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는 동양·ABL생명"…외국계 보험사의 생존 전략은?
금융위원회가 우리금융지주의 동양생명·ABL생명 자회사 편입을 조건부 승인하면서 외국계 보험사의 판도가 요동치고 있다. 총자산 50조원이 넘는 두 외국계 보험사가 우리금융 품에 안기면서 시장의 공백을 남은 외국계 보험사들이 어떻게 메울 지 관심이 쏠린다. 1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위는 지난 2일 정례회의를 열고 우리금융의 동양생명과 ABL생명 자회사 편입 신청을 승인했다. 우리금융이 지난해 8월 28일 동양생명과 ABL생명 대주주인 중국 다자보험그룹과 주식 매매계약(SPA)을 체결한 이후 약 8개월 만이다. 동양생명과 ABL생명의 지난해 말 총자산은 각각 34조5472억원, 18조7643억원으로 모두 53조원을 웃돈다. 두 회사의 지난해 순이익도 각각 3102억원, 1048억원으로 총 4000억원 이상이다. 생보 '빅3'(삼성·교보·한화)를 제외하면 이들보다 자산과 순익이 큰 곳은 신한라이프(자산 53조원, 순익 5337억원)뿐이다. 외국계 생명보험의 '쌍두마차'인 동양·ABL생명이 국내 자본 품에 안기면서 외국계 보험사 지형은 재편될 전망이다. 동양·ABL생명이 떠나면 외국계 생보사는 라이나생명, 메트라이프생명, AIA생명, BNP파리바카디프생명, 푸본현대생명 등이 남는다. 라이나생명은 지난해 순익 4643억원을 기록해 가장 높은 순익을 기록했다. 보험사 자본적정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K-ICS)은 348.18%로 생보업계 최상위권 수준이다. 특히 지난 2023년 K-ICS 제도 도입 이후 분기별 비율이 300% 밑으로 떨어지지 않은 유일한 보험사다. 경영 성과를 인정 받아 조지은 라이나생명 대표이사는 지난해 3년 연임에 성공했다. 조 대표는 지난 2020년 대표이사로 선임돼 2021년 한 차례 연임 이후 3년 만에 라이나생명의 연간 순익을 두배 가까이 성장시켰다. 미국계 보험사인 메트라이프생명은 높은 순익을 바탕으로 상위 외국계 보험사의 입지를 다지고 있으나 최근 실적은 주춤하다. 메트라이프생명은 지난 2023년부터 순익 감소에 시달리고 있다. 메트라이프생명은 지난 2022년도 당기순이익으로 3562억원, 2023년 3735억원 이후 2024년 1298억원으로 감소했다. AIA생명은 메트라이프생명 보다 순익 규모가 작지만 최근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AIA생명의 지난 2022년 순익은 2731억원으로 전년 동기(1758억원) 대비 55.3% 증가했다. 2023년 IFRS17 도입 후엔 연결기준 1337억원으로 전년 동기(IFRS17 전환 시 1168억원) 14.4%, 지난해(1396억원) 4.4% 성장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국내 생명보험 시장의 업황이 좋지 않아 외국계 자본이 승부를 볼 수 있는 경쟁력과 기대감이 많이 줄었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