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트럼프, 비트코인 전략비축 행정명령에 서명…비트코인 1.3억대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비트코인 전략비축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7일 오전 9시께(국내시간) '크립토 차르'로 불리는 데이비드 삭스(David Sacks) 백악관 가상자산·AI 정책 책임자는 자신의 SNS(사회관계망) X(옛 트위터)에 "몇 분 전, 트럼프 대통령은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을 설립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데이비드 삭스의 발표와 함께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에서 1억2800만원대에 거래되던 비트코인 가격은 1억3000만원대로 올라섰다. 310만원대에 거래되던 시가총액 2위 가상자산인 이더리움은 320만원대를 웃돌고 있다. 삭슨는 "준비금은 민·형사상 자산 몰수 절차의 일환으로 압수한 비트코인을 자본으로 활용할 것"이라며 "납세자들에겐 비용이 한 푼도 들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약 20만개에 달하는 비트코인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감사가 이뤄진 적은 없다. 연방정부의 디지털 자산 보유와 관련한 회계 전반은 재무장관이 지시한다. 삭스는 "미국은 준비금에 예치된 비트코인을 판매하지 않을 것"이라며 "비트코인은 가치 저장고로 보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비트코인 조기 판매로 미국 납세자들은 이미 170억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며 "이제 연방 정부는 보유 자산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가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트코인 추가 취득에 대해서는 "재무부 장관과 상무부 장관은 미국 납세자에게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선에서 비트코인 추가 매입을 위한 전략을 개발할 권한이 있다"면서도 "몰수 절차를 통해 얻은 자산을 초과해 비축 자산을 추가 취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07 11:01:01 최규춘 기자
메트로경제 3월 6일자 한줄뉴스

<금융·부동산> ▲서울 아파트값이 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강남권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한 달 새 18억 달러 감소해 4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우리금융이 내부통제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확충해 현장 특성에 맞는 내부통제 역량을 확보하고, 사외이사도 대거 교체해 경영진에 대한 견제와 경영투명성을 꾀한다. ▲KB금융그룹은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인 MWC25에 양종희 회장이 직접 참석해 국내 대표 통신사인 SKT, KT, LG U+ 부스를 비롯해 삼성전자, 마이크로소프트, IBM 부스 등을 방문했다고 6일 밝혔다. <자본시장> ▲한국예탁결제원의 이순호 사장은 6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년 상반기 CEO 기자간담회'에서 "토큰증권 시장 출현과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 등 금융시장의 급진적 변화로 인해 중앙예탁결제기관(CSD) 산업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삼성자산운용은 회사의 대표 생애주기 펀드 '삼성한국형TDF2050(UH)'가 3년 수익률 42.6%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NH투자증권은 임직원 110명이 참여한 가운데 '사랑의 나눔, 헌혈' 행사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증시 반등과 기업들의 주주가치 제고 노력에 코리아 밸류업 지수가 소폭 상승하고 있다. ▲국내 최대 사모투자펀드(PEF)인 MBK파트너스가 외국계 투기 펀드들의 전유물 쯤으로 여겨져던 '모럴 헤저드'와 '먹튀의 악몽'을 소환했다. <산업> ▲6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에서 중국 배터리 업계의 강자 BYD와 EVE에너지가 처음으로 참가해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BYD코리아가 국내 자동차 시장 진출을 선언하면서 전기차 시장에 '가성비' 바람이 불어오고 있다. ▲제네시스가 3년 5개월 만에 럭셔리 준중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GV60의 부분변경 모델을 6일 출시했다. ▲박창숙 한국여성경제인협회장이 여성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펨테크'를 중심으로 한 여성특화 기술기반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낸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소상공인 온라인 판로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외 온라인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소상공인을 모집한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불어 닥친 장기간의 경제난으로 폐업이 속출하는 위기 상황에 놓인 가운데 쿠팡·네이버·카카오 일명 'C·N·K' 플랫폼사들의 소상공인 지원 방안이 눈길을 끌고 있다. <유통&라이프> <정치/IT>

2025-03-07 06:00:24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다림티센, '알로시스디' 출시..."혁신적인 피부 재건 소재 개발"

의료기기 전문 기업 다림티센이 인체조직 전문 기업 퍼즐비와 협업해 무세포 동종진피 제품 '알로시스디'를 신규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알로시스디'는 회전근개 손상 및 파열 치료에 활용된다. 회전근개 손상 시 상부 관절막 재건술을 통해 상부 관절과 상완골 상부를 연결하여 어깨 관절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 회전근개 파열 시에는 손상 부위에 덧대어 어깨뼈를 보호하고 힘줄을 보강하는 패치 보강술에도 사용된다. 무세포 동종진피란 기증된 인체 피부 조직을 일련의 공정을 거쳐 이식 시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 등 면역원을 제거한 진피층을 말한다. 이번 신제품은 퍼즐비가 무세포 동종진피와 관련해 특허 출원한 고품질 두께관리 공정이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동종진피의 두께 편차를 0.1mm 이내로 조절해 생착률 저하 문제를 크게 개선했다. 기존 동종진피 제품 대비 인장강도를 2배 이상 높여 우수한 내구성도 갖췄다. 또 알로시스디는 보존용액 및 항생제가 필요 없는 수화 동종진피다. 보존 및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유물 형성과 주름 생성을 방지해 안정성을 높였고, 이식받는 환자의 알러지 유발 가능성은 줄였다. 다림티센은 알로시스디가 기존 제품의 한계를 극복해 의료진과 환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5-03-06 17:35:28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MWC25] LG유플러스, 구글·AWS와 손잡고 ‘사람 중심 AI’ 구현

LG유플러스가 AI 시대를 주도할 핵심 전략으로 '사람 중심 AI'를 내세웠다. 이를 위해 글로벌 빅테크인 구글·AWS와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며, AI 기반 서비스 혁신과 보안 강화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25 기자간담회에서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은 "AI 기술 자체보다 AI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집중하는 '사람 중심 AI'를 지향한다"며 '4A(Assured, Adaptive, Accompanied, Altruistic) Intelligence' 전략을 공개했다. 홍 사장은 "밝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하는 AI 시대 선도 기업이 되겠다"며 "구조적 변화를 예견하고 긴 호흡을 가지고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AI 보안을 최우선으로 삼고, 서비스 개발 속도와 보안 강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MWC 2025에서 구글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자사의 AI 에이전트 서비스 '익시오(ixi-O)'에 구글 AI 엔진 '제미나이(Gemini)'를 전방위로 확대 적용할 계획을 발표했다. 익시오는 글로벌 최초의 온디바이스(On-Device) 기반 AI 에이전트로, 구글의 AI 기술이 접목되면서 정교한 분석, 요약, 추천 기능을 갖춘 '액셔너블(Actionable) AI'로 진화할 계획이다. 홍 사장은 "구글이 직접 LG유플러스를 찾아온 국내 유일 사업자"라고 강조하며, LG유플러스가 구글의 선택을 받은 이유로 LG그룹과의 오랜 신뢰 관계 및 통신 기술 경쟁력을 꼽았다. 그는 "구글은 검색 분야에서 글로벌 1위 기업이며, AI 시대에서도 검색 기반 경쟁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며, 구글과의 협력이 LG유플러스 AI 사업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또 홍 사장은 "미국 빅테크들은 물론, 일본 KDDI, 중동 자인그룹 등 글로벌 통신사들도 익시오에 대한 큰 관심을 보였다"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AI 에이전트 서비스가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LG유플러스는 B2B 영역에서도 AI 혁신을 가속화한다. AWS와의 협업을 통해 AI 클라우드(AI Cloud)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며, 이번 MWC 2025에서 양사 협력 논의가 상당 부분 진척되었다고 밝혔다. 홍 사장은 "조만간 AWS와의 협력과 관련해 더욱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업 고객(B2B)을 대상으로 한 AI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AI 보안 기술에도 집중한다. LG유플러스는 MWC 2025 전시부스에서 AI 보안 기술을 통합한 '익시 가디언(ixi-Guardian)'을 공개하며, 안티 딥보이스(Anti-DeepVoice), 온디바이스 sLM(small Language Model), 양자암호(PQC) 기술 등을 선보였다. 홍 사장은 "AI 보안을 최우선으로 하면서도 서비스 개발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기존 기업들이 보안을 서비스 개발 후반부에서 점검하는 방식이 아니라, 보안을 토대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적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취임 100일을 맞은 홍 사장은 LG유플러스의 방향성을 '시장 변화를 주도하는 기업(Agenda Setter)'으로 설정했다. 그는 "LG유플러스는 세계 최초 LTE 전국망 서비스, 5G 상용화, 넷플릭스 제휴 등의 혁신을 선보여왔다"며, "이제는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사람 중심 AI'를 통해 통신과 AI 시장에서 변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3-06 16:40:09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中한한령 전면 해제 가능성, 韓게임사 기대↑...일각에선 "과거 성공 보장 못해"

중국 정부가 한한령을 전면 해제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국내 게임업계도 훈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내수시장 포화·소비 침체 여파로 국내 게임시장이 점점 위축되는 가운데 이번 중국 당국의 결정이 실적 개선의 키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일각에선 중국 내수 부진 여파로 K-게임의 진출 성공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5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가 이르면 올해 5월 한한령을 전면 해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중국 진출에 따른 호황을 기대하고 있다. 지난달 7일 우원식 국회의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개막식 참석차 만난 자리에서 한한령 문제를 언급했다. 시 주석은 이에 대해 긍정적인 검토 의사를 전달하면서 중국과의 원할한 교류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이달 중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기구 중국아태협력중심이 한국에 문화사절단을 파견하기로 결정된 가운데, 해당 자리에서 한한령 해제 시기가 구체화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게임업계는 기대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중국 게임 시장 규모는 미국 다음으로 크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 게임 시장 규모는 1236억달러(178조원)로 미국 시장(184조원)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다. 게임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시장 진출을 준비한 많은 게임사들이 한한령 전면 해제를 기대하고 있다. 중국 내수가 불안정하고 미국이 예의주시 하고 있다고 하지만 압도적인 중국 유저들의 파워는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추이를 지켜보면서 중국 진출을 준비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중국 진출이 과거만큼 드라마틱한 성공을 안겨주진 못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중국 게임의 품질과 수준이 급상승했을 뿐만 아니라 내수 부진, 미국 시장의 영향도 미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내수 부진뿐만 아니라 자국 문화 우선주의를 펼치고 있어 중국 진출을 놓고 주위 국가들 모두 예의주시 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며 "과거 한국 게임이 중국 진출에 성공한 것처럼 드라마틱한 결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실제 과거 한국 게임사들은 중국 시장에 진출해서 대성공을 기록한 바 있다. 넥슨의 던전앤파이터, 스마일게이트의 크로스파이어 등이 대표적인 한국게임이다. 이에 업계는 게임 시장이 점점 더 위축되는 만큼 중국 진출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과거와 다른 전략을 내세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게임업계 한 관계자는 "여전히 중국 젊은 층들이 한국문화를 동경하고 있다는 점을 토대로 새로운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며 "중국의 새로운 세대층을 확보한다면 과거처럼 한국 게임의 중국 흥행 돌풍도 기대해볼 만하다"고 전망했다. 업계는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게임사 고유의 IP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계속해서 내놓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중국이 압도적인 자금을 투자해 콘텐츠를 쏟아내고 있는 만큼 국내 게임사들도 이에 맞게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 역시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접근하지 않으면 중국시장에서 무조건적인 성공은 기대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김정태 동양대 게임학부 교수는 "현재 게임시장은 개발 환경이 평준화됨에 따라 진정한 무한경쟁 시대가 도래했다"며 "국내 게임사들도 온라인, 모바일 게임이 득세하기 전 초심으로 돌아가 비즈니스모델과 소재, 플랫폼을 다양화하고 장르를 분산시키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2025-03-06 16:39:46 최빛나 기자
기사사진
여야, '이재명 입'에만 주목… 李, 정국 주도권 완전히 장악

조기대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정치권이 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입'만 보고 있는 모양새다. 여당은 이 대표의 발언에 일일이 대응하고, 야당 비주류 역시 이 대표의 발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사실상 이 대표가 정국 이슈를 주도하는 셈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인사들은 6일 이재명 대표의 'K엔비디아 지분 30% 공유'을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강서구 LG AI 연구원을 찾아 LG, 네이버, 카카오 등 AI 업계 관계자들과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진행한 후 "실패할 경우 누가 책임질 것인지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고 꼬집었다. 국민의힘 AI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안철수 의원은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엔비디아 지분 30%는 1200조원 정도로 국민연금보다 많다"며 "스타트업이 실력만 가지고 있으면 경쟁을 통해 대기업도 이길 수 있는 공정한 시장 구조를 만드는 사회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이외에도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오세훈 서울시장 등 많은 인사들이 'K엔비디아 지분 30% 공유'를 비판하고 나섰다. 또 이날 이 대표가 부산을 찾자, 국민의힘 부산지역 의원들은 입장문을 내고 "당장 부산 최대 현안인 산업은행 부산 이전과 부산 글로벌허브 특별법 제정을 반드시 해결하겠다는 선언부터 해야 한다"고 꼬집기도 했다. 여권만 이 대표를 집중 포화하는 게 아니다. 야권 비주류 인사들도 이재명 대표의 발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 대표는 전날(5일) 유튜브 '매불쇼'에 올라온 녹화 인터뷰에서 자신의 체포동의안 가결 과정을 언급하며 "검찰이 수사하는 과정에서 벌인 일, 당내에서 나한테 비공식적으로 요구하고 협상으로 제시한 것을 맞춰보니까 당내 일부하고 이미 다 (검찰과) 짜고 한 짓"이라며 추측성 발언을 했다. 이 대표의 발언에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은 격렬하게 비판했다. 비명계 전직 의원 모인인 '초일회'는 입장문을 통해 "이 대표가 당내 통합을 얘기하면서 분열주의적 발언을 한 것에 대해 경악하지 않을 수 없다. 앞에서 웃고 뒤에서 칼 꽂는 격이다. 통합행보는 쇼였느냐"며 사과를 요구했다. 김두관 전 의원은 "이 대표의 표리부동한 이중성을 보았다"고 꼬집었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당내 의원들이 검찰과 그렇게 할 거라 상상을 못하겠다"고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취지로 말했다. 문제는 여야에서 어떻게 비판해도 이 대표에게는 이득으로 돌아온다는 점이다. 이 대표의 발언에 반응이 많아질수록 화제성만 높아지는 것이다. 최근 이 대표는 반도체법 주 52시간 예외, 상속세·소득세 완화 등 굵직한 의제를 던지며 정국을 주도하고 있다. 당내에서도 이 대표의 "민주당은 중도보수 정당"이라는 발언 때문에 '정체성'을 두고 갑론을박이 오가기도 했다. 실제로 지난 2017년 대선에서 다른 당이 아침 회의마다 문재인 민주당 후보를 비판하는 '문모닝(문재인+굿모닝의 합성어)'을 이어가는 등 모든 이슈가 문 후보를 중심으로 돌아간 바 있다. 또 2022년 대선에서도 국민의힘이 가하는 네거티브 공세에 민주당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이와 관련해 야당 관계자는 "지난 대선에서 이슈의 주도권을 빼앗겼던 것을 반영했는지 기민하게 모든 이슈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5-03-06 16:32:11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MWC25] 韓 중소·스타트업, MWC 현장 빛내

MWC25에 출격한 우리 중소·스타트업 기업들이 큰 주목을 받으며 활약했다. 올해 우리 기업은 지난해보다 많은 200여 기업이 개별로 또는 정부 통합 부스를 통해 참가해 통신·인공지능(AI) 인프라부터 B2C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의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정부 또한 물심양면 출전 기업들을 뒷받침 했다. 6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지난해보다 22곳 늘어난 187개사가 MWC25에 참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가 마련한 통합한국관에 참가한 기업은 147개 기업이며 나머지 기업은 개별 부스를 차렸다. MWC 통합한국관은 개막 첫날 방문객 823명, 상담 건수는 162건, 상담액 3260만3000달러(약 475억원), 계약 추진액 771만8000달러(약 112억원)를 기록했다. SK텔레콤의 'K-AI 얼라이언스'를 통해서는 전체 30개 회원사 중 7개 회원사가 참가했다. K-AI 얼라이언스는 국내 AI 혁신기업 연합으로 2023년 SK텔레콤 주도하에 설립한 단체다. 국내 AI 역량을 결집하고, 다양한 AI 기술과 서비스를 공유 및 협업해 대외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참가 회원사는 ▲노타AI ▲래블업 ▲리벨리온 ▲몰로코 ▲엑스엘에이트(XL8) ▲투아트 ▲트웰브랩스다. 1조3000억원 규모의 회사가치를 인정 받은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은 MWC에서 펭귄 솔루션스, SK텔레콤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각사의 경쟁력과 사업 경험을 결합해 AI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경쟁력 강화와 시장확대를 위한 전략적 협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 AI 인프라의 에너지효율성과 경제성 역시 고객에게 중요 평가기준이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선 각 분야의 전문성을 지닌 기업이 모여 시너지를 내는 게 필수적이기에 이번 MOU가 효율적인 AI 데이터센터 생태계 구축의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여러 기업들이 참가한 가운데 밀리의서재가 독서플랫폼 최초로 MWC에 참가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밀리의 서재는 AI를 활용한 두 가지 독서 서비스를 선보였다. AI가 작가의 저서와 철학을 학습해 사용자가 실제로 해당 저자와 대화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는 'AI 페르소나 챗봇'과 도서에 대한 사용자 질문 의도를 파악해 책 속에서 원문을 정밀하게 안내하는 'AI독파밍'을 선보였다. 밀리의서재 AI 서비스본부 방은혜 본부장은 "MWC 2025를 통해 글로벌 무대에서 밀리의서재 AI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어 뜻깊었다"며 "이제 AI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독서의 깊이와 확장성을 한 단계 높이는 조력자로, 밀리의서재는 기술과 콘텐츠의 경계에서 독서 경험의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AI 에듀테크 기업 구루미는 AI 기반 자율 학습 관리 플랫폼 '구루미 올리고'와 '구루미 LMS'를 AI를 활용해 통합한 서비스를 공개했다. 구루미 AI에듀 서비스는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강의관리, 학생관리, 성적관리뿐 아니라 교수자가 학생들의 '자율학습'을 관리하고 학생들간 자연스러운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온라인 스터디 카페'를 개설할 수 있다. MWC25에서 우리 기업들과 글로벌 트렌드를 살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 기업의 기술 성장을 위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컴퓨팅 인프라 확보 등 지원 의지를 굳게 나타냈다. 유 장관은 "네이버, 카카오, 엑사원, 익시 등이 AI 모델을 잘 개발하고 있다"면서 "GPU를 구입해 언어모델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면 딥시크 수준은 금방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3-06 16:26:08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Interbattery 2025] "BYD and EVE make their debut" … Interbattery becomes a battleground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t 'Interbattery 2025,' the three major domestic battery companies (LG Energy Solution, Samsung SDI, and SK On) showcased their next-generation technologies, while this year, major Chinese companies also participated, intensifying the competition. With Chinese battery manufacturers aggressively targeting the market, domestic companies are emphasizing differentiation strategies, creating a tense atmosphere. The event, held on the 6th at COEX in Gangnam, Seoul, saw the participation of powerful Chinese battery companies BYD and EVE Energy for the first time, drawing the attention of attendees. While their booths were relatively less crowded compared to those of major domestic companies, it was observed that Chinese tourists and other visitors were consistently visiting in small groups of two or three. Although the booths of both companies were small in scale, they prominently showcased their flagship product, LFP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ies, and introduced their technological capabilities. BYD displayed batteries for electric bicycles and electric motorcycles as its main exhibition items, but did not showcase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separately. BYD explained that its LFP batteries are known for their high stability, long lifespan, and high output. Additionally, the company highlighted its capabilities in battery cell production,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pack design, stating that it provides an end-to-end solution based on a vertical integration strategy. EVE also set up its booth near BYD's to showcase its LFP battery technology. In addition, the company displayed LMFP (Lithium Manganese Iron Phosphate) and solid-state batteries, introducing a diverse range of products. Notably, EVE's booth was located right next to LG Chem's, creating a natural atmosphere of comparison. While the number of visitors was lower than at LG Chem's booth, EVE demonstrated its determination to accelerate its efforts in targeting the global market. In response, domestic battery companies emphasized battery safety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to highlight their differentiation from Chinese competitors. LG Energy Solution presented its cylindrical 46-series batteries along with BMTS (Battery Management Total Solution). Samsung SDI showcased ultra-high output 50A cylindrical batteries and solid-state batteries to emphasize the strengths of next-generation technologies. SK On also garnered attention with its high-voltage, mid-nickel batteries, which enhanced stability and reduced costs to align with changing market trends. On the 5th, the opening day of the exhibition, the leaders of each company gathered to express their confidence in competing with China despite the challenging industry conditions. Kim Dong-myung, CEO of LG Energy Solution, highlighted intellectual property (IP) as a key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race against Chinese competitors. He stated, "LG Energy Solution will secure a competitive edge over Chinese companies by leveraging technologies such as the 46-series battery, lithium iron phosphate (LFP) battery, and Cell-to-Pack (CTP) technology." Meanwhile, 79 Chinese companies participated in 'Interbattery 2025.' This is a significant increase from 24 companies in 2023 and 62 companies in 2024, showing a steady upward trend in participation.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3-06 15:53:28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