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세계인구의 3분의 2가 성병에 걸렸다고?…헤르페스 1형은 성병 아냐

세계인구의 3분의 2가 성병에 걸렸다고?…헤르페스 1형은 성병 아냐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세계보건기구(WHO)는 28일(스위스 시간)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2인 약 37억 명 이상이 입 주변이 헐거나 물집이 생기는 헤르페스(제1형 단순포진 바이러스, HSV-1)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처음 실시한 역학조사이다. 2012년이 기준이다. 감염이 쉽게 되고 치료가 어려운 헤르페스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HSV-1은 주로 구강 접촉, 제2형인 HSV-2는 성관계 등 피부 접촉을 통해 전염된다. 헤르페스가 흔히 성병으로 알려진 것은 제2형 때문이다. HSV-1은 이번 조사에서 성기 단순 포진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실제 미주대륙, 유럽, 서태평양 등의 15∼49세 사이의 인구 1억4000만 명이 이런 방식으로 감염된 것으로 집계됐다. WHO는 앞서 지난 1월 전 세계적으로 15∼49세 인구 4억1700만 명이 HSV-2에 감염된 것으로 추산한 바 있다. WHO 메를렌 템머맨 생식보건 담당 국장은 "젊은이들의 건강 보호를 위해 성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두 종류의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대한 교육과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전염돼도 금방 어떤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는 감염된 사람의 정신건강과 대인관계에 아주 심각하고 부정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2015-10-29 17:40:54 송병형 기자
기사사진
검찰 "이상득·박영준, 포스코 회장 선임 개입"(종합)

검찰 "이상득·박영준, 포스코 회장 선임 개입"(종합)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이상득 전 의원과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2009년 포스코그룹 회장 선임 과정에 개입한 사실이 검찰 수사에서 드러났다. 당시 최고경영자에 선임된 정준양 전 회장은 이 대가로 이 전 의원과 관련 있는 협력사에 일감을 몰아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포스코 비리 의혹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조상준 부장검사)는 29일 이 전 의원을 제3자 뇌물수수 혐의로 불구속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 전 의원은 2009년 정준양 전 포스코회장 선임에 개입하고 포스코의 현안이었던 신제강공장 공사 중단 사태를 해결해 준 대가로 몇몇 협력사에 일감을 몰아주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의 보좌관 출신인 박영준 전 차관이 2008년 하반기에 임기를 1년 남겨둔 이구택 당시 포스코 회장에게 사임을 요구하면서 후임으로 정 전 회장을 지지하라는 압력을 넣었다고 밝혔다. 박 전 차관은 같은 해 11∼12월 포스코그룹 회장의 유력 후보였던 윤석만 전 포스코건설 회장과 정 전 회장, 박태준 전 포스코 명예회장을 차례로 만나 회장 선임 문제를 논의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구택 당시 회장이 사의를 표명하면서 결국 2009년 2월 포스코 이사회에서 정 전 회장이 단독 회장 후보로 선정됐다. 박 전 차관이 정 전 회장의 선임을 위해 활동하던 당시는 청와대 비서관을 지내고 나왔던 때로, 공직을 맡지 않던 때다. 정 전 회장 선임을 둘러싼 금품거래 등 다른 범죄 단서가 드러나지도 않았기 때문에 검찰은 박 전 차관을 따로 조사하거나 기소하지 않았다. 정 전 회장 취임 후 포스코와 이 전 의원의 유착은 심화했다. 정 전 회장은 2009년 8월경 포항을 지역구로 둔 이 전 의원에게 신제강공장 고도제한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요청했고 이 전 의원은 국방부 등을 상대로 문제 해결에 발벗고 나섰다. 포스코캠텍의 협력사였던 제철소 설비 관리업체 티엠테크도 자신의 지역구 사무소장이던 박모씨가 운영할 수 있게 해 달라고 했다. 박씨는 티엠테크 배당수익 등으로 12억원 상당을 챙긴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수사에서 박씨는 2006년 지방선거 당시 모 지자체장 공천에 개입한 이 전 의원이 2500만원을 받았음에도 자신이 대신 구속된 사실도 드러났다고 검찰은 밝혔다. 티엠테크는 이 전 의원과 포스코의 유착 속에 세워진 일종의 기획법인이라고 검찰은 강조했다. 그 외에도 자재운송업체 N와 집진설비측정업체 W사를 통해서도 이 의원은 이득을 남긴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의 죄질이 나쁘지만 심한 저혈압과 관상동맥 협착증을 앓고 있고 녹내장이 심해 한쪽 눈이 실명 상태인 점 등 건강상태를 고려해 불구속기소한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이 전 의원 등에게 특혜를 제공한 정 전 회장의 영장 청구 여부는 추가 검토를 거쳐 결론 낼 방침이다.

2015-10-29 17:24:12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Get 226 trillion won" a war without gunfire among banks.

[Global Korea]"Get 226 trillion won" a war without gunfire among banks. Where would the owners of a bank account(money market deposit account) with 226 trillion won in it move to? From the 30th, "The bank account transfer system" ,which enables clients to change their main bank easily, will go into effect. So far, the clients of bank account have been like tamed rabbits because they cannot run away once they are caught. Speaking as clients, they have not even thought about changing their main banks to better ones due to all the different sort of accompanying constraints such as automatic transfer. However, the bank account transfer system now enables clients to transfer their bank accounts to other banks as well as the automatic transfer account with a click of a mouse. Thus, the clients now have a chance to consider about the services that banks provide. Banks are devoting their full attention to taking clients away from other banks and securing the existing clients. The automatic transfer account could easily be changed on integrated service management(payinfo) website which is run by Korea financial telecommunications & clearings institute. Until now, bank clients have had to contact all those telecommunication, insurance and credit card companies in order to change their automatic transfer accounts. Now those hassles are gone all at the same time./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226조 잡아라" 은행, 총성 없는 전쟁 '226조원(수시입출금 규모)'이 들어 있는 통장 주인의 마음은 어디로 움직일까. 30일부터 주거래 은행을 손쉽게 바꿀 수 있는 '계좌이동제'기 시행된다. 그동안 은행 통장 고객은 시중은행의 '집토끼'와 같았다. 한번 잡아두면 쉽게 도망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객 입장에선 계좌에 딸린 각종 자동이체 등 제약 때문에 조건이 좋은 다른 은행으로 통장을 바꿀 엄두를 못 냈다. 하지만 계좌이동제로 클릭 몇 번에 자동이체와 함께 계좌를 옮길 수 있다. 고객 입장에선 그동안 받던 거래은행의 서비스를 따져 볼 기회가 생긴 셈. 은행들은 고객 빼앗기와 지키기 경쟁에 올인하고 있다. 자동이체 계좌는 금융결제원의 자동이체 통합관리서비스(페이인포) 홈페이지를 통해 손쉽게 바꿀수 있다. 지금까지 은행 고객이 자동이체 계좌를 바꾸려면 통신·보험·카드사 등에 일일이 연락해 처리해야 했다. 이런 번거러움이 한꺼번에 사라진 것이다./스피킹전문 EDB 영어회화학원 대표강사 닥터 벤

2015-10-29 17:12:1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외교부 "남중국해 평화에 영향미치는 행동 자제해야"

외교부 "남중국해 평화에 영향미치는 행동 자제해야"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29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남중국해에서 항행과 상공 비행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하고, 분쟁은 관련 합의와 국제적으로 확립된 규범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면서 "남중국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자제할 것을 국제회의 등을 통해 여러 계기를 통해 강하게 촉구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노 대변인은 "미군이 남중국해 수비환초(중국명 주비자오·渚碧礁) 12해리 이내로 항행시켰다는 보도에 대해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이 정확하다고 시인했고, 중국도 명확한 도발이라고 반발한 바 있다. '사실 관계를 파악중'이라는 입장에 입장변화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노 대변인은 "남중국해 지역은 우리 수출 물동량의 30%, 수입 에너지의 90%가 통과하는 중요한 해상교통로로서 우리 이해관계가 큰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카터 장관의 언급에 대해서도 "미 국방장관이 청문회 질의답변 과정에서 그런 것이 있었다는 것을 (말한 것을) 우리도 알고 있다. 그게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제가 유권적 해석을 할 수는 없다"면서 "그것이 어떤 의미인지는 미 행정부 쪽에서 답변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노 대변인은 '남중국해 문제가 서울에서 곧 있을 정상회담이나 외교장관회담에서 거론될 경우 우리 정부가 추가로 입장을 낼 것이냐'는 질문에는 "이 자리에서 뭐라고 말씀드리는 것을 자제하고자 한다"면서 답변을 피했다.

2015-10-29 16:49:47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정두언, 朴대통령에 공개서한 "KF-X 사업 실패할것"

정두언, 朴대통령에 공개서한 "KF-X 사업 실패할것" [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정두언 국회 국방위원장은 29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핵심 기술 이전 무산으로 사업에 차질이 생긴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 사업을 재고(再考)하고 감사원 감사에 착수해달라고 요구했다. 새누리당 소속인 정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공개한 박 대통령에 보내는 서한에서 KF-X 사업 관계기관으로 국방부,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을 지목, "이들은 사업 주체들로 이 사업을 전면 재검토한다는 것은 과오를 인정하는 것이기에 죽으나 사나 '가능하니 하자'고 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 사업에 대한 (감사원의) 전면 감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항공무기 체계의 자주능력을 확보하고자 KF-X 사업이 분명히 필요하나 지금과 같은 추진 방식은 안 된다"고 단언했다. 특히 과거 T-50 고등훈련기 개발 과정 등을 예로 들어 전투기 개발은 ▲1단계 기체중심 개발 ▲2단계 핵심기술 개발 ▲3단계 순수 독자개발 등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지금 추진 중인 KF-X 사업은 가장 중요한 제2단계를 생략하고 제3단계로 넘어가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그러면서 "전투기 개발에 필수적인 주요 핵심기술과 후속 군수지원 능력에 필수적인 부품개발 없이 의욕과 의지만으로 결코 성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이 사업은 출발 당시부터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면서 "지금이라도 정석대로 단계를 밟아가는 것이 적은 비용으로 항공기 자주 능력을 찾는 최선의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정 위원장은 박 대통령에게 "이 문제로 저를 불러주시면 만사 제쳐놓고 달려가겠다"면서 "청와대 안보실장과 언제라도 공개적으로 토론할 용의가 있으니 허락해달라"고 덧붙였다. 정 위원장은 이어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에게 공개서한을 보낸 배경에 대해 "대통령이 이 사업을 그대로 추진하라고 지시한 마당에 국회에서 이 예산을 뒷받침 안 한다는 것도 문제인 만큼 대통령에게 (사업을) 재고해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의원 입장에선 이 사업이 실패할 것이 분명한데도 예산을 주는 것은 양심의 가책을 받는 것이고 역사의 심판을 받는 일"이라며 "댐의 구멍을 본 이상 손가락으로라도 막아야지 무너지는 것을 그냥 두고 지나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유승민 의원을 비롯한 새누리당의 많은 의원들이 이런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납득이 돼야지 예산을 통과시켜주지 8조원이 넘는 돈을 부탁한다고 통과시켜줄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2015-10-29 16:35:32 연미란 기자
기사사진
'집 없는 억만장자' 베르그루엔, 서울시 명예시민 됐다

서울시, '베르그루엔 거버넌스연구소'와 파트너십 강화 기대 니콜라스 베르그루엔 베르그루엔 홀딩스 이사장이 서울시 명예시민이 됐다. 29일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이 니콜라스 베르그루엔(Nicolas Berggruen) 이사장에게 서울시 명예시민증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베르그루엔 이사장은 파이낸셜타임즈가 선정한 '세계 최고 부자' 중 한 명(소유자산 15억 6천만 달러, 약 1조 8천억원)으로 세계 곳곳의 호텔에서 생활하며 투자사업보다는 철학과 정치, 사회변혁에 관심이 많은 인물이다. 그가 1억 달러를 투자해 설립한 '베르그루엔 거버넌스 연구소'는 돌리자 라이스 전 미 국무부 장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총리,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 등 전 세계 유명인사들의 싱크탱크 역할을 해오고 있다. 박원순 시장과 니콜라스 베르그루엔 이사장의 만남은 2013년 이후 세 번째다. 오는 11월 1일부터 4일까지 중국에서 열리는 글로벌 거버넌스 논의기구인 '21세기위원회' 참석을 앞둔 베르그루엔 이사장을 시가 초청하고 베르그루엔 이사장이 이를 수락하면서 이뤄졌다. 명예시민증 수여식에는 '21세기위원회' 위원인 투르키 빈 압둘라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왕자와 던나카가와 베르그루엔 거버넌스연구소 부회장도 참석했다. 수여식 직후 박원순 시장과 베르그루엔 이사장, 알사우드 왕자는 서울도서관으로 자리를 옮겨 '21세기 도시의 미래와 거버넌스의 내일'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 한편 평소 한국문화와 건축 분야에도 관심이 많은 베르그루엔 이사장은 이날 오후 승효상 서울시 총괄건축가와 가구박물관을 둘러보고 30~31일에는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진관사(은평구 소재)에서 1박2일 동안 템플스테이를 체험한다.

2015-10-29 15:58:02 신원선 기자