 수 있어 동탄2신도시 선호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DL이앤씨는 경쟁력 있는 분양가와 계약자들을 위한 합리적인 분양 조건도 완판을 이끄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e편한세상 동탄 파크아너스' 2회차는 전용면적 99㎡ 기준 5억8006만원~6억2155만원 선으로 분양가가 책정됐다. 계약금 10%(1회차 1000만원 정액제), 중도금 10%, 잔금 80% 조건으로 공급돼 계약자들은 중도금 대출에 따른 이자 부담도 줄일 수 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단지는 신주거문화타운에서 공급되는 마지막 e편한세상 브랜드라는 점도 조기 완판을 기대하게 하는 요소다"라면서 "총 336만8000㎡ 부지에 1만7000여가구 규모로 개발되는 신주거문화타운에서 'e편한세상' 브랜드 공급은 더 이상 없어, 이번이 대형건설사의 인기 브랜드 아파트를 선점할 유일한 기회"라고 전했다.

2023-07-30 12:01:18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HDC현대산업개발, 도시개발로 사회적 가치 창출

HDC현대산업개발이 디벨로퍼로서 주택사업과 더불어 도시공간을 재생시키는 복합개발 등으로 도시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공공에 기여하며 도시를 재생하는 방식으로 차별화된 라이프 플랫폼 도시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기존 도시를 개발하거나 리모델링 등을 통한 건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업무, 주거, 문화, 휴식 등이 결합한 복합 플랫폼을 개발하면서 녹지공간을 더해 도심속 많은 사람에게 차별화된 가치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용산 민자역사 개발을 진행하면서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 안팎으로 시민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다양한 휴식공간을 제공하면서 공공성을 확보한다. 용산 민자역사를 중심으로 전면광장을 개발해 공원부지와 연계한 보행로로 녹지 축을 구축하고 문화와 휴식, 주거와 업무가 통합된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용산역과 서울드래곤시티를 연결하는 노후된 공중보행 교량을 신설하는 공사가 올해 하반기 개통될 예정이라 향후 용산 국제업무지구의 개발사업에서도 보행 네트워크의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기반시설이나 인프라시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국민의 주거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공공 민간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등 공공 개발사업 역시 적극 추진하고 있다. 부산컨테이너터미널(BCT), 서울춘천고속도로, 부산항대교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도시에 생명을 불어넣는 공공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30알 "공공을 위한 도시개발과 인프라 구축 역량을 강화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도시에 생명을 불어넣는 디벨로퍼로서 앞장서겠다"면서 "HDC만의 차별화된 라이프 플랫폼으로 복합도시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7-30 12:00:36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8월 분양, 전국 1만8335가구..."지방도 관심끌까?"

8월 분양시장에선 지방에서도 시장이 회복세를 보일 지 주목된다. 30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8월 전국에서는 28곳, 2만7609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 중 일반 분양 물량은 1만8335가구다. 수도권 일반 분양 물량은 6557가구(35.8%)며, 지방광역시는 7421가구(40.4%), 기타 지방은 4357가구(23.8%)다. 지방광역시 일반 분양 예정 물량은 7월 실적(3528가구) 대비 2배 수준으로 수도권 물량을 상회한다. 올해 월별로 지방광역시 물량이 수도권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도별로는 광주가 3155가구(4곳 17.2%)에 이어 부산 2913가구(4곳 15.9%), 경기 2778가구(6곳 15.1%) 등이다. 주요 단지로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서울 동대문구 이문1구역 재개발을 통해 '래미안 라그란데' 3069가구 중 52~114㎡ 920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지하철 1호선 외대앞역·신이문역 역세권 단지다. 호반건설은 다음달 1일 경기 평택시에 위치한 '호반써밋 고덕신도시 3차' 84~100㎡, 703가구의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단지 바로 옆 초중고교 부지가 예정돼 있고, 국제학교를 비롯한 에듀타운도 계획돼 있다. HDC현대산업개발도 1일 경기 광명시에 자리한 '광명 센트럴 아이파크'39~113㎡, 1957가구 중 425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이 도보권에 있다. 대방건설은 부산 강서구 일원에 건립되는 '부산 에코델타시티 2차 디에트르'59~110㎡, 1470가구를 공급한다. 에코델타시티는 부산에서 희소성 있는 평지인데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다. 호반건설과 라인건설은 광주 서구에 위치한 '위파크 더 센트럴' 84~104㎡, 695가구를 공급한다. 이 단지는 호반건설과 라인건설이 위파크 마륵공원에 이어 광주에서 두번째로 공급하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아파트다. GS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은 대전 서구에서 숭어리샘 재건축을 통해 '둔산 자이 아이파크' 59~145㎡, 1974가구 중 1353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백화점, 마트, 공원, 공공기관 등 생활 인프라가 탄탄하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07-30 11:41:52 이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