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朴대통령, 오늘 방사청 KF-X 개발 종합대책 대면 보고 받아

[메트로신문 김종훈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청와대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사업 계획에 대해 장명진 방위사업청장으로부터 직접 보고를 받을 것이라고 복수의 정부 관계자가 전했다. 정부 관계자는 "방위사업청은 박 대통령의 국회 예산안 시정연설이 종료된 뒤 청와대에서 KF-X 개발사업와 관련한 전반적인 종합대책을 대통령에게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권 관계자도 "박 대통령이 KF-X 핵심기술의 국내 개발 가능성 등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오전중 보고할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날 대면보고에는 한민구 국방장관과 장 방사청장, 정홍용 국방과학연구소(ADD) 소장이 참석한다. 다만, 한 장관은 박 대통령에게 최근 실시된 군 장성 인사와 관련해 간략하게 보고한 뒤 바로 퇴장하며, KF-X와 관련한 실제 보고는 장 방사청장이 할 것으로 전해졌다. 방위사업청은 이날 KF-X 개발 사업과 관련, 미국이 기술이전을 거부한 AESA(다기능위상배열) 레이더와 IRST(적외선탐색 추적장비), EO TGP(전자광학 표적추적장비), RF 재머(전자파 방해장비) 등 4개 핵심기술에 대한 국내기술 개발계획과 3개국 협력방안 등을 보고할 것으로 알려졌다. AESA 레이더는 2006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ADD)와 방산업체인 LIG넥스원에서 개발 중이며 오는 2021년까지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AESA 레이더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30여개 기술 중 5개는 이스라엘과 영국, 스웨덴 등 해외 3개 국가와 부분 협력으로 개발하겠다는 계획도 보고에 포함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4개 핵심기술을 개발한다고 해도 이 기술을 전투기의 두뇌 격인 '미션컴퓨터'와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문제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이날 보고 내용을 토대로 KF-X 핵심기술 국내 개발 문제 등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는가에 따라 창군 이래 최대 무기개발 사업으로 불리는 KF-X 사업의 보완 및 지속 여부가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청와대는 미국의 KF-X 기술 이전 불가에 대한 책임라인의 추가 문책은 없다고 선을 긋고 있지만, 정치권에서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등에 대한 문책론을 제기하고 있어 박 대통령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2015-10-27 11:24:02 김종훈 기자
기사사진
노령연금 받는 여성 절반, 수령액 20만원 못미쳐

노령연금 받는 여성 절반, 수령액 20만원 못미쳐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국민연금 노령연금을 타는 여성 수급자의 절반은 한 달 받는 금액이 2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자 수 자체도 남성의 절반에 못 미쳤다. 27일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연금 공표통계'를 살펴보면 7월말 현재 노령연금을 수급하는 여성은 94만9948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월 수령액이 10만원 이하인 경우는 2만6723명(2.8%), 월 10만~20만원은 43만2420명(45.5%)으로, 절반에 육박하는 48.3%가 월 20만원 이하였다. 월 20만~30만원은 28만8608명(30.4%)으로, 4명 중 3명 이상인 78.7%는 월 30만원 이하의 노령연금을 받고 있었다. 여성 수급자 상당수가 월 30만원 이하에 몰려 있는 가운데 수령액이 올라갈수록 수급자수는 급격히 줄어들어 월 100만원 이상은 전체 여성 수급자의 0.1%(1078명) 뿐이었다. 남성 수급자의 수령액 역시 월 30만원 이하인 경우가 많았지만 집중되는 정도는 여성보다 훨씬 양호한 편이었다. 월 0~20만원인 남성은 전체 남성 수급자의 25.5%였으며 월 0~30만원은 46.9%였다. 월 100만원 이상은 4.1%로 여성보다 비중이 높았다. 여성은 남성보다 수급자 수 자체도 적었다. 여성 수급자(94만9948명)는 남성 수급자(206만9703명)의 절반도 되지 않는 45.9% 수준이었다. 남녀 전체 노령연금 수급자의 평균 수령액은 월 34만5700원이었다. 여기에는 국민연금 제도 도입 초기 5~9년만 가입해도 연금을 받을 수 있게 한 특례연금이 포함됐다. 특례연금을 제외하면 평균 수령액은 월 48만4210원이 되는 셈이다. 가입 기간이 20년 이상인 수급자의 월 수령액 평균은 88만4210원이었으며, 가장 수령액이 많은 수급자는 한 달에 182만6650원을 받고 있었다.

2015-10-27 11:06:43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정부, 2016년부터 2년간 현역병 2만명 추가 입영

정부, 2016년부터 2년간 현역병 2만명 추가 입영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군 입대 적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당정이 2016년부터 2년간 당초 예정된 현역병 입영 정원을 2만명 늘려 추가 입대시킬 방침이다. 당정은 이를 위해 내년도 600억원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 내년과 후년 각각 1만명의 현역 신병을 추가로 충원하기로 했다. 27일 정부와 새누리당은 국회에서 김무성 대표, 김정훈 정책위의장과 한민구 국방장관, 박창명 병무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회를 열어 이같이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국방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성찬 의원이 전한 바에 따르면 현재 연간 현역 입영 인원은 25만명 수준으로 1만 명 정도를 더 수용할 역량과 시설은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당정은 또 산업기능요원 입대 자원을 연간 4000명에서 6000명으로 늘리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아울러 신체검사 기준을 강화하고 고등학교 중퇴자를 보충역으로 돌리는 등 현역 입영 요건을 더욱 까다롭게 하기로 했다. 다만 고교 중퇴자가 보충역 대신 현역 입영을 원하면 이를 수용하기로 했다. 앞서 병무청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육·해·공군과 해병대 입영 경쟁률은 7.5 대 1를 기록, 지난해 6 대 1보다도 더 높아졌다.

2015-10-27 11:05:33 연미란 기자
베트남전 퓰리처상 사진 속 '네이팜 소녀' 43년만에 화상 치료

베트남전 퓰리처상 사진 속 '네이팜 소녀' 43년만에 화상 치료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베트남전의 참상을 알려 퓰리처상을 받은 사진 속의 베트남 소녀가 43년만에 전쟁 당시 입은 화상을 치료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현재 캐나다에 거주하는 킴푹(52)은 지난달 말부터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화상 치료를 받고 있다. 1972년 베트남전으로 인한 네이팜탄 폭격으로 화상을 입고 울며 달리는 어린이를 찍은 종군기자의 사진은 당시 모든 신문의 1면에 실리며 전쟁 종식에 기여했다. 당시 미 공군 조종사 존 플러머는 상부의 지시로 베트남 트랑방마을에 네이팜탄을 떨어트렸다. 당시 그 마을 카오다이 사원에 가족과 은신해있던 킴푹은 피신을 재촉하는 병사들의 채근에 사원을 벗어나 달리기 시작했다. 폭탄은 사방에서 터졌고 네이팜탄의 불길은 당시 무명옷을 입은 킴푹의 왼쪽 팔에 옮겨붙었다. 킴푹은 옷을 벗어던지고 울부짖으면서 필사적으로 거리로 뛰쳐나가다가 곧 의식을 잃었다. 닉 우트는 그 장면을 담은 뒤 쓰러진 킴푹을 인근 병원으로 후송해 살려냈다. 당시 킴푹은 전신 30%에 3도 화상을 입었다. 병원에서 17차례의 피부이식 수술을 받아야 했다. 하지만 완치되지 않아 이번에 레이저 치료를 받는 것이다. 킴푹은 유엔평화친선대사가 되어 1999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적 있다.

2015-10-27 11:03:47 송병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