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
수익형부동산, 운영 직접 하지 말고 맡겨볼까?

오피스텔을 대신해 최근 분양형 호텔이나 서비스드 레지던스가 새로운 수익형부동산 투자 상품으로 떠오르면서 다양한 '운영관리' 노하우가 눈길을 끈다. 숙박객 유치, 건물 관리 등 운영사별 능력에 따라 이들 부동산의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익형부동산 시장에서 '운영관리'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호텔 객실을 아파트나 오피스텔처럼 개인이 분양 받은 뒤 운영은 전문 운영사에 위탁해 수익을 거두는 분양형 호텔, 서비스 레지던스 등의 영향이다. 대표적인 운영관리 방식은 3가지다. 호텔 운영 경험이 많은 전문 운영사를 두거나 시행사가 운영 법인을 만들어 관리를 하거나 시행사 자체에서 운영하는 경우다. 시행사가 직접 운영하는 경우에는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호텔 근무 경력자를 채용하기도 한다. 전문 운영사가 운영을 맡고 있는 곳으로는 제주시 연동의 '제주 센트럴시티 호텔'이 있다. 위탁 운영사는 제주 특1급 호텔인 '그랜드호텔'이다. 이 호텔은 지난 1981년 문을 열고 총 512개의 객실과 카지노·연회장·사우나·피트니스시설을 갖춘 곳으로, 현재도 영업 중이다. 대전 유성구 도룡동에서 분양 중인 '가온 하이츠빌' 오피스텔은 시행사에서 '가온 비즈니스 호텔'이라는 위탁 운영사를 만들었다. 위탁수수료 절감에 따른 수익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고,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서는 호텔 근무 경력이 있는 매니저를 채용한 상태다. 제주시 함덕리에서 선보인 '코업시티호텔'은 코업관리서비스에서 운영을 맡았다. 코업은 대한민국 대표 서비스드 레지던스 브랜드로, 현재도 서울 등 주요 지역에서 호텔과 서비스드 레지던스를 공급해 운영 중이다. 이외 JK메디컬그룹이 제주시 연동에 분양한 'JK 라마다 앙코르 제주 호텔'은 시행사인 JK그룹이 자체적으로 호텔을 운영할 예정이다.

2014-02-27 14:57:54 박선옥 기자
GS건설,어닝쇼크 직전 회사채 발행 금융당국 조사

GS건설이 지난해 1분기 5354억원의 어닝쇼크 공시를 앞두고 대규모 회사채를 발행한 데 대해 금융당국이 다음달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GS건설은 분식회계로 주가가 폭락해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투자자들로부터 집단소송까지 당한 터라, 작년 기록한 어닝쇼크 충격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GS건설이 대규모 손실을 낼 것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투자위험 요소를 증권신고서에 누락한 정황을 잡고 조사를 벌여왔다. 현재 조사는 마무리 단계로 다음달 증권선물위원회에서 제재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GS건설은 작년 2월 7일 1분기 영업손실 5354억원, 순손실 3861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충격적인 실적에 GS건설 주가는 최대 40%까지 떨어지는 등 급락세를 거듭했다. 이에 당시 주가 폭락으로 피해를 본 투자자들의 원성은 물론 회사채 시장에서도 강력한 의혹이 제기됐다. 어닝쇼크를 예상하고 조건이 좋을 때 미리 회사채를 발행해뒀다는 것. 지난해 GS건설은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1∼2월 두 달 동안에만 1조원이 넘는 자금을 기업어음(CP)과 회사채로 조달했다. 특히 38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하면서 실적 발표 불과 이틀 전인 2월 5일 투자설명서를 공시했지만 설명서 어디에도 손실 관련 투자위험을 명시하지 않았다. 회사채 발행 당시 GS건설은 AA-의 신용등급으로 3년물 이자율 3.54%를 적용받았으나,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신용등급은 A+로 떨어졌다.

2014-02-27 10:22:16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1월 전국 땅값 0.11% 상승…안정세 이어져

국토교통부는 1월 전국 지가가 전달 대비 0.11% 상승했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 2008년 10월보다 1.13% 높은 수준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0.11%, 지방권이 0.10% 올랐다. 특히 0.19%가 뛴 서울은 작년 9월부터 5개월 연속 상승하며, 25개 구 모두가 오름세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안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인천 옹진군이 영흥화력발전소 5호기 준공을 앞두고 가장 높은 0.43%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2단계 중앙행정기관이 이전 중인 세종시가 0.42%, 시화 MTV산업단지가 조성되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가 0.41% 순으로 올랐다. 이에 반해 경기도 김포시(-0.15%)는 신도시 아파트 입주율 저조, 구도심 및 읍면 도심지역 상권 쇠퇴 영향 등으로 가장 많이 하락했고, 경기도 포천시(-0.12%), 동두천시(-0.09%) 등이 내림세를 기록했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15%), 계획관리지역(0.11%)이 가장 많이 올랐으나 전월 대비 상승폭은 감소했다. 또 이용상황별로는 기타(0.13%), 공장용지(0.11%)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18만2621필지, 13만6200㎢로 전년 동월(14만0857필지, 14만4655㎢)에 견줘 필지수는 29.6% 증가한 반면, 면적은 5.8% 감소했다. 전월과 비교해서는 필지수, 면적 모두 각각 22.6%, 24.5% 줄었다. 나대지 상태의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7만2735필지, 12만6955㎢로 작년 같은 기간(7만5206필지, 13만7431㎢) 대비 각각 3.3%, 7.6% 줄었다. 전달과 비교해서도 필지수는 17.4%, 면적은 23.0%가 거래가 감소했다.

2014-02-27 09:39:27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경남기업, '동탄2신도시 경남아너스빌' 3월 분양

군인공제회가 시행하고, 경남기업이 시공하는 '동탄2신도시 경남아너스빌'이 내달 분양된다. 지하 2층, 지상 27~32층, 4개 동, 전체 344가구 규모다. 전용면적 기준 ▲84㎡A 124가구 ▲84㎡B 110가구 ▲84㎡C 110가구로 이뤄졌다. 아파트가 위치한 A-101블록은 치동천을 사이에 두고 동탄2신도시 시범단지와 인접해 있다. 이에 따라 시범단지 내 들어서는 생활편의시설 이용이 수월할 전망이다. 또 초·중·고 예정 부지를 모두 걸어서 접근할 수 있다. 또 인근 수서~평택간 KTX 동탄역(2015년 예정), GTX 동탄역(2020년 예정) 등의 교통망이 확충될 예정으로, 이를 통한 서울 강남권과의 접근성 개선이 기대된다. 단지는 전체를 데크형으로 올려 지상에 차 없는 아파트를 조성했다. 저층부의 경우에는 필로티 구조를 적용, 개방감 및 저층 세대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면서 보행자들의 자유로운 동선 또한 확보했다. 전 세대 공간 활용이 용이한 4-베이 구조를 적용, 발코니 확장을 통해 넓은 실거주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내부 공간이 넓어진 만큼, 기존 중대형 아파트에 설치되던 독립형 아일랜드 작업대를 마련해 주방 공간의 효율성을 높였다. 이 외에도 현관창고, 주방 팬트리, 워크인 클로젯 및 드레스룸, 맘스 데스크 등 극대화된 수납을 선보인다. 견본주택은 3월 중 오픈 할 계획이다. 2016년 8월 입주 예정.

2014-02-26 17:28:11 박선옥 기자
형제 오너 반도건설-IS동서, 사내 문화는 극과 극

오너가 형제 사이인 반도건설과 IS동서가 서로 다른 사내 문화를 보유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두 회사 모두 부산을 기반으로 성장한 중견 건설사지만 반도건설은 비교적 보수적인 색채를 띠고 있는 반면, IS동서는 그보다 자유로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2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반도건설 권홍사 회장은 IS동서 권혁운 회장의 친형이다. 경북 의성이 고향인 이들 형제는 8남매 중 각각 일곱째와 막내로 태어났다. 같은 업계에서 2·3세 경영인이 아닌, 오너가 형제 사이이기는 매우 이례적이다. 권씨 형제는 경남·부산지역 업체를 전국구로 키운 것은 물론, 어려운 건설경기 속에서도 꾸준한 시공순위 상승을 이루는 등 비슷한 행보를 보여 왔다. 하지만 두 회사의 문화나 분위기는 사뭇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여직원들의 활약상 부분에서 차이가 두드러진다는 전언이다. 반도건설에는 현재 디자인팀장 1명을 제외하고는 팀장급 이상 여직원이 전혀 없다. 1명뿐인 여자 팀장마저 권홍사 회장의 둘째 딸인 권보영 팀장이다. 반도건설 관계자는 "여직원 중에서는 과장급이 몇몇 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업이라는 특성상 여직원 비율이 낮기도 하지만 반도건설이 보수적이라 여자들이 승진하는 사례가 많지 않은 편"이라고 귀띔했다. 이에 반해 IS동서는 권혁운 회장의 장녀인 권지혜 마케팅실장(상무) 외에도 여자 임원과 팀장들의 활약상이 두드러진다. 또 IS동서의 계열사이자 권 상무가 대표가 있는 삼홍테크의 경우에는 국내외 영업은 물론, 관리·설계 등 다양한 부서에 여성들이 포진해 있다. IS동서 관계자는 "성별 관계없이 3-4-4-4에 따라 사원, 대리, 과장, 부장 등의 과정을 거친다"며 "아무래도 여성 임원이 있다 보니 여직원에 대한 선입견 없이 능력에 따른 자유로운 분위기가 연출되는 것 같다"고 밝혔다. 다만 같은 건설업종이라도 두 회사가 하는 일이 다른 만큼, 여직원의 활약상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실제, 반도건설은 건축·토목·주택·해외사업 등을 주로 하지만 IS동서는 시행·시공 외 건설자재 제조까지 맡고 있다. 지난 3분기 기준 IS동서 매출에서 건설업 비중이 차지하는 비중은 51.4%로 절반 수준이다. 요업(19.2%), 콘크리트(15.6%) 등 자재 부분이 30%를 넘는다. 업계 관계자는 "두 업체 모두 건설업을 하고 있지만 반도건설은 IS동서에 비해 현장 위주의 사업을 진행하다 보니 여직원 수요가 많지 않고, 자연스럽게 승진하는 여직원 수도 적은 것 같다"고 평가했다.

2014-02-26 16:34:15 박선옥 기자
1월 미분양 아파트 5만8576가구, 5개월 연속↓

전국 미분양 아파트 가구수가 7년 8개월 만에 5만 가구대로 감소했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전월 대비(6만1091가구) 대비 2515가구 줄어든 5만8576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5개월 연속 감소한 수치로, 2006년 5월 5만8505가구를 기록한 이후 7년 8개월 만에 5만 가구대로 진입한 것이다. 수도권은 전달(3만3192가구)보다 495가구 해소된 3만2697가구로 파악됐다. 인천 남구에서 2124가구의 신규 미분양이 발생했으나 수원·화성 등에서 기존 미분양이 크게 감소했다. 지방은 한 달 전보다 2020가구나 줄어든 2만5879가구로 나타났다. 최고점이었던 2008년 12월 13만8671가구에 견줘 81%나 감소한 것으로 부산·광주·경남 등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지속적으로 해소되는 추세다. 미분양 중에서도 악성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도 전달보다 1185가구 빠진 2만566가구로 파악, 9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는 2008년 3월(2만12가구) 이후 가장 적은 수량이다. 규모별로는 85㎡ 초과 중대형은 수도권과 지방 모두 449가구, 269가구씩 줄면서 각각 1만6722가구, 6662가구로 집계됐다. 85㎡ 이하 역시 수도권이 46가구 줄어든 1만5975가구, 지방이 1751가구 줄어든 1만9217가구로 나타났다.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tat.molit.go.kr) 및 온나라 부동산포털(http://www.onnar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4-02-26 13:59:37 박선옥 기자
기사사진
3월 분양시장 큰 장 선다 … 물량 9년 만에 최대

다음 달 전국적으로 2만5000여 가구의 신규분양 물량이 쏟아진다. 지난 2005년 이후 9년 만에 최대치다. 26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오는 3월 전국에서 분양을 계획 중인 아파트(임대 제외)는 총 37개 단지, 2만5443가구다. 전년 동기 1만7263가구와 비교해 47.4%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14개 단지, 7494가구 ▲지방광역시 8개 단지, 6831가구 ▲지방 15개 단지, 1만1118가구 규모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강남권 물량이 눈에 띈다. 대림산업이 강남구 논현동 경복아파트를 재건축해 '아크로힐스 논현' 368가구(일반분양 57가구)를 분양하고, GS건설은 강남구 역삼동 개나리6차를 재건축한 '역삼 자이'를 공급한다. 이외 서울에서 두산중공업이 성동구 성수동1가에서 한강 조망권을 확보한 '트리마제' 688가구를, 현대건설이 양천구 신정동 신정4구역을 재개발한 '목동힐스테이트' 1081가구(일반분양 426가구)를 선보인다. 화성 동탄2신도시에서는 반도건설과 신안이 분양몰이에 나선다. 각각 A-38블록, A-26블록에 위치했으며, 1135가구, 644가구 규모다. 지방광역시에서는 현대엠코가 대구 달성군 세천지구에서 1096가구 규모의 '엠코타운 더솔래뉴'를 분양한다. 또 호반건설이 광주 동구 월남2지구에서 '호반베르디움' 784가구, 아이에스동서가 부산 남구 용호동에서 '더 더블유' 1488가구를 공급한다. 지방에서는 혁신도시 분양이 두드러진다. 중흥건설이 전남 나주 광주전남혁신도시 B15블록에 993가구 규모의 '중흥S-클래스 센트럴'을 새달 선보이고, 호반건설이 전북 완주군 전북혁신도시 C-5·6블록에서 '호반베르디움' 466가구, 653가구를 분양한다.

2014-02-26 11:31:50 박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