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與 김장겸, '포털뉴스 공적책임법' 대표발의… "포털의 뉴스유통 책임 강화"

네이버·다음 등 포털 사이트의 뉴스 유통자로서 책임을 강화하는 '포털뉴스 공적책임법(언론중재법 개정안)'이 10일 발의됐다. 포털뉴스 공적책임법은 이날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발의했으며, 피해자가 언론중재위원회(언중위)를 통해 포털을 상대로 피해 확산 방지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개정안에 따르면 언중위 조정 대상이 된 기사를 제공한 언론사는 이를 포털에 통지해야 하며 포털은 해당 기사에 조정 신청이 접수됐음을 명시해야 한다. 포털도 조정 사건의 당사자로 포함된다. 현행법은 포털이 조정 신청을 받은 경우만 언론사에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개정안은 언론사와 포털 간의 상호 통지를 의무화한 것이다. 또 개정안은 피해자가 조정 신청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에 따른 정보(기사) 삭제 요청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포털은 조정 신청 사실을 확인한 즉시 해당 기사가 정보통신망법상 임시조치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조치 결과를 언중위에 제출해야 한다 이는 그간 포털을 통해 유통되는 기사도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삭제 요청이 가능했지만, 피해자들이 이를 충분히 인지하지 못해 적절한 대응이 어려왔다는 지적을 반영해 개선책이 만들어진 것이다. 김장겸 의원은 "최근 25세의 젊은 배우가 세상을 떠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하는 등 악의적인 기사 확산으로 인한 피해가 사회적으로 심각한 수준"이라며 "포털은 신뢰할 수 있는 뉴스 유통 환경을 조성하고 가짜뉴스와 허위정보의 확산을 방지할 책임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현재 포털은 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를 통해 뉴스 유통이 가능한 언론사를 선별하고 있는데, 이는 포털이 단순한 뉴스 전달자가 아니라 어떤 언론사가 자사의 플랫폼을 통해 뉴스를 유통할지를 결정하는 사실상의 '뉴스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면서 "문제는 포털이 언론을 선별하고 뉴스를 배열하면서도,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왜곡된 정보, 악의적 기사, 가짜뉴스 등에 대한 책임을 제대로 지지 않고 있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포털을 언중위를 통한 중재 및 피해 회복 시스템의 일원으로 포함하는 등 포털의 책임을 강화한 이번 개정안을 통해, 피해 확산 방지와 피해자 회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025-03-10 16:57:59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국정협의회, 연금개혁 '소득대체율' 이견으로 파행

우원식 국회의장과 권성동 국민의힘·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0일 국정협의회에서 만나 국가 현안을 협의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으나, 국민연금 모수개혁에 대한 이견으로 파행됐다. 박형수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정협의회 후 회담 결렬 소식을 알렸다. 국민의힘 박형수 원내수석은 "추경안 편성은 조금 진전이 있었다"면서 "추경안 편성을 하기로 하고 실무협의회를 개최해 정부가 참여하고 양당 정책위의장, 예결위 간사 등을 참여시켜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 문제가 일단락되고 나서 연금 개혁 문제에 대해 지난번에 민주당이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생애평균소득 대비 노후에 받을 수 있는 연금 수령액의 비율) 43%를 받는 것을 전제로 해서 당내 의견을 모아보기로 했다"며 "그런데, 오늘 와서 하는 이야기는 소득대체율 43%를 당내에서 도저히 받을 수 없다고 한다"고 말했다. 여야는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4%포인트 올리는 것엔 합의했으나 소득대체율을 두고 입장차가 크다. 국민의힘은 추경안 편성과 연금개혁이 함께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 원내수석은 "연금개혁 문제를 완전히 원점으로 되돌렸기 때문에 그렇다면 더 이상 논의할 수 없다"며 "그래서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와 김상훈 정책위의장이 이렇게 되면 추경안 편성에 대한 부분도 다 같이 논의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해서 일단 회담은 파행이 됐다"고 밝혔다. 이어 "추후 어떤 논의가 있을지 모르지만 오늘 여야 협의 회담은 파행됐다"고 덧붙였다. 우원식 의장은 지난 국정협의회에서 소득대체율을 43.5%로 절충하되 현재 정부가 5년마다 국회에 제출하게 돼 있는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 보고를 강화하는 내용의 중재안을 제출했으나 국민의힘은 소득대체율 43%를 고집했고 민주당은 정부 보고 강화안이 자동조정장치 같은 기능이 있다며 난색을 드러냈다. 자동조정장치는 인구·경제 상황에 따라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제도다. 국민의힘은 연금개혁시 자동조정장치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다만, 민주당은 정부 보고 강화 내용을 뺀다면 소득대체율 43%도 검토해볼 수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국정협의회 시작 전 "국정협의회를 세번째 한다"며 "지난번에 논의한 특위 (구성), 추경안 편성, 연금개혁, 반도체 특별법에 관해서 국정 여러 상황이 매우 어렵지만, 그런 상황 속에서도 국민과 민생을 챙기려는 노력은 중단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마은혁 헌법 재판소 재판관 후보자 미임명 문제로 인한 민주당의 반대로 국정협의회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등 정부 측이 빠졌고 이날 회의엔 양당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원내수석이 참석했다. 이날 국정협의회는 윤석열 대통령 석방으로 인한 파장으로 개최가 불투명했으나 민주당이 민생 회복을 위한 추경안 편성이 중요하다고 주장해 성사됐다.

2025-03-10 16:35:51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국내 중견 제약사, K제약 성장세 견인...매출 '보령' 영업이익 '동국제약'

중견 제약 기업들이 외형 성장을 이뤄내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등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낸다. 10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보령이 연간 매출 1조원을 넘겨 선두 주자로 올라서면서 K제약 외형이 커지고 있다. 보령은 지난 2024년 실적으로 연결기준 매출 1조171억원, 영업이익은 705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728억원이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8.3%, 3.2% 늘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81% 급증했다. 보령의 호실적은 전문의약품 매출이 견인했다. 해당 사업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4.6%에 이른다. 특히 항암제 부문에서 레거시 브랜드 인수(LBA) 전략을 펼쳐 독보적인 시장 지배력을 다졌다. 보령은 미국 일라이 릴리의 항암제 젬자, 알림타 등을 보유하고 있다. 보령은 LBA 전략으로 인수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의약품 생산에도 역량을 쏟는다. 충남 예산공장에서 주요 항암제 생산을 내재화해 글로벌 시장으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전략이 확장됐다. 이와 함께 올해부터는 김정균 단독 대표 체제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고돼 향후 보령의 사업 방향성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특히 김정균 대표는 지난 2022년부터 '휴먼 인 스페이스' 사업을 추진해 왔다. 인류의 우주 장기 체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우주 의학'에 집중해 기업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보령은 미국 민간 우주기업 액시엄 스페이스와 합작법인 브랙스스페이스를 설립해 우주 관련 사업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또 브랙스스페이스는 보령의 특수관계기업으로 지난해 3분기 기준 310만원의 매출을 낸 것으로 공시됐다. HK이노엔, 동국제약, JW중외제약 등은 영업이익 측면에서 보령을 앞지르며 올해 1조 클럽 입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HK이노엔은 지난해 연간 매출 8971억원, 영업이익 882억원 등의 실적을 올렸다. 당기순이익은 616억원이다. HK이노엔은 차세대 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을 중심으로 고성장을 지속했다. 케이캡이 HK이노엔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로, 2023년 14%, 2022년 11% 등으로 지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제30호 국산 신약인 케이캡은 국산 신약 가운데 가장 최단기간에 연간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시장 경쟁력을 갖췄다. HK이노엔은 케이캡을 글로벌 국산 블록버스터 품목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현재 미국에서 비미란성식도염을 적응증으로 한 케이캡 임상 3상을 완료했고, 미란성식도염에 대한 임상 3상은 진행하고 있다. 해당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품목허가를 신청하는 절차를 추진할 예정이다. 동국제약은 최대 매출을 기록할 전망이다. 동국제약이 최근 공시한 바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11.1% 증가해 8122억원이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804억원, 623억원이다. 모두 두 자릿수의 성장세를 기록해 각각 20.3%, 27.6% 확대됐다. 동국제약은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을 비롯해, 화장품, 의료기기 등 사업 전반에서 고르게 성과를 내 왔다. 동국제약 화장품 사업의 대표 브랜드인 '센텔리안24'의 경우, 핵심 성장엔진 역할을 한다. 2015년 4월 출시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센텔리안24가 누적한 매출액은 이미 1조원을 기록했다. 지난달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한 자회사 동국생명과학은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을 공략한다. 동국생명과학은 국내 조영제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고, 핵심 제품인 CT 조영제 '파미레이', MRI 조영제 '유니레이' 등은 유럽, 일본 등 전 세계 25여 개 국가로 진출해 있다. JW중외제약도 제약사 1조 클럽 후보로 업계의 주목을 받는다. JW중외제약의 지난 2024년 연간 매출은 7194억원, 영업이익은 825억원이다. 각각 전년 대비 4%, 18% 줄었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76% 급증해 676억원에 달한다. 이와 관련 JW중외제약은 연구개발 비용 증가가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을 내놨다. 당기순이익은 전년도 일회성 비용 소멸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으로 발생했다. JW중외제약이 연구개발에 투입한 비용은 지난해 3분기 기준 590억원 수준이다. 고지혈증 치료제 리바로, 수액제 등이 주요 매출 품목인 가운데, JW중외제약은 신약 파이프라인에 사활을 걸고 있는 모습이다.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 후속 연구, 표적항암제 후보물질 JW2286, 통풍치료제 URC102 등의 파이프라인이 임상 단계에 진입해 있다.

2025-03-10 16:07:18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여야, '배우자 상속세 폐지'에 한목소리… 상속세법 협의 본격 시작될까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상속세법 개정과 관련해 배우자 상속세 폐지 부문에는 합의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여야 간 간 상속세법 개정 협상이 조만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중소상공인·자영업자 생존권 촉구대회에 참석한 뒤 취재진과 만나, 배우자 상속세 폐지부터 우선 추진하자는 여당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하면 된다. 빨리 하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하면 되지 않나"라고 밝혔다. 앞서 국민의힘은 지난 6일 배우자 상속세를 전면 폐지하고 상속세 방식을 현행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이 대표는 이튿날인 7일 "국민의힘이 제안한 '배우자 상속세 폐지'를 수용하겠다"고 화답했다. 이 대표는 "배우자에 대한 상속세 면제는 수평 이동이기 때문에 나름의 타당성이 있다"며 "여당이 상속세 일괄공제를 올리는 것도 동의하는 것 같은데, 배우자 상속세 면제 폐지를 우리도 동의할 테니 이번에 (상속세법 개정안을) 처리해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그간 상속세 일괄공제는 현행 5억원에서 8억원으로, 배우자 공제 최저한도는 현행 5억원에서 10억원으로 올리는 내용의 세법 개정안을 추진했는데 여당의 제안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이에 국민의힘은 배우자 상속세 폐지와 세액공제 확대 등 여야 합의가 가능한 항목부터 법안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현재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소위원장인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과 관련한 단식 농성 후 회복 중이라, 박 의원이 복귀하면 협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민의힘은 현행 50%인 최고세율 인하, 최대 주주 할증 평가 제도 폐지를 요구하고 있는데, 민주당은 이에 부정적인 입장라 실제 조정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은 지난 6일 상속세법 개정안 등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한 바 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3-10 16:04:46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러, 美지원 끊긴 우크라 공세 강화…우크라, 수드자서 고립 위기

러시아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과 정보 공유를 차단한 사이 공세를 강화해 전과를 올리고 있다고 러시아 언론들이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돈바스 주요 도시를 장악했고, 자국 본토 쿠르스크에선 우크라이군을 더 밀어내고 있다고 뉴시스가 전했다. ◆러 국방부 "도네츠크 콘스탄티노플 마을 등 해방" RT 등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9일(현지 시간)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의 콘스탄티노플을 해방했다"고 발표했다. 18세기 크림반도 출신 그리스 정착민들이 비잔틴 제국의 수도 이름을 따서 지은 마을이다.텔레그렘에 게시된 영상에는 러시아군이 이 마을에 국기를 게양하는 모습이 담겼다. 국방부는 전투에서 우크라이나군이 50명이 넘는 군인을 잃었다고 주장했다.러시아 국방부는 또 지난 24시간 동안 러시아 공군, 드론, 미사일, 포병 부대가 우크라이나의 여러 가스 처리 시설과 군용비행장, 드론 조립 작업장을 공습했다고 밝혔다. 타스통신은 러시아군 각 전투부대가 하르키우와 도네츠크 등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에 피해를 입혔으며,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군 1000명 이상이 사상하고 서방 지원 무기 등 군사 장비 다수를 파괴했다고 보도했다. ◆러, 쿠르스크 여러 마을 탈환…우크라군, 수드자서 고립 위기 러시아군은 또 자국 본토 쿠르스크 지역의 여러 마을을 탈환했다.비크토로브카, 니콜라예프카, 스타라야 소로치나 마을 등이다.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군은 주요 거점이던 말라야 록냐에서 상황이 더욱 어려워졌다고 러시아 측은 주장했다.러시아군은 최근 몇 주 동안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가 통제하는 가장 큰 지역인 수드자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그 결과 우크라이나군은 주요 국경을 가로지르는 도로 하나만 사용할 수 있게 돼 병참 문제를 겪고 있다고 한다. 일부 언론은 우크라이나군 최대 1만명이 조만간 이 지역에서 완전히 고립될 수 있다고 전했다.키이우인디펜던트도 최근 러시아군이 수드자 인근에서 탄약과 식량 공급망을 파괴했으며 우크라이나군이 포위 위기에 처해 있다고 했었다. ◆러군, 수드자 1.4m 가스관 타고 15㎞ 침투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 총참모부는 이날 업데이트한 전황에서 지난 하루 동안 쿠르스크 지역에서 러시아군의 공격 44건을 격퇴했다고 밝혔다.코레네보 마을에서 수드자 방향과 노보이바노우카, 말라야 록냐, 수드자 남쪽에서 가장 큰 공격이 있었다고 했다.특히 러시아군은 직경 1.4m의 미사용 가스관을 활용해 수드자에 침투를 시도했다고 유로뉴스 등은 전했다.이 가스관은 러시아가 최근까지 유럽으로 가스를 수송했던 것인데, 러시아군은 가스관을 통해 무려 15㎞를 침투했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총참모부는 전날 저녁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의 파괴 및 공격 집단이 수드자 외곽 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파이프라인을 사용했다"면서 "그러나 러시아군은 적시에 감지됐고 우크라이나군은 로켓과 포로 차단, 파괴했다"고 밝혔다. ◆우크라, 美 정보 차단에 손실 급증…'협상카드' 쿠르스크서 밀려 쿠르스크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가 밀려나는 것은 그나마 남아 있는 협상 카드를 잃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8월 쿠르스크 지역을 기습 공격해 국경 인근 여러 마을을 점령했는데, 이후 차츰 밀려나고 있다. 러시아군은 6개월간의 전투 끝에 이 지역 영토의 64%를 장악했다고 주장했다.영국 타임지는 미국의 정보 공유 중단으로 우크라이나군의 손실이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쿠르스크 지역에서 사상자와 영토 손실이 컸고 사기가 급격히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한 당국자는 "정보 공유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가장 강력한 서방 무기 중 일부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됐다"며 "우크라이나인 수백명이 사망했는데, 가장 큰 문제는 사기 저하"라고 짚었다. ◆우크라, 드론으로 맞대응…러군 "드론 88기 격추" 우크라이나도 드론 등으로 맞대응하고 있다.특히 러시아 추바시자치공화국 체복사리에 있는 석유저장소를 처음으로 공격했다고 밝혔다. 이 석유시설은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900㎞ 떨어져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이 외에도 리페츠크와 랴잔주 정유 공장에 대해서도 공격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러시아군은 "밤새 벨고로드와 루페츠크, 로스토프, 보로네시, 아스트라한, 크라스노다르, 랴잔, 쿠르스크 지역 등에서 우크라이나 드론 88대를 격추했다"고 확인했다. ◆트럼프, 미·우크라 사우디 회담 앞두고 정보 제한 해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충돌한 이후 군사 원조와 정보 공유를 중단하며 종전 협상 및 광물 협정 체결을 압박하고 있다.그리고 11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의 미·우크라 고위급 회담을 앞두고 정보 공유 차단은 해제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광물 협정만으론 군사 원조를 재개하지 않겠다고 보좌진들에게 이야기했으며, 우크라이나의 영토 포기와 정권 교체도 원하고 있다고 미국 NBC는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일론 머스크 테슬라·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는 "스타링크는 협상 카드가 아니다"며 "우크라이나에서 절대 차단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3-10 16:00:14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美특사 "하마스, 5~10년 장기 휴전 제안…몇 주 내 협상 성과 기대"

애덤 볼러 미국 백악관 인질 특사가 하마스가 5~10년 장기 휴전을 제안했다며, 미국인을 포함한 모든 인질 석방이 몇 주 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볼러 특사는 9일(현지 시간) CNN '스테이트 오브 더 유니언'에 출연해 "하마스 상황에 관해 희망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볼러 특사는 "이스라엘은 하마스, 헤즈볼라를 비롯한 수많은 적들을 제거하는 데 있어 훌륭한 일을 해냈다"며 "장기적인 휴전 같은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장기 휴전 조건으로 인질 석방과 하마스 무장 해제, 정당 활동 중단을 거론했다. 장기 휴전이 "현실이라고 생각하고, 아주 가깝다"고 낙관했다. 하마스 측과 다시 만날 계획에는 "알 수 없다"면서 "가끔 그 지역에 있을 때 들르는 경우가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볼러 특사는 이스라엘 칸뉴스와 인터뷰에서 하마스가 5~10년 휴전과 그 기간 무장 해제 및 정치권 포기를 제안했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나쁘지 않은 첫 제안"이라고 평가했다.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측근이 최근 하마스와 직접 접촉해 항의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스라엘의 반응을 이해한다고 했다. 다만 미국은 자국 이익을 따를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 했다. 볼러 특사는 "(이스라엘의) 당혹감과 우려를 이해할 수 있지만, 우린 미국이다. 이스라엘의 대리인이 아니다"라며 "우린 특정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하마스에게 지금 시점에서 현실적으로 어떤 최종 목표를 원하는지 묻고 싶었다. 그들의 목표를 알기 전까지 휴전이나 적대 행위 종식을 달성하기 매우 어렵다"며 "결국 매우 유익한 회의였다"고 평가했다.그러면서 "몇 주 안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인뿐 아니라 모든 인질을 석방할 수 거래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하마스 측과 직접 협상을 "당연히" 사전 승인했다고 말했다.다만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은 소식통을 인용해 이번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 측근인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가 승인했다고 전했다.볼러 특사는 이스라엘 채널12와 인터뷰에서 협상 중재국들이 제안한 2개월간 휴전 연장 및 인질 10명 석방 질문엔 "가능성 있는 해결책"이라고만 말했다.이스라엘 대표단이 협상을 위해 10일 카타르 도하로 향하는 가운데 "(협상 상태는) 이스라엘이 잘할 수 있도록 매우 잘 준비돼 있다"고 평가했다. 현재 가자지구에 남은 인질은 59명이다. 이스라엘군은 이 중 35명이 사망했다고 확인했다. 정보 당국은 22명이 아직 살아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나머지 두 명에 대해선 파악하지 못했다.남은 인질 중 미국 국적자는 5명이다. 이 중 1명이 살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볼러 특사는 최근 카타르에서 하마스 관계자들과 직접 만나 협상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관료가 하마스 측과 직접 접촉한 건 1997년 테러단체로 지정한 이래 처음이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6주간 1단계 휴전은 지난 1일 종료됐다. 전면전을 재개하지 않았지만, 이스라엘은 구호품 전달 중단에 이어 9일 전기 공급에 나서며 압박을 최대화하고 있다고 뉴시스가 전했다. 이스라엘 대표단은 협상을 위해 10일 카타르를 찾을 예정이다. 이스라엘은 1단계 휴전 연장을, 하마스는 2단계 휴전을 협상 목표로 하고 있다.

2025-03-10 15:59:42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野 정무위원들 "삼부토건 엄정 조사해야" 압박… 금감원 항의방문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이 10일 금융감독원을 찾아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에 대해 신속한 조사를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정무위원들은 금감원이 강제 수사권이 없다는 이유로 조사를 미뤘다며 강경 대응하겠다고 압박했다. 특히 100억원대 불법 수익이 은닉되지 않도록 계좌를 동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무위 야당 간사 강준현 민주당 의원 등 야당 정무위원 10명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금감원 1층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얼마 전 이복현 원장이 삼부토건 관련해 주가조작을 통한 100억원 정도의 시세차익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해줬다"며 "저희 민주당에서는 그동안 의혹이 많았는데 그 의혹이 빨리 조사되길 바라면서 오늘 항의 방문을 했다"고 밝혔다. 이어 "윤석열 정부와 관계된 특정 세력이 연루가 됐는지, 김건희 여사가 연루 됐는지 분명하게 조사해야 할 것 같다"며 "금감원장은 시장 질서를 수호하고 투자자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확실하게 조사를 하든가 아니면 권력의 눈치만 보든가 둘 중 하나는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신속한 수사를 촉구하기 위해 금감원을 찾았다. 하지만 이복현 금감원장이 오전 일정으로 인해 자리를 비워, 이세훈 수석부원장과 면담을 가졌다. 강준현 의원은 면담 후 취재진과 만나 "이복현 원장의 조사 의지가 별로 없다"며 "정무위 차원에서 강경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김현정 의원 역시 "(금감원이)내부정보 이용이나 불공정 거래 행위 등 의혹과 관련한 조사를 하고 있다면서 금융위와 검찰에 고발을 하지 않은건 금감원에서(사건을) 쥐고 있다고 판단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민병덕 의원도 "금융위, 검찰로 보내 강제수사권을 통해 관련자들의 휴대폰, 컴퓨터를 봐야 한다. 왜 만연히 금감원이 붙잡고 있는 건지, 시기를 조율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9월 한국거래소의 삼부토건 이상거래 심리 결과가 넘어온 직후 조사에 착수했지만, 관계된 계좌수가 200여개가 넘어 조사가 오래 걸렸다는 입장이다. 금감원은 삼부토건 대주주들의 100억원대 시세차익이 어디로 흘러갔는지 조성옥 전 삼부토건 회장과 가족들, 최대주주, 관련 법인 등의 계좌를 들여다 보고 있다. 특히 시세차익 일부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의 주요 인물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측에 흘러갔는지도 보고 있다. 삼부토건은 2023년 5월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글로벌 재건 포럼에 참석한 뒤 '우크라이나 재건주'로 분류되면서 1000원대였던 주가가 같은해 7월 장중 5500원까지 급등했다. 특히 포럼에 참석했다는 발표가 나기 직전 삼부토건 거래량은 4000만주로 40배 늘어났다. 야권에서는 이 시기가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우크라이나 방문 시기와 겹친다며, 주가조작 의혹을 제기해왔다. 또 이종호 전 대표가 2023년 5월14일 단체 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하고'라는 메시지를 올린 후 삼부토건 거래량과 주가가 급등했다고도 주장한 바 있다. 이복현 원장도 지난 5일 "일부 이해관계자들이 100억원대 이상의 이익을 실현한 사실을 부인하긴 어렵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3-10 15:45:35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트럼프發 경제·안보 파고 대비' 초당적 한미의원연맹 닻 올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으로 정치권이 극심한 갈등을 겪고 있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몰고 올 파고에 적극 대비하기 위한 초당적 한미의원연맹이 10일 닻을 올렸다. 올해 한미동맹은 72주년을 맞았지만, 한미의원연맹이 창립된 것은 처음이다. 한미의원연맹은 미국 의회와 교류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수행하며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부과, 보조금 축소 우려에 대한민국 국회의 외교적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창립됐다. 한미의원연맹의 회장은 정동영 민주당,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맡는다. 간사는 김영배 민주당,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맡게 됐다. 한미의원연맹엔 여야 162명의 의원들이 가입했다. 민주당 소속 98명, 국민의힘 소속 56명, 조국혁신당 소속 5명, 개혁신당 소속 1명, 무소속 2명의 의원이 입회했다. 공동회장을 맡은 정동영 의원은 "지난 2월달에 국회 특사단으로 미국 의회 친선협회 '코리아 코커스' 회장단을 만났다. 댄 설리반이라는 알래스카 상원의원이 알래스카 LNG 가스관 사업 관련한 자료를 주면서 한국에서 좀 사달라고 했다"며 "미한의원연맹이 만들어지면 의원 연맹 차원에서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하니, 제 말이 끝나기 무섭게 조경태 의원이 손을 들고 삼성과 SK 반도체 보조금 주기로 한 것을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못한다고 해서 다들 폭소가 터졌다. 그만큼 의원 외교를 훌륭하게 하고 왔다"고 말했다. 조경태 의원은 "미국에선 이렇게 생각한다. 의원 개개인적으로 오는 것은 앞에서 반갑게 맞이하고 웃어주지만, 큰 영향력을 주지 않는다"라며 "미국에서 원하는 것은 여야가 함께 오라는 것이다. 한미의원연맹의 초당적 협력을 통해 한미동맹의 전략적 가치를 극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는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근본적으로 경제와 안보를 파고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경제 쪽은 트럼프 정부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무역 수지 균형"이라며 "트럼프 쪽에선 불만이 있는 것이 농업, 디지털 시장, 서비스(금융, 법무, 인사) 같은 미국이 경쟁 우위에 있는 영역에 관세나 규제 등 장벽이 높기 때문에 좀 더 자율적인 시장이 됐으면 좋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두번째 부분은 안보 분야인데, 미국은 상당히 많은 돈을 방위비로 지출해 재정적자가 크다"며 "미국 정부의 재정의 70%는 여러 사회 보장, 메디 케어·메디 케이드(미국의 공공 의료 보험·보조 제도), 방위비 등 의부 지출 부분에 들어간다"고 지적했다. 그는 "방위비에 돈을 너무 많이 쓰고 있다는 것이 불만과 불평의 핵심"이라며 "통상과 안보 부분에서 불만이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공화당의 당선 이유"라고 짚었다.

2025-03-10 15:43:31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고3 줄었는데, 의대 합격선은 상승…“N수생 유입 영향”

고3학생 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최상위권 N수생 유입으로 최근 3년간 의대 합격선은 계속해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일시적으로 고3 재학생 수가 전년보다 늘어나는 한편, 의대 정원은 증원 이전 수준 회복이 유력한 등 변수가 지속되면서 합격선 예측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0일 종로학원이 지난 3년간 의대 합격선을 분석한 결과, 수시 내신 합격선이 학생부교과전형 기준 2022학년도 1.26등급에서 2023학년도 1.21등급으로, 2024학년도엔 1.19등급으로 상승했다. 정시 합격선도 국·수·탐 백분위 평균 기준 97.6점에서 97.9점으로 올라갔다. 반면 고3 학생 수는 2022학년도 44만6573명에서 2023학년도 43만1118명, 2024학년도 39만4940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전체 수험생 수가 줄어들어 산술적으로 입시 경쟁이 낮아져야 하지만, 최상위권 경쟁은 되레 더욱 치열해진 셈이다. 이는 상위권 'N수생'의 대거 유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수능에서 N수생 규모는 ▲2021학년도 14만6761명 ▲2022학년도 14만9111명 ▲2023학년도 15만7791명 ▲2024학년도 17만7942명 ▲2025학년도 18만1893명 등으로 매년 늘고 있다. 이에 더해 2026학년도는 '황금돼지띠' 영향으로 출산율이 일시적으로 늘어난 해에 태어난 학생들이 고3이 되면서 고3 학생 수가 전년(40만6079명) 대비 4만7733명 증가한 45만3812명으로 늘어나는 해다. N수생 증가세와 맞물리면서 경쟁도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의대 정원은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지면서 의대 합격선 예측에 난항이 예상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정원이 재조정되는 상황에서 2025학년도 입시결과는 아직 공개되지 않아 의대 합격선 예측도 큰 혼란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3-10 15:39:28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Samsung, Hyundai Motor, LG Electronics, Hanwha, and others secure opportunities amid crisis... Expanding investment in talent.

Major domestic companies are focusing on talent acquisition by recruiting new employee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despite the domestic economic slump and global economic uncertainties. Although the business environment has worsened, this move is interpreted as an effort to strengthen future competitiveness through increased investment in talent. According to the industry on the 10th, major domestic companies such as Samsung Group, Hyundai Motor Group, LG Electronics, and Hanwha are sequentially launching new employee recruitment this month. While recruiting talents in various fields such as production, manufacturing, business planning, and design, competition for talent in area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smart factories, and electric vehicles for future business is particularly noticeable. First, Samsung's recruitment will take place at 16 subsidiaries, including ▲Samsung Electronics ▲Samsung Display ▲Samsung Electro-Mechanics ▲Samsung SDI ▲Samsung SDS ▲Samsung Biologics ▲Samsung Bioepis ▲Samsung C&T ▲Samsung Heavy Industries ▲Samsung E&A ▲Samsung Life Insurance ▲Samsung Fire & Marine Insurance ▲Samsung Securities ▲Cheil Worldwide ▲S1 Corporation ▲Samsung Welstory. After receiving applications, Samsung will proceed with the recruitment process in the following order: the online Samsung Job Aptitude Test in April, interviews in May, and health check-ups. This appears to align with Chairman Lee Jae-yong's management philosophy of "investing more and creating better jobs." Hyundai Motor Group is also hiring new employees. Hyundai Motor will recruit new employees for a total of three departments—▲Production and Manufacturing, ▲Business and Planning, and ▲Management Support—across 68 job positions until the 14th. With the upcoming completion of the Ulsan electric vehicle (EV) plant and the establishment of smart factories, Hyundai plans to focus on hiring talent for the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sectors to accelerate technological innovation. Kia is focusing on hiring experienced professionals. From the 10th to the 24th, Kia will be recruiting for a total of 25 departments and 86 job positions, including ▲Purpose-Built Vehicles (PBV) ▲Information Technology (IT) ▲Customer Experience ▲Manufacturing Solutions ▲Special Projects ▲Finance ▲AutoLand Gwangju ▲AutoLand Hwaseong, among others. This recruitment effort is aimed at securing talented individuals early across all sectors to lead the future mobility market. Kia CEO Song Ho-sung stated last month at the '2025 Kia EV Day' held in Spain that the company aims to present a new paradigm of customized mobility leading the PBV market, based on a customer-first approach. LG Electronics also recently posted job openings for new employees. The company is recruiting for various departments under its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Division (HS Business Unit). Positions include roles in the 'Kitchen Solution Business Division' responsible for kitchen appliances, the 'Living Solution Business Division' overseeing home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and dryers, the 'Component Solution Business Division' designing appliance components like motors and compressors, and the 'HS Research Center' focused on next-generation home appliances. Each department is recruiting a double-digit number of employees.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through the LG Careers website by the 17th. Hanwha Ocean is recruiting new employees through two pathways: a general recruitment for those with a bachelor's degree or expected to graduate by the 23rd, and the Global Challenger program, which requires global capabilities. The general recruitment positions include roles in design, production management, business management, and management support, divided into four main areas. The Global Challenger program is accepting applications only for three positions: design, business management, and management support. An industry source stated, "Securing talented individuals who can lead innov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environm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adding, "Talent development is also necessary for investment in new industries to secure future growth."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3-10 15:36:37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