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GS건설, 공시위반 20억원 과징금 부과 받을 듯

GS건설이 손실을 미리 알고도 투자 위험을 밝히지 않은 채 수천억원대의 회사채를 발행한 것과 관련, 공시 위반으로 최대 과징금을 부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28일 자본시장조사심의위원회(자조심)를 열고 GS건설에 과징금 20억원을 부과하는 안건을 심의했다. GS건설 제재안은 다음달 12일 열리는 증권선물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GS건설은 실적 악화를 예상했으면서도 회사채 발행 때 증권신고서에 투자 위험을 누락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GS건설은 지난해 2월 5일 신용등급 AA-의 회사채를 3800억원(이자율 3.54%) 규모로 발행했다. 하지만 불과 이틀 뒤인 7일 2012년 4분기 영업손실 800억원을 공시했고, 이어 4월에는 1분기 5354억원의 영업손실을 발표했다. 이 같은 연이은 '어닝 쇼크'에 GS건설 주가는 최대 40%까지 급락했고, 신용등급도 A+로 떨어졌다. 미리 투자자들에게 손실 전망을 알렸다면 신용등급, 이자율 등의 발행조건이 달라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 한편 자조심은 이날 실적 정보를 기관투자가들에게만 미리 흘린 CJ E&M 기업설명(IR) 담당자 3명과 이 정보를 펀드매니저에게 알려 손실 회피를 도운 증권사 애널리스트 4명을 검찰에 고발하는 안건도 심의했다.

2014-03-02 11:17:12 박선옥 기자
분당 아파트 전세가, 서울 역전 '이변'

분당 아파트 3.3㎡당 평균 전세가가 서울을 역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분당 3.3㎡당 아파트 전세가는 995만원으로 서울(991만원)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용면적 99~115㎡가 1121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82~99㎡ 1095만원 ▲66~82㎡가 1048만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132㎡ 초과의 중대형은 945만원으로 평균보다 낮았다. 이처럼 분당 아파트의 전셋값이 강세를 보이는 데는 인근 판교신도시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현재 판교 아파트 전셋값은 3.3㎡당 1445만원으로 서울 서초구(1443만원)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보평초 혁신학교 학군 수요, 테크노밸리 직원 수요 등이 몰려서다. 이에 판교의 높은 전셋값에 부담을 느끼는 세입자들이 분당으로 눈을 돌리며, 분당 전세까지 동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전용 98㎡ 아파트라도 판교는 6억원대에 전셋값이 형성됐지만 분당은 4억원 수준으로 가격 부담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정자동 M부동산 관계자는 "매물이 귀하다보니 전세가격이 계속 오른다"며 "다만, 가격이 너무 오르다 보니 향후 보증금 반환에 문제가 생길 것을 염려한 전세 세입자들로 인해 분위기는 다소 주춤해졌다"고 말했다. 김은경 부동산114 팀장은 "최근 정부의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위한 덕분에 회복 기대감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전세시장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하다"며 "분당을 포함해 1기신도시 전세시장이 완전히 안정화되기까지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고 내다봤다.

2014-03-02 10:46:44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주간분양]분양시장 봄기운 가득…미분양↓, 분양↑

3월을 맞아 분양시장에도 봄기운이 가득하다.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5개월 연속 감소해 5만8576가구를 기록했다. 미분양 물량이 5만 가구대로 떨어진 것은 2006년 5월 이후 7년 8개월 만이다. 미분양이 감소하는 동시에 신규분양 시장은 성수기에 진입했다. 특히 혁신평면, 합리적인 분양가 등을 앞세워 지난해 성공 분양을 견인한 중견 건설사들의 약잔이 눈에 띈다. 1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3월 첫째 주 전국적으로 청약접수 4곳, 당첨자 발표 5곳, 당첨자 계약 6곳, 견본주택 개관 6곳 등의 일정이 계획돼 있다. 우선 반도건설이 6일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 A38블록에 공급하는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3.0'의 청약 접수를 진행한다. 전용면적 59~84㎡, 총 1135가구 규모다. KTX동탄역, 문화디자인밸리, 동탄JC, 워터프론트 콤플렉스 등의 기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앞서 4일에는 SH공사가 서울 중랑구 신내3지구 1단지와 은평구 은평3지구 12블록에서 청약 접수를 시작하고, 5일에는 협성건설이 부산 강서구 명지동 '협성휴포레' 1순위 청약을 받는다. 7일에는 우미건설이 경북 경산시 신대부적지구 1-2블록 '경산 신대·부적지구 우미 린' 견본주택을 개관한다. 전용 73~84㎡, 총 445가구로 구성된다. 대구지하철 2호선 영남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같은 날 아이에스동서는 부산 남구 용호동 일원에 공급하는 'W'의 모델하우스를 오픈할 예정이다. 전체 1488가구 대단지로, 전용면적 98~244㎡ 중대형으로 구성됐다. 센텀시티, UN기념공원, 이기대 자연공원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 가능하다. 이외 대구 달성군 세천지구 '엠코타운 더 솔레뉴', 충북 충주시 대소원면 '충주 지웰', 충남 계룡시 엄사면 '엄사지구 계룡 파라디아', 전남 순천시 오천지구 '골드클래스 더힐' 등도 이날 견본주택을 개관할 계획이다.

2014-03-01 09:00:00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동탄1신도시 전세가율 70% 훌쩍…동탄2신도시도 '들썩'

동탄1신도시의 아파트 전세가율이 70%를 훌쩍 넘어서면서 동탄2신도시 분양시장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8일 KB부동산에 따르면 동탄1신도시가 조성된 경기도 화성시 반송동, 석우동, 능동 아파트 전세가율은 각각 74%, 72, 77%에 이른다. 이는 수도권 평균 전세가 비율 63.3%를 크기 웃도는 수준이다. 이에 최근 정부의 부동산규제 완화 기조와 맞물려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하는 수요자들도 늘고 있다. 특히 동탄2신도시의 경우 분양가가 3.3㎡당 1000만원 안팎으로, 동탄1신도시 내 입주 6~7년 된 기존 아파트 매매가가 비슷해 갈아타기 수요가 그 어느 곳보다 활발하다. 당장 기존 미분양 아파트부터 감소 추세다.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집계에 의하면 지난달 화성시 미분양 아파트는 1707가구로 전년 동기 3094가구 대비 44.8% 급감했다. 이마저도 반월동, 향남2지구, 남양뉴타운 등 동탄2신도시 외 지역 물량이 대부분으로, 같은 기간 경기도 전체 미분양 아파트는 2만5732가구에서 2만2525가구로 12.5% 감소에 그쳤다. 동탄 인근 부동산 관계자는 "선호도 낮은 저층 세대나 중대형 물량 위주로 미분양이 남아 있고 그 외에는 거의 계약이 마무리 됐다"며 "동탄2신도시 분양가가 1신도시와 비교해 진입장벽이 높지 않다 보니 기존 1신도시에서 옮겨오는 수요자들이 많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부동산 대표도 "삼성전자를 끼고 있는 동탄신도시의 특성상 소득수준이 높고 연령대가 젊은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다 보니 새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이라며 "최근 분양한 2신도시 아파트가 평면·커뮤니티시설 등에서 특화된 데다, 가격 부담까지 낮다보니 1신도시 입주민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분위기에 신규분양을 준비하는 업체들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3월에만 반도건설, 경남기업, 금강주택, 신안 등 4개 건설사가 분양에 나선다. 이 가운데 가장 먼저 분양 신호탄을 쏘아 올린 곳은 반도건설이다. 28일 모델하우스를 오픈해 6일부터 1·2순위 청약에 들어간다. 반도건설 관계자는 "오전 11시 견본주택을 개관해 오후 2시까지 3시간 동안 3500여 명이 방문했을 정도로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며 "작년 분양한 1·2차에 이어 이번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 3.0'도 좋은 성적을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외 경남기업이 A-101블록에서 '경남2신도시 경남아너스빌' 344가구를, 금강주택이 A-39블록에서 '금강펜테리움' 827가구를, 신안이 A-26블록에서 '신안 인스빌2차' 644가구 공급을 앞두고 있다.

2014-02-28 17:36:50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3월 전국 1만3920가구 입주…전월比 8666가구 감소

새달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이달보다 8000여 가구 이상 감소한다. 2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3월 전국에서 입주하는 새 아파트(국민임대 제외)는 21개 단지, 총 1만3920가구다. 2월 2만2586가구에 비해 8666가구 줄어든 것으로, 작년 3월(1만7156가구)과 비교해도 3236가구 감소했다. 수도권에서는 전달보다 1576가구 줄어든 7개 단지, 6409가구가 입주한다. 서울이 3768가구로 가장 많고, 인천이 2082가구, 경기가 559가구다. 주요 단지로는 서울 마포구 대흥동 '마포자이2차', 인천 연수구 송도동 '송도 더샵 그린스퀘어', 경기도 김포시 구래동 '자연&e편한세상' 공공임대 아파트가 있다. 지방에서는 14개 단지, 7511가구가 집들이를 시작한다. 2월 입주물량 1만4601가구와 비교해 절반 수준이다. 경남 2659가구, 세종 1342가구, 대전 957가구, 충남 938가구, 부산 589가구, 충북 400가구, 대구 323가구, 광주 303가구 순이다. 조은상 부동산써브 팀장은 "정부가 지난 26일 '임대차시장 선진화 방안'을 내놓았지만 당장 전·월세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을 전망"이라며 "3월 입주 물량이 2월보다 줄면서 전세 물건이 부족에 따른 전세가 상승게는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2014-02-28 16:06:42 박선옥 기자
호반건설 호반장학재단, 2014년 장학금 전달

호반건설 호반장학재단은 28일 KBC방송국 대회의실에서 2014년 장학금 전달실을 가졌다. 이날 수여식에서는 김상열 호반장학재단 이사장 등 관계자와 장학생 100여 명이 참석했으며, ▲대학 4년간 장학금을 지급하는 ‘호반회’ 부문 ▲미술 및 방송분야 재능인재에게 지급되는 ‘문화예술’ 부문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성실하게 학업을 수행하는 학생에게 전달되는 ‘꿈드림’ 부문 등으로 나눠 총 138명의 학생들에게 4억6000여 만원의 장학금이 전달됐다. 호반장학재단은 이를 포함해 올해 550여 명의 학생들에게 총 11억원가량의 장학금을 전달할 예정이다. 또 2012년부터 KBC광주방송과 함께 인재육성 프로그램인 ‘고고퀴즈왕’을 진행, 장학금 및 해외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김상열 호반장학재단 이사장은 “장학금 지원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기업의 이윤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경영이념을 실천하고 있다”며 “장학금이 학생들의 소중한 꿈을 키우는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호반장학재단은 호반건설 김상열 회장의 사재 출연으로 설립됐으며, 지난 15년간 총 5500여 명에게 91억여 원의 장학금이 지원됐다. 장학재단 출연자산 145억원, 평가자산 585억원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장학재단 중 하나다. 호반건설은 장학재단, 문화재단을 통합한 ‘호반사회공헌국’을 통해 장학사업 및 인재양성, 문화예술 지원 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호반사회공헌국의 태성문화재단과 KBC문화재단은 문화 및 예술분야 유망주의 발굴 및 지원, 학술연구 지원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희망카 캠페인’, ‘사랑의 집짓기’ 등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통해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힘쓰고 있다.

2014-02-28 15:35:46 박선옥 기자
롯데건설,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시스템 美서 특허

롯데건설은 한양대학교와 공동으로 개발한 건축물 생애주기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시스템 'LOCAS(LOTTE Carbon Assessment System)'가 최근 국제특허(미국특허 등록번호 : US 8,64 5,183 B2)를 취득했다고 27일 밝혔다. LOCAS는 건축물 수주 단계에서부터 설계, 분양, 시공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기존 국내외 이산화탄소 평가 프로그램은 건축물 착공 이후 작성되는 물량산출서를 기반으로 하는데 반해, LOCAS는 국내 최초로 계획 단계부터 평가가 가능하다. 특히 공동주택, 오피스, 초고층 빌딩까지 모든 건축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할 수 있다. 평가 결과는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며, 롯데건설은 누적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건물의 종류에 따른 단계별 친환경 전략수립 및 대안설정을 할 수 있을 예정이다. 한편, 롯데건설은 지난해 6월 완공한 경기도 용인시 '신동백 롯데캐슬 에코'에 LOCAS를 적용,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20%가량 감축시킨 바 있다. 이는 아파트 생애주기인 40년간 약 15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소시켜 여의도 절반에 달하는 숲을 조성하는 것과 같은 효과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국제특허를 취득한 LOCAS를 통해 모든 건축물 등에 친환경 설계 여부를 검토해 앞으로 도래할 탄소배출권 시장에 선도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녹색성장을 주도하는 친환경 기업이 되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14-02-27 18:04:43 박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